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9414 추천 7 댓글 31
얼마 전 미(美) 육군이 개발한 AA(America Army) 온라인이 국내에서 서비스를 개시했다. 실제 미국 포트 베닝(Fort Benning) 훈련소에서 교재로 활용되고 있을 만큼 뛰어난 사실성을 자랑하는 이 게임은 기존의 비슷비슷한 FPS 류에 식상한 많은 밀리터리 매니아들에게서 호응을 얻고 있다.

국내 게이머들의 반응은 비교적 신기하다는 평이다. 일반 게임개발사가 아닌 군에서 게임을 개발한 것도 그렇거니와 실제 분대전투 교본에 기반한 플레이 역시 뛰어나 비교적 부정적인 군의 이미지를 쇄신할 만하다는 평가이다.

사실, 군과 게임의 관계는 무척이나 오래되었다. 둠(Doom) 이라는 게임을 기억하는가? 1993년 이드(ID) 소프트웨어가 개발한 이 게임은 당시 쉐어웨어 다운로드 방식을 선보이면서 전세계적으로 1,500만부가 다운로드 되었을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처음 일반 게이머를 대상으로 판매되었던 이 게임은 당시 미국 해병대의 집단 전투훈련을 위한 군사 시뮬레이션으로 채택되었다. 값비싼 3차원 시뮬레이터 대신에 불과 수십 달러의 게임으로 군사훈련을 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IT 기술은 군사기술에서 파생된 것이 많다. 흔히 가상현실이라 통용되는 기술들은 과거 군사용 시뮬레이터에서 기원한 것이다. 실제 전장을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그래픽 구현의 기술들이 고안되었고 수정되어왔다. 이러한 VR(Virtual Reality : 가상현실)의 실제적 구현은 10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세기 말 미국에서 링크 주니어(E. A. Link, Jr.)라는 엔지니어는 최초의 비행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그는 이 장치에 대해 '비행 훈련생을 위한 훈련기구와 오락기구의 혼합'이란 명칭으로 특허를 출원하였는데 현대에 이르러 많은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이 판매되고 있는 것을 생각해보면 매우 의미심장한 말이 아닐 수 없다.


값싼 FPS 게임으로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것은 비단 DOOM 의 경우만은 아닌 듯 하다


더 안전하고, 더 경제적인 군사훈련을 위한 시뮬레이터, 혹은 흔히 C4I 로 통칭되는 지휘통제통신전산정보체계의 구축을 위해 고안된 기술들을 현대의 게임들에서 찾아보기란 어렵지 않다. 매년 언론에 보도되는 한미연합 을지 포커스 렌즈(UFL)을 비롯한 여러 군사 훈련에서 실시되는 워게임은 온라인 게임의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과 닮아있다.

두 집단으로 나뉘어진 군 병력은 BCTP(Battle Command Training Plan) 장비의 도움을 빌어 실제 전시에 따라야 할 작전계획을 숙지하게 된다. 병사들은 모니터 앞에서 인사, 정보, 작전, 군수 등을 담당하는 각 장교들의 지시에 따라 키보드를 두드리고 이들 병사들이 입력한 명령들은 중앙 서버로 전송되어 이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군의 상황과 유기적으로 반응한다. 동시접속자 수 백명의 온라인 게임이라 불러도 그다지 틀린 말은 아닌 것이다.

한편, 구소련의 붕괴로 촉발된 냉전의 종식은 필연적으로 군사비의 삭감을 가져오게 되었는데 이는 많은 군사용 기술들의 민간으로의 이전을 촉진시켰다. 특히 1990년대에 이르러 록히드 마틴, 보잉 등의 군수용 항공기 제조사들은 떨어진 군의 수요 때문에 그동안 개발해오던 군사용 비행시뮬레이터의 기술을 민수용으로 활용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특히 오락산업의 급격한 성장은 이러한 기술을 게임산업으로 유입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게임기술과 군사용 기술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최근에는 게임개발사들이 군사용 시뮬레이터를 보급하기도 한다. 비록 워게임 시스템 구축 등의 대규모 프로젝트는 정통적으로 대기업 산하 개발사들이 도맡고 있지만 규모가 작은 시뮬레이터 개발등은 중소 게임개발사들이 수주하기도 한다.

미 육군에서 제작한 AA 온라인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제작한 게임들의 경우에도 군사적인 요소를 상당수 차용하고 있다. 정통적인 비행 시뮬레이션은 물론이거니와 해외게임들 중 팀기반의 PvP가 활성화된 게임의 경우 현대전의 특징을 발견하기란 어렵지 않다. 특히 비교적 매니악하다고 평가받는 게임들 중 PlanetSide 라는 게임의 경우 현대 전장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포병의 포격이 이어진 후 전차부대가 진격을 하면 항공기는 근접지원을 하며 차량을 앞세운 기계화 보병이 작전지역을 점령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렇듯 현재에 이르러서도 군과 게임의 관계는 지속되고 있다. 어쩌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게임을 통해 모의 군사훈련을 받는 일도 있지 않을까? 지금 이 순간 개발되고 있는 게임 혹은 출시일을 기다리고 있는 게임들에게서 군사적인 요소를 찾아보는 것도 흥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온라이프21 객원기자 '황성철']
가끔 삐딱하게 보면 세상이 달라 보인다.



Comment '31'
  • ?
    엘류어드 2005.03.12 14:12
    에혀 나도 군대갈때 다됐는데.;
    위안이 되는말이군...울나라에서도 이렇게 되면...좋겠다...;ㅅ;
  • ?
    국사자습서 2005.03.12 14:20
    aa온라인.. 너무어려워.. -_-;;





  • ?
    가시고기 2005.03.12 14:53
    자료 화면의 게임은 FPS게임의 신화 '카스'..?;;
  • ?
    이브 2005.03.12 15:32
    저도 AA온라인 적응안댐


  • ?
    마법선생네기 2005.03.12 16:03
    AA너무 현실감때문에 힘들죠...저두 겨우 36발 미션깨고...스나이퍼 훈련은 매우 쉬움-_-;;
  • ?
    新에스페르츠 2005.03.12 16:04
    AA는 스포하다 하니깐 느린것같아서
    스피디한 스포를 선호
  • ?
    사가라 2005.03.12 17:49
    카스에 너무 익숙해져버려서..
    스포나 AA등등.. 다른FPS 못만지겠심 ㅠ_ㅠ
    카스가 쵝오 -_-)b
    벨브 사절 스팀 사절 1.5 만쉐
  • ?
    케로베로스 2005.03.12 18:20
    그러고보니 군복이군.....
    전 스포가 쵝오 +_+
    근데 스피디하고 스포는 좀 연관성이 없는듯..................
  • ?
    †다스몰† 2005.03.12 18:49
    카스만세 1.5만세 (/ㅅ)/ 잇힝
  • ?
    라크엔시엘 2005.03.12 19:15
    람보식이 아닌 팀플의 묘미를 느끼는 게임

    혼자 다 죽인답시고 뛰어들면 "나죽여주셈"하는꼴

    그만큼 커뮤니가 중요한 게임이에요..
  • ?
    아아악아후 2005.03.12 20:01
    하아-_-내가격은FPS게임중젤낫다;

    무조건 돌격이 아니라 분대장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고

    자기 위치 알려줘서 유탄 막아주고 수류탄 못쏘게 하고,

    스나이퍼 훈련받았다고 스나이퍼만 하는게 아니라

    유탄병 돌격병 자동소총 다 할수 있고

    근데 너무현실성을강조해서 난이도가;;;;

  • ?
    돈쟁이 2005.03.12 20:17
    카스 잼있죠!! 군대 에서 훈련할때

    월샷 은 제외 시키고

    방탄복 벗고 싸우면 훈련용 딱이네!! ㅋㅋ

    암튼 짱깨는 웃겨
  • ?
    아파 2005.03.12 22:08
    AA가 잴 낫더라.. 재미만 있던데..

    문제는 트레이닝 같은거지..

    다른 겜은..
  • ?
    신발샛길 2005.03.13 11:04
    아 이거 아메리칸 아미군요.
  • ?
    succes 2005.03.13 12:23
    지금 카스 1.5로 멀티를 즐기는건 엄현히 불법인데..
    전 1.5 하다가 1.6 으로 넘어왔는데..
  • ?
    ≥∇≤부끄™ 2005.03.13 12:44
    인터넷도 미군이 쓰던 알파넷이 기초엿는데..
    컴터와 군인은...것참 이어져있구만..
  • ?
    Orphic 2005.03.13 16:07
    게임성 A 인기도 A 재미 A ..

    그러나 이게임의 단점이있다면.. 훈련중 특수훈련 해보신분들은

    아실겁니다.. 도중에 6사람하고 대화 하라는 임무가 주어짐니다.

    한사람 한사람 클릭해서 영어로 말하는걸 일일이 다들은후

    머리가 검은색에 미국군복을 입고 한국말 하는 놈이 있습니다.

    주요인물이죠.. 그놈말하는거 잘 들어보시면

    기가 차실겁니다.

    "우리 미국군인들을 동료를 위해 목숨바쳐 나라지키는데

    너의 한국 사람들은 이런게임을 즐기냐?" 라고 말이죠..

    참 그말 듣고 나니 바로 정이 딱 가버리더군요.

    아무리 미국 국방부니 찌질이 들이 만들었다쳐도

    이걸 수입해서 유통하는 다음회사는 게임내용을 보지도 않고

    사람들에게 유통시키는거 보니 정말 부끄럽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전 한국인으로서 그말을 들으니 기분이 상해

    안했지만 구지 재미있는데 이것때문에 하기 싫다고 머 그러진

    마시고 과연 우리가 무엇때문에 이런 소리를 들으면서

    게임을 해야하는지를 생각해 봤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
    unplug 2005.03.13 16:36
    이런말 죄송합니다만 아직 군대도 안갔다온 어린분들이 스포같은거 소리 엄청 크게 해놓고하면 뒤통수 한대 쳐주고 싶다는;; 소리좀 줄이고 해라! 옆사람 너무 피해주지말고
  • ?
    라프티 2005.03.13 17:29
    오픽(?)님.. 저도 그거 하다가 말하는거 들었는데
    안녕하세요? 하다가 갑자기 반말해서 놀랐는데 그 내용이였군요. 그건 그렇다치고..
    원래 인터넷의 시초 알파넷도 군사용이고. 에니악도 뭐 군대에서 계산할려고 만들은거 아니였나요?
    그렇게 되면 군대가 중요한건가
  • ?
    2005.03.14 10:04
    FPS게임의 기본은 해드셋인걸 모르는 사람 많죠.

    겜방가면 소리 겁나게 크게 틀어놓고서 겜하는 사람들.....

    싸플이 먼지도 모르는 찌질이들....

    FPS게임 할려면 해드셋끼고 싸플 하면서 좀 하지..

    게임을 할줄 아는건지 모르는건지..

    FPS의 지존 "카스"

    그 외의 겜들 다 즐~~~
  • ?
    DESIGN 2005.03.14 12:33
    우리나라에 FPS 게임들에 특징은 비현실성이라는 거죠....

    맵도 작을뿐더러 현실적인 무기보다는 가상의 무기나 아니면

    단순히 재미를 추구한 게임들이 많은데

    해외 FPS게임들에 경우 재미와 팀플 그리고 작전이 필요한

    경우가 많죠... 우리나라는 언제쯤 군대에 게임을 이용한 훈련을

    펼칠수 있을지.... 저런거 하면 정말 군대갈려고 발버둥 치겠다

    군대에서 힘들게 훈련하는것도 하나의 재미이겠지만 게임을 하

    면서 훈련을 하면 더 재밌지 않을련가
  • ?
    Msword 2005.03.14 16:53
    카스빼고 즐 하는 사람들도 있군...
    사플이 중요한건아나 카스에서 사플이 중요하다고 해서
    사플을 모르는 플레이어를 비하하는건 좋지않다.
    카스 요즘은 게임성은좋으나 변화없는 인터페이스. 식상한 그래픽에
    슬슬 뒤쳐지는 추세다. 스팀 도입되고 나서 게임도 불편해졌다. 요즘 서버가면 예전보다 훨씬 줄었다는것이 느껴진다. 뭐 그래도
    여전히 fps중에선 많긴하나 게임성과 현실성으로 본다면
    카스는 AA에 미치지 못한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이말에 뭐 나리카스가 어쩌구 저쩌구 카스가 전통이 어쩌구
    너무 미국중심 어쩌구저쩌구 말이 많을것 같으나
    늘 카스만 하면서 카스빼고 찌질 즐! 해대는 X도모르는
    유저들에게 그냥 한마디 하고싶어서 쓴다.
    다른게임도 플레이 해보고 자기에게 안맞으면 안맞는거지
    꼭 그렇게 카스하는 유저들이 지존이다 이런식으로
    다른게임을 비난하고 싶은가.
    카르마나 스포의 경우도 카스등 홈페이지에선 욕을 많이
    먹던데 뭐가 어쩌고 가가 어떻든 나가 어떻든 모두
    그 게임 사정이다. 비교하면서 욕하는건 흡사 어릴적
    자신의 시험성적을 부모님께서 다른 친구 혹은 친척과
    비교하는짓과 똑같다고 보는데..?
    생각하고 입장을 바꿔보고 그리고 머릿속을 10바퀴 이상
    돌려가면서 글을쓰자. 대충지껄이는 짓은 이제 그만 할때가
    됐다고 본다.
  • ?
    이토이토 2005.03.14 17:27
    이겜이 이번에 나온게 아니라...만들어진지는 꽤 오래 됬습니다
    확실한건아니지만 이게 2003년도인가..만들어졌다고 들은거같은데 2003년도에 만들어진겜치고 지금나온 스포나 카스에비해서 그래픽과 게임성 사실성은 객관적인 입장에서 지금나와있는 FPS중 최고라고 말씀드리고싶네요.
    그러나 단점이있다면 한글화가 100%된게 아니라는점과
    한글화가 100프로가아니라서 처음접하는사람한테 불편함을 줄수있다는점 채팅창글씨크기가커서 글쓰기가 불편하다는점 결정적으로 다음게임에서 서비스하고있다는점..정도겠네요
  • ?
    蚩尤天皇 2005.03.14 19:12
    저역시 작년쯤에 해보려고 시도하다가 안되서 포기한
  • ?
    동그라미 2005.03.14 22:21
    이젠 단순한 총질 시대도 끝나 가는구나...ㅋ 역시 팀풀/컨트롤 시대가 올줄알았다니깐 ㅋㅋ
    그리고 Msword 님 글에 전적으로 동감... 머든 자기가 하는 게임이 다 제일 인줄 아는 그런 X도 모르시는 분들이 요즘 꾀 많다죠..장난으로 하시는분이야 재밋기라도 하지만...진지하게 그러시는분들은....정말이지 만나면 승룡권 한번 찐~하게 먹여 주고 싶어요..
    에휴...그들의 영향이 이젠 나이 먹은 사람들에게 바이러스를 다 뻐쳣구나...에휴...점점 인터넷 세상이 찌그러져 가는 느낌이 드네요;;;
  • ?
    올드 2005.03.23 00:52
    ~○~FPS매니아라면 필수소지품~○~

    --------------------------------------★★★★★
    해드셋 [이어폰등 제외,커다란해드셋일수록 좋음]
    ex 3.0 마우스같은 고급마우스[볼마우스 강츄]
    젤패드 및 청패드 [패드없이 FPS고수가 될수없다!]
    --------------------------------------★★★★★



    ~☆~마우스감도는 최대한 부드럽게~☆~
    [[[[ XP라면은 제어판-마우스-하드웨어-속성-고급설정-샘플-200을 하도록 하자. 마우스가 부드러워진다.
    98이라면은 심파일[simfile.net]등에서 ps2 마우스 등을 검색해서 마우스를 부드럽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200으로 맞춰준다 ^^;;]]]]]

    -------------------------------------------------------
    게임상

    퀘이크나 언토같은 FPS라면은 센시를
    최대로 해주거나 마우스가속을 붙여준다!!

    카스나 솔포2같은 FPS라면은
    왠만해서 센시를 최하수준으로 맞춰준다!!
    정확도가 중요하다!!! 점사를!!
  • ?
    꾸라준 2005.03.25 10:01
    "우리 미국군인들을(=>은) 동료를 위해 목숨바쳐 나라지키는데

    너의 한국 사람들은 이런게임을 즐기냐?"
    라는 데목이져..
    정말 열받는 대목이져..

    AA온라인 정니미가 떨어지네요..
    그래도 좋다고 하는 찌질이들이 있어요..ㅋㅋ
    한국인이라고 욕먹으면서도 미군에 충성하라는 내용인데..
    아이고 좋다 하고 열심히들 하네요..캬캬
  • ?
    카루님 2005.04.06 19:26
    멀티와 팀플의 묘미는 울펜이 지존. 맵도 엄청 크고 오브젝티브도
    엄청 복잡하고 많음. 이것이 유저들이 적은 이유와 한번 매니아는
    영원한 매니아를
    보유한 양날의 칼임 머 1년이상 안 해봤다면 태클즐
  • ?
    ★옭옭옭★ 2005.04.20 20:12
    뭐? 미국넘들 저희가 목숨을 걸고 나라를 지켜??
    쇼하네... 맨날 쳐들어가는것밖에 더하나??
    목숨걸고 나라지키는건 우리나라다..ㅡ.ㅡ
  • ?
    Ls^탱이 2005.04.25 05:14
    AA에 나오는 한국음성 그런내용이 아닌거 같았는데..
    자기들도 안하는 이런 재미없는 게임을 왜 하고있냐는 식의
    비아냥거리는 말이었던거 같은데요..
  • ?
    초록눈의i 2005.06.25 12:36
    군국에서 게임이라...............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X / 댓글 작성: 0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9 기획기사 RF온라인 요금제 발표 이후 29 OnLife 10.29 10494
118 기획기사 부러운 대만 PC방 22 OnLife 10.01 10398
117 기자수첩 wow, 유료화 첫날... 87 OnLife 01.18 10301
116 기획기사 게임순위, 믿을 수 있나? 35 OnLife 12.10 10124
115 기획기사 [헤르콧] 어제보다 나은 내일이 기다린다. 37 OnLife 06.21 10011
114 기획기사 누군가는 웃고 있을까? 30 OnLife 08.12 9556
» 기획기사 군대가 게임을 만들다 31 7 OnLife 03.12 9414
112 기획기사 허탈한 국내 개발자들 31 OnLife 06.26 9403
111 인터뷰 빌로퍼, 헬게이트:런던 관련 인터뷰 26 OnLife 05.11 9290
110 기획기사 [구룡쟁패] 나를 빼놓고 무협을 논하지 말라! 26 OnLife 06.15 9071
109 기획기사 WoW가 가진 몇가지 중대한 문제들 46 OnLife 10.16 9016
108 인터뷰 [넥슨] 온라인게임 업체 지지도 1위!! <넥슨> "서원일" 대표와의 인터뷰 37 OnLife 05.13 8834
107 X-File [넥슨] 온라인게임 업체 지지도 1위!! <넥슨> "서원일" 대표와의 인터뷰 37 OnLife 05.13 8784
106 기자수첩 이런 사람 제일 싫다. 101 OnLife 01.03 8738
105 기획기사 알고나 싸우는지 궁금합니다. 44 OnLife 01.08 8464
104 기자수첩 길드워의 흥행 부진, E-스포츠 행보에 난관 32 OnLife 05.10 84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