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2370 추천 3 댓글 11

▲ 중국에서 운영 중인 프리서버 전문 사이트




프리서버. 상당히 많은 온라인 게임에 존재한다.

프리서버가 가지는 목적은 과연 무엇이며, 그로 인한 장단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말해 보려고 한다.


우선 프리서버란 무엇인가?

프리서버란?

게임 서버를 제작 및 운영하며 게임에 대한 저작권 및 서비스 권리를 소유하고

있는 업체 (이하 서비스업체)의 동의 없이 영리 / 비영리 목적으로 다른 단체

또는 개인이 서비스업체 이외의 서버에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행위 또는

서버 자체를 지칭하는 말.


▲ 중국에서 운영 중인 뮤 프리서버 홈페이지


▲ 중국에서 운영 중인 미르의 전설2 프리서버 홈페이지



프리서버는 스타크래프트, 디아블로2, 워크래프트 등과 같이 베틀넷이 지원되는 게임의 경우

정품 CDKEY가 있어야만 지원하는 서비스에서 비정품 CDKEY를 가지고도 프리서버에서는

다른 유저와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게임개발사의 경우에는 이로 인한 피해가 막대하고, 저작권, 컨텐츠 등의 문제가

생겨난다. 이로 인해, 게임개발사에서는 지속적인 피해로 인해 게임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한 피해는 결국엔 정품 소프트웨어를 사들인 유저가 입게 된다.



국내 온라인 게임의 경우는 어떠한가? 한번 살펴보자.

국내 온라인 게임에 프리서버가 존재하는 게임의 경우, 대부분이 유료화가 된 경우가 많다.

몇 십억원에서부터 몇 백원억원에 해당하는 개발비를 프리서버에 의해 피해를 입는 개발사의

입장을 과연 프리서버 유저들은 생각을 해 보았는가?


현재 존재하는 프리서버의 경우,

N개발사의 L게임1, 2

W개발사의 M게임

그외 R게임, S게임, D게임 등 밝혀진 게임만 해도 엄청나지만, 이 외에도 공개되지 않는

프리서버가 상당 수 존재한다고 한다.

불과 몇년전의 프리서버는 운영의 취약한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했으나, 지금의 프리서버의

경우에는 정식 게임 서버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운영면에서도 크게 발전하였고,

동시접속자 수가 천명에 달하는 게임도 존재한다고 한다.

국내의 온라인 게임이 중국에서 인기가 있다는 것은 많은 보도를 통해서 알고 있을 것이다.

중국의 경우에는 프리서버가 국내보다 더욱 전문화 되어서 운영되는 경우도 많다. 버젓이

정식 홈페이지까지 만들어서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마치 자신들이 만들어 제공하는 듯한

느낌까지 준다.




프리서버 관련기사1


프리서버 관련기사2

프리서버 관련기사3





프리서버가 존재하는 문제는, 개발사의 피해 문제 뿐만 아니라, 크게 보면 우리나라 게임산업을

저해시키는 일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왜 소프트웨어 위주의 패키지 게임이 왜 망했는지는, 구지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알것이다.

자신의 영리를 위해서 불법적인 방법으로 게임을 즐기는 것은 올바른 유저의 몫이 아니라

생각한다.





올바른 게임 문화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이제는 음지에서 양지로 나와야 할 것이다.
Comment '11'
  • ?
    레인 2008.01.13 13:19
    제 생각이지만

    전 프리서버를 좋게 또는 나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단지 프리서버를 이용해 돈을 버는 놈들이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해킹,프리서버 유료)
  • ?
    횽아 2008.01.13 13:45
    레인님 유료게임의 경우 프리서버로 인해 이용자가 미미하겠지만 줄어버린다면 기업 입장에서는 손해 아닐까요 -,.-

    혼자서 아이템 성능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뭐 별 무리 없겠지만 여럿이서 한다면 아무리 소수라도 그것은 기업에게는 손해라고 보는데..
  • ?
    횽아 2008.01.13 13:46
    아 물론 좋고 나쁨을 떠나 질문을 드리는것..
  • ?
    최누 2008.01.13 13:50
    추억을 되살리기 위해 프리서버를 하는건 찬성인디 ㅇ _ㅇ
  • ?
    ALBICO 2008.01.13 15:23
    a
  • ?
    Lusy 2008.01.13 18:25
    저도 프리서버를 햇었는데 저같은경우는 프리서버가 오이려 본섭보다 운영을 열심이해서 했었다는 본섭은 막장은아니어도 커뮤니티등등문제가 ㄷㄷ
  • ?
    불량제비 2008.01.14 00:55
    우리나라 프리섭은 솔직히 커뮤니티위주와 본섭보다 즐겁게 하는사람이 많아서
    물론 나쁜거지만 어느정도 유저로 볼때 괜찮은면도 있다고 보여지는데..

    외국이 진짜 심하더군요... 그냥 아예 돈받고 아이템들 팔더만요;;
  • ?
    천랑성˙˙ 2008.01.14 08:21
    프리서버는 어떠한 이유에서든 정당화 될 수 없습니다.

    노력과 시간을 들여서 서비스를 하는 회사 입장에서는 도둑놈 보듯이 하는건 당연하죠.

    그 회사의 것인데 함부로 서비스를하고 영리를 취한다는 것은 매우 나쁜 불법행위죠
  • ?
    LookON 2008.01.14 23:29
    프리서버는 일단 천랑성님 말마따라 거의 무조건 불법행위입니다. (몇몇 저작권을 포기한 게임을 제외하고는) 더군다나 상용화 서비스중인 게임(W사의 M라던가 N사의 L이라던가)의 경우 불법 프리서버의 등장은 게임회사에 적든 크든 영향을주죠. 유저의 입장에서 생각해서 '무료로 유료게임을 본서버보다 편하게 즐길수 있으니 좋은거'라고 생각하고 즐기면 안된다는 겁니다.
  • ?
    주노 2008.01.17 13:40
    프리서버없으면 게임시장이 훨씬 더 발전했을꺼라 생각하는 1인.
  • ?
    총군 2008.01.26 07:38
    음...
    프리섭을 하는이유는 본섭에서 하지못한것을 하기위해서 이기도 있고.
    요즘 솔직히 말하자면 L1.2 게임 옛날에는 유저와 함꺠 만들어가는 게임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보면 꼭 기계같습니다.
    어떻게보면 그냥 프리섭은 돈도 안들고 그냥 유저끼리 레벨업도쉽고 장비 맞추는잼이도 참쉽습니다.
    그러기떄문에 오토가 많이퍼진 본섭보다 프리섭이 낮다고봅니다.

    그리고 "M*"라는 게임은 처음나왔을떄 화려화 장비 와 지금까지 느껴보지못한 그래픽이 였기떄문에 엄청난 호흥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지금 봐보세요 "mn"든 "L(1.2)"든지간에 오토도 많아지고
    점점 그냥 돈벌이 로만이 쓰여지는데..

    과연 유저들이 기계같은 본섭보다는 자유롭고 서버가 활기찬 프리섭을 찾지않을가요..?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X / 댓글 작성: 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39 다크에이지오브카멜롯 VS 릴 30 ☞흑풍☜ 12.10 3682
838 바람의나라vs리니지 12 괴도l모델 12.22 2620
837 3D세피로스 & 2D테일즈 위버 42 카이저 12.29 3706
836 I.M온라인 VS 불멸의 소도 17 아홉살인생 12.31 3091
835 2002최강의 그래픽게임과 최악의 그래픽게임 74 ★☆★☆★☆ 01.02 7640
834 『A3』와 『테일즈위버』 비교,분석 79 ▦카르디스▦ 01.02 6757
833 Real 3D online game ATHANASIA vs Risk Your Life 39 유피테르 01.03 4689
832 무협게임『디오』와『신영웅문』비교, 분석 41 ▦카르디스▦ 01.04 3484
831 해외게임Vs한국게임.세피로스 & 다크에이지 오브 카멜롯 34 카이저 01.04 5274
830 유료게임 라그하임2003 VS 오픈베타 게임 테일즈위버 31 레무리아 01.05 3455
829 Vastina VS Depth Fantasia 최고 최악의 게임은 !? 39 Rigell 01.06 4458
828 최고의 게임 릴 최악의 게임 샤이닝로어 25 지존의꿈 01.10 2216
827 패키지껨으로 우리나라를 대표한다는 3개의 회사 온라인.. 23 인간말종 01.10 2531
826 가장 기대 했던 게임vs가장 기대 하지 않은 게임 23 루시퍼 01.10 2820
825 내가 생각하는 올해의 최악의 게임~!!!!!!!! 17 유후~☆ 01.10 3208
824 올해 가장 잼나게했던 겜 천상비 + 프리스톤테일! 19 친구 01.11 20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5 Next
/ 55
많이 본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