profile
조회 3469 추천 1 댓글 15
[임희택] 게임 비평이란

안녕하세요. 5년 뒤 게임 칼럼니스트 임희택 입니다.

아직도 부족하지만, 부족한 과거를 돌아보면 제법 오랜 시간 글을 적어왔다고 생각합니다. 가볍게 시작한 게임에 대한 생각들이 이어져서 형태를 갖추고, 비평과 칼럼 형식으로 발전됨에 따라서 약 7년 동안 글을 적어왔습니다.

 

그러나 유독 게임 비평이라는 글에 대해서는 명확한 해답을 내기가 어려웠습니다.

저의 글을 보는 사람의 기준에 따라서, 칼럼 혹은 비난 글로 보이기 때문이었죠. 다르게 말하자면 제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부족함을 보이는 말이기도 하지만 그것이 제가 느낀 부분이었으니까요.

 

그럼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게임 비평, 경험적인 차이 때문에 어렵다

게임 비평이라는 것은 해당 게임을 하는 게이머 혹은 그 게임을 하지 않는 게이머들이 보게 되는 제 3의 경험적인 평가서와 같은 성격을 뛴 글이다.

             


따라서, 개개인에 따라서 달라지는 경험적인 평가 부분이 다를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비평이 어렵다는 것이다. 결국 제 3자에게 자신이 생각하는 경험적인 부분에 대한 이해와 그 경험적인 부분이 다수의 게이머에게 공감을 이끌어 내야만 하는 어려운 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한 경험적인 차이는 크게 2가지 이류로 발생하게 되는데, 게이머의 성향, 게이머의 나이(인지 능력, 지능)의 차이 때문이다. 물론 사람이기에 가진 개성적인 부분에서 파생되는 부분이지만 2가지의 부분이 다를 경우, 경험적으로 받아드리는 부분은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게이머의 성향에 따라서 어떤 스타일의 게임을 로 하느냐는 게임을 바라보는 시선 자체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단순히 재미성, 흥미성, 액션성 등등을 바라게 되는 만족감이 어디서 오느냐? 란 것이다단순히 보드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RPG게임을 비교를 하며, 열변을 토해보아야 그것은 비평 글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게이머가 이해할 수 있는 경험적인 수치를 맞추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여기서 같은 장르의 게임을 맞추어 말을 한다고 치자. RPG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RPG게임을 비교하며 이야기를 한다고 해도 문제가 발생한다. 동일한 장르의 게임이라고 해도 게임 내 시스템이나 현 게임의 커뮤니티 수준, 컨텐츠 수준, 운영 수준, 글을 읽는 게이머의 캐릭터 성장 수준에 따라서, 게임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양해 진다는 점이다.

 

또한 게이머의 나이(인지 능력, 지능)에 따라서 받게 되는 이해도적인 문제를 복합적으로 다루어야만 하는 이중적인 숙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이 게임 비평의 큰 어려움이다.

 

 

이 숙제를 풀 수 있는 방안은...

무엇보다 위에서 언급한 각 게임이 오는 만족감이 어디서 오느냐? 를 파악할 수 있는 눈이 있다면, 그와 최대한 근접하고 라이벌 성격을 뛴 게임을 비교대상을 삼는 것이 현명한 판단일 것이다.

 

비평이라는 자체는 새롭게 나온 게임과 비교하는 것이 아닌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게임에 새롭게 등장한 비슷한 컨셉의 게임과 비교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것은 과거와 현재를 재조명해보며, 그에 따라서 부족한 점과 성장한 점을 판단하는 비평의 미추적인 부분이기 때문이다. 허나 방안은 방안일 뿐 해답은 아니라는 점이다. 시대적인 시각이 변하고 게임이 변하면 자연스럽게 게임에 대한 생각 또한 바뀌어야만 하는 것이 당연하다.

 

게임 비평이라는 부분이 정형화된 구분은 없더라도 게임 비평이라는 것은 글을 읽은 제 3자에게 자신의 경험을 말하며, 그것을 설명, 증명한다는 점을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님들이 기억해 주길 바란다.

             기자 명함 사본.jpg

Who's 임희택

profile
게임 방송 MC&패널이 될 것이다.
게임 칼럼니스트가 될 것이다.
당신이 날 보고 있다면, 그렇게 될 것이다.
Comment '15'
  • ?
    의랑 2008.09.25 22:30
    "게임 비평이라는 부분이 정형화된 구분은 없더라도 게임 비평이라는 것은 글을 읽은 제 3자에게 자신의 경험을 말하며, 그것을 설명, 증명한다는 점을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님들이 기억해 주길 바란다."
    이 부분이 참 감명 깊네요. 전 친구들과 게임에 대해서 얘기하는것을 좋아하는데... 보면 자주 친구들과 의견이 차이가 나요. 전 이건은 별로 안좋다고 생각하는데 친구는 오히려 반대로 생각하더라고요. 그건 그렇고
    "자신이 생각하는 경험적인 부분에 대한 이해와 그 경험적인 부분이 다수의 게이머에게 공감을 이끌어 내야만 하는 어려운 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라고 하셧는데요... 전 좀 다르게 생각합니다. 공감을 이끌어 낼려면 자신의 경험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다른 게이머의 이야기를 듣고 생기는 간접적인 경험의 부분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이 2가지가 적절한 조화를 이룰때 많은 공감대가 형성된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 임희택 2008.09.26 18:15
    #의랑
    의랑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이 틀리다는 건 아닙니다.
    제가 온라이프에 적은 글이 맞다는 것도 아니죠.^^

    몇 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 게임 비평에 대한 고찰에 가까운 글이라 생각되네요.
    그렇기 때문에 비평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이 조금 더 들어간 글이라고 말씀 드려야겠네요.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주말 잘 보내십시오.~
  • ?
    로이악마 2008.09.26 11:30
    게임을 계관 적으로 비평을 하는 것을 어렵습니다. 하나의 사람이 하나에 게임을 비평하다 보면 자신의 주관적인 사고 때문에 정확한 비평이 나오기 힘들기 때문이죠. 하지만 한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들이 하는 비평을 주제로 그것을 따로 비평 주제로 한다면 좋은 비평이 만들이 지지 않을까요?

    한사람의 비평은 자신의 생각일 수 있지만 다른 사람들의 비평을 보면서 한다면 그 하나의 주재에 대한 비평이 제대로 되지 않을까요?
  • 원최8192 2008.09.26 17:11
    #로이악마
    비평이 객관적이던 주관적이던 상관없을거 같은데.
    오히려 객관적인 비평은 리뷰쪽이 맞다고 봄
  • 로이악마 2008.09.26 20:39
    #원최8192
    저도 그 말에는 동의 합니다.
  • ?
    토끼와호랑이 2008.09.26 13:27
    어째서 5년?
  • 임희택 2008.09.26 18:04
    #토끼와호랑이
    아직은 부족하지만, 5년이 지나면 칼럼니스트라고 말할 수 있을만큼의 수준에 글을 적고 싶은 목적을
    간접적으로 말한 것입니다. 지켜봐주세요.

    지금은 어색하지만, 노력하겠습니다.
  • 토끼와호랑이 2008.09.26 22:02
    #임희택
    수준이 떨어져 항상 임희택님의 글을 볼때면 어쩌다 이해안가는 부분도있긴하지만 때로는 게임 리뷰를 보는것보다

    임희택님이 쓰신글 하나 보는게 나을때도 있더군요.. 자만하지않고 거만하지 않고 노력하는 모습이 보기 좋네요.

    수준급에 올라 설 그날이 5년이 채 걸리지 않았으면 하네요.
  • BehindS2 2008.09.27 09:26
    #임희택
    짧고 설득력있는 글이야말로 진정한 글이라고 할수있겠네요 ^^
    온프존에 눈팅만 하는 저이기에 희택님의 새글이 올라오면 무조건 다일고보는 사람입니다 ^^
    그글이 비평이됬든 뭐가됬든 희택님의 글은 여러 사람에게 영향력있는 글이라고 봅니다 ^^
    아뭐 .. 내용과 전혀 상관없는 댓글이되어버렸네요 ㅋㅋ
    (임희택님 팬1人)
  • ?
    2008.09.26 20:25
    사실 이브와 비교하면 국내 모든게임이 질떨어지고 형편없을정도 최신작조차
    나름의 철학조차 갖지못하는 클론게임들은 그저 낮은 수준의 컨텐츠를 복사재생산해 낼뿐이지
    그이상 새로운것을 얻어내지를 아니 구현하질 못함.

    그런데 그중에 아주 기생적으로 기형적으로 변태적으로 던파라는 병설게임이 다양한 컨텐츠를 폭발시키고 다각도의 수익구조를 만들고 유저를 다시금 흥미롭게 하는 여러가지 업데이트들이며 그 업데이트의 단위가 최근들어 한달간격이라는 놀라운 점이 개막장이나 재미있다는 결론을 이르게 하지요.

    비평이란 주관적 객관적을 떠나
    유저스스로가 어떻게 받아들이냐
    어떤 스탠스로 받아들이냐
    등이 중요하지 게임이 몇백억을 들여서
    엔씨에서 만들어서
    넥슨에서 만들어서
    다 허세라고 봅니다.
  • ?
    프린세스칸나 2008.09.26 23:55
    게임의 비평은 누구나 할수있습니다.

    그 게임을 충분한 플레이를 해보았다면 말이죠. 자기 느낌을 쓴느게

    비평이 될수도있습니다. 또한 그게 혹평이 될수도 있죠.

    이러한 글에서 서로의 의견이나 느끼는 점 생각 혹은 새로운 정보를 얻을수있는겁니다.

    게임 커뮤니티 사이트가 왜 그냥 폼으로 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정작 그 글에대한 비난은 어떻습니까.

    비난은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 그것에 대한 행동을 말을해줘도 이해를 하려

    안하고 계속 어리석은 행동을 일삼는 자에게 어울리는 말이 아닌가 합니다.


    비평 과 비난은 글자수 와 시작하는 글자는 같지만 엄연히 다른 성격을 가진 글입니다.

    사람으로서 감정으로인해 비평이 비난으로 갈수있지만 그것에대한 자제력을 가지고

    있는게 또한 사람입니다. 우리모두 노력합시다. 온라이프 7주년 입니다.
  • ?
    사악한악동 2008.09.27 00:34
    칸나님말의 동의..

    비평과 비난의 차이를 모르는 것 같은 인터넷.

    저도 때론 글을 쓰던지 읽던지 이게 비평인지 비난인지 헷갈릴정도..

    하지만 비평속에선 알지 못했던 사실을 알게 되고

    거기에 대한 반론, 동의가 이뤄지면서

    점차 나아지는 길로 가길.

    (이글과상관없는건가 -_-;;)
  • 로이악마 2008.09.27 00:50
    #사악한악동
    여러 비평을 보면 하나에 게임의 비평을 완벽에 가까운 비평을 끌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
    제로스타 2008.09.30 15:26
    음 저도 임희택님의 글을 가끔 보는데

    뭐 이 뒤부터는 제생각일 뿐이니 맘에 안드시면 안보셔도 되지만

    짧은 제생각을 쓰겠습니다.

    우선 일부러 그렇게 쓰시는 건지 아니면 원래 스타일 인지는 모르겠으나

    말투를 일부러 어렵게 보일려고 돌아가는 듯한 느낌이 드네요

    뭐 나쁘단말은 아니지만 뭔가 있어 보이려는 듯한 겉치레같은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아무 생각 없이 글을 읽어도 필자의 말하고자 하는 중심내용은 머릿속에 남아야 좋은글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희택님의 글은 집중해서 읽어도 반복해서 봐야할정도로 어려운 문장을 쓰시는 듯하네요

    물론 제가 좀 모자라서 그런것일 수도 있겟지요 ㅠ

    그러나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글이 좋은글이 아닐까요

    또한 지금까지 몇몇 게임에 대한 비평글들을 보아 왔지만 항상 드는느낌은

    유저들이 싫다고 말하는 그부분 한 부분만 가지고 게임이 망하거나 안좋게 흘러가는 듯하게 쓰시는 경향이 있네요

    좀 더 거시적인 시야를 가지셔야 할듯 합니다.

    게임이란 여러가지 복잡한 요소 요소들이 뭉쳐져서 이루어 지는 것인만큼

    게임이 망하는데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좁은 시야를 가지고 게임을 판단하게되면 그 글을 읽는 사람들도 시야가 좁아 질 수 밖에 없겠지요

    앞으로는 유저가 쓰는 리뷰같은 글이 아닌 좀더 객관적이고 여러각도의 시야에서 게임을 관찰하고

    그 관찰에 대한 글을 쓰셨으면 좋겠네요

    허접한 저의 글을 읽어주셨다면 감사합니다.
  • 임희택 2008.09.30 16:24
    #제로스타
    안녕하세요. 임희택 입니다.
    근무 중인데.. 답변을 적는 절 용서하시며, 답변을 드리고자 합니다.
    사실 저 또한, 글을 읽었을 때 받게 되는 목적과 그 내용이 알기 쉽게 설명하는 글이 가장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예전에 온라이프에서 활동하시던 어떤 님에게 제가 요구한 내용이기도 했으니까요. 어쩌면 참 부끄럽네요.

    제가 타인에게 글 표현 수준이 높으니, 평균적인 글을 적어주시는 게 좋지 않을까요? 라고 말하던 제가...
    그러한 말은 온라이프님들에게 받으니, 모호한 마음을 감출 수 없네요. 죄송합니다. ( __ )꾸벅;;;

    그러나 예전과 다르게 온라이프님들 또한 지적수준이 올랐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과했다면 저도 고쳐야할 부분이라면 즉시 고칠 순 없겠지만, 머리속에 넣어두어 더 큰 실수를 하지 않았으면 하네요.^^;;;



    그럼 글 내용으로 들어가서, 게임이라... 포괄적인 문제겠죠. 그러나 게이머가 게임을 함에 있어서, 특정 단점이란 곧 크리티컬한 유저 손실로 갈 수 있음을 누구나 아실 것이며, 여기서 가장 크리티컬한 부분을 지적하고자 하는 것이 아마도 저의 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물론 타인이 보기에 그 크리티컬한 부분이 어떤 부분이다. 말한다 하여 그 분들에게 동의를 얻을 수 있고, 그렇지 못함을 오랜 시간 글을 적어오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글이 리뷰나 일반적인 글이 아닌 칼럼이라고 밝혔던만큼, 개인적인 저의 색채로 게임을 바라본 글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원인과 결과론으로 많이 게임을 따져보는 성향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네요.^^
    칼럼이라는 것에 대해서 장문의 글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전하고자 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것을 정하고, 말함으로써 얻게 되는 것은 여러분들의 의견이며, 저 자신에 대한 무식함이 아닐까 생각하네요.

    이렇게 만들어지고 얻어지고, 알게 되는 것들은 저에게는 중요한 정보이며, 가르침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온라이프를 참 좋아합니다. 흠.. 글을 많이 적긴 했지만.. 제 생각은 스타일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그리고 제로스타님과 같은 분들이 계시기에 제가 적은 글이 조금이나마 더 중심을 잡을 수 있는거라 말씀 드리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__) 그럼 저는 근무하로.....식사 챙겨드세염.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06 칼럼 강물처럼의 로망과 행복 Last Kingdom 32 3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09.29 10212
1005 나도한마디 게임에는 편법이 필요하다, 1 마루 09.28 2122
1004 나도한마디 던전앤파이터, 해킹에 대한 끊임없는 대응과 노력 12 9timez 09.28 6346
1003 나도한마디 리얼감있는 온라인게임이 재미있다. 8 ℡№ 09.28 2964
1002 나도한마디 온라인게임이 싫다 . 12 Kanzi'Ahn 09.27 3328
1001 나도한마디 게임은 원래 순수하다. 11 2 9timez 09.27 2216
1000 나도한마디 여러 사람들을 사귈 수 있는 만남의 창, 온라인게임.. 12 천무 09.27 3947
999 나도한마디 내가 했던 게임은... 5 로이악마 09.27 2337
998 나도한마디 10년전 놀라움을주었던 '바람의나라'를 생각해봅니다. 2 큐파츠 09.27 3074
997 칼럼 시간대에 따라 아이템이 드랍될까? 9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09.27 3729
996 나도한마디 온라인게임, 부디 당신이라도 1 ℡№ 09.27 2347
995 나도한마디 신작아닌 신작.... 언제까지 계속 되는것인가? 5 블랙와이번 09.27 2438
994 나도한마디 더 이상의 발전은 없는것인가 .. ? 10 Kanzi'Ahn 09.26 2263
993 나도한마디 현질없는 게임을 달라 !!! 19 Kanzi'Ahn 09.26 5055
» 칼럼 [임희택] 게임 비평이란.. 15 1 임희택 09.25 3469
991 칼럼 [임희택] 몬스터 헌터, 결국 너도... 35 2 임희택 09.25 60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239 Next
/ 239
많이 본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