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6028 추천 3 댓글 8


이번 글 주제는 저연령층 유저들의 소비문제와 해결방안이 무엇일까? 라는 주제로 글을 다루겠습니다.

현재 저 연령층 유저들의 소비가 "왜?" 문제시 되고있을까요?

저연령층의 유저들의 소비형태가 문제되는것은 단순히 게임에 돈을 많이씀에 있어서가 아닙니다. 저연령층 유저들은 부모님의 주민번호를 사용해서 가입을 한 후에 결제를 합니다. 그것도 아무도 모르게 말입니다.

우리나라같은 경우 외국과는 다르게 어릴때 경제적인학습을 가정에서 배우지 못하는 현실입니다. 일부 가정에서는 어릴때부터 경제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도록 유도하는 교육을 하고 점차 경제에 대한 중요성때문에 이제는 우리나라도 점점 가정에서부터 경제 교육을 실시하고 있긴합니다만(용돈기입장 등의 아주 쉬운방법) 이런 가정의 수는 그리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는것도 문제가 되고있습니다.

어릴때 경제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은 대부분 고등학교에 진학하고 난뒤에야 경제교육을 받기시작합니다. 하지만 이때 받는 경제교육은 국제적이고 넓은범위의 경제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몸으로 받아들이고 실천하기에 무리가 있는 부분이 많다는것을 이해하실것 같습니다.

만약 경제교육을 어릴때 받지 않은 학생이 중퇴출신까지 되어버린다면, 그 학생은 돈을 벌어도 실제로 돈을 소비할땐 물쓰듯이 소비하기 마련입니다. 주위에 이런 케이스의 주변인이 있다면 제 말을 이해하실수 있을거라고 믿습니다.

그리고 아이러니 하게도 경제에 대한 개념을 확실하게는 모르지만 몸으로 받아들이는 학생들은 오히려 "가난한"학생들입니다. 어릴때부터 가정환경이 어려웠기에 돈을 쓰지 않고 모으는 습관이 베어버리게 되는것입니다.

이정도 되면 경제에 대한개념은 중학교때 배워서 몸으로 익히는 것이 아니라는것을 짐작하시리라 믿습니다. 경제개념은 아주어릴때부터 몸으로 익히게 되어버리고 중학생쯤 되면 엄연한 경제인이 된다고 보셔두 되겠습니다.

이렇듯 우리나라에서의 저연령층 유저들의 소비가 문제시되는것은 이런 교육이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게임회사에서는 이런 저연령층의 소비를 받아주고 있다는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게임회사에서는 나름대로 이런 저연령층의 무자비한 소비를 막기위해 부모님동의서등의 증거제시를 요구하고 있긴합니다. 하지만 위에서도 말했듯이 저연령층의 문제는 부모님의 주민번호를 도용해서 사용하고 있는 아이들이 문제시 되고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게임회사에서도 이런 저연령층의 소비문제를 "강력하게" 제재를 할줄알아야 할것같습니다. 이런 저연령층을 상대로 상업적으로 돈을번다면 그저 장사치밖에 되지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하셔야 할것같습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이런 저연령층 유저들을 색출하기란 회사내에서도 매우 힘든부분입니다.
수많은 유저들에게 일일이 전화로 알아볼수가 없기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저연령층의 소비문제를 해결할 방안 몇 가지를 제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제시하는 해결방안이 무조건 옳은것만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또 다른 의견이 있으신분은 댓글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첫번째,
"가장 시급한것은 아이들의 기본경제교육입니다." 위에서 제시했듯이 어릴때 경제에 대한 무지에서 이런 무자비한 소비를 하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건 역시 가정에서의 경제교육이 가장 시급하다고 봅니다.



#두번째,
"가정에서 아이들에게 컴퓨터를 일찍배우게 하십시오. 그리고 게임은 아이들과 같이해주세요." 첫번째 말이 좀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습니다. "게임때문에 가뜩이나 문제인데 왜 컴퓨터를 빨리 접하게 하라는거지? 말이 안되잖아." 라며 반문하실것 같아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이제 세상은 컴퓨터와 같이 자동화가 되어가고 있으며, 21세기를 사는 아이들이라면 컴퓨터를 어차피 접하게 됩니다. 이건 피할수없는 현실입니다. 그러므로 아주 어릴때부터 컴퓨터를 배우게 하라는것입니다.

"다만" 아이들에게 컴퓨터의 용도를 분명하게 가르치십시오.

컴퓨터는 게임을 하기위란 게임기가 아닌 문서를 작성하고 정보를 공유할수있는 기계라는것을 분명하게 가르치시고 처음에 컴퓨터를 배우게할때는 타자연습과 같은 기본적인것부터 가르쳐주시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컴퓨터를 접하지않고 게임으로 컴퓨터를 가장처음 접한 아이는 컴퓨터게임에 매혹되어버리고 컴퓨터가아닌 게임에 빠지게 되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것입니다. 아이들은 항상 어디에서든 "놀이" 를 찾습니다. 성인이라면 생각지도 못한곳이 아이들에게는 놀이터가 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놀이를 좋아하는 아이들이 게임에 빠진다면, 게임이라는 편한 놀이에 빠져서 헤어나오기 힘든게 당연한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아이들에게 게임을 무조건 "하지말아라!"라고 호통하지 마십시오.

그런 아이들은 PC방으로 전전긍긍하게 됩니다. 이젠 언제 어디서든 컴퓨터를 접할수있습니다.

그러니 하지말라고 하시는것보다는 아이들과 같이 게임을 함으로써 좋은 부모님이 되고 오히려 아이들은 부모님과 게임을 같이함으로써 시간을 제한해서 사용하는 습관이 몸에 베어 긍정적인 효과를 부를수 있을거라고 확신합니다.



#세번째,
"게임회사에서도 아이들의 문제를 외면해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이런 아이들에게 관심을 가져주어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성장한 아이는 커서도 경제적으로 살기 힘이듭니다.
(요즘 가정에서는 어릴때부터 주식,펀드와 같은 것도 교육을 하고있습니다.)

본사의 이익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훗날 아이들이 성장해 우리나라의 발전에 기여할수 있도록 하기위한다면 아이들의 미래를 지켜줄수 있는 건전한 어른이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우리가 외면했던 아이들이 성장해 성인이 되어 또 하나의 생명이 생겼을때, 그 아이들 역시 같은식으로 성장을 하게되는 악순환의 반복만이 생길뿐입니다.

게임회사 내에서도 이런 문제를 직시하고 좀더 저연령층 유저들의 소비문제에 관심을 갖고 실제적으로 아이들을 위한 요금제나 아이들의 부모님과 직접전화상담등을 통해서 요금을 결제할수 있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이쯤에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짧지않은글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드리며, 항상 글을쓸때 유익한 글을쓰기 위해노력하겠습니다.
그리고 질문하실 문제는 댓글달아주시구요.

따끔한 충고도 달게받겠습니다.  Good Luck.


<3화에서는 "보이지않는 돈, 사이버머니" 에 대한 글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Comment '8'
  • ?
    알라바바 2008.03.21 00:46
    외국은 피시가아닌 비디오게임문화가 발달해서 비디오게임이 대부분인데
    우리나라는 온라인문화가 발달해 온라인게임이 엄청 발달해있는데.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가 문제가 심각하죠
    부모님 주민번호가지고 게임가입해서 캐쉬니 뭐니 해가면서 달달이 돈긁고 .
    이게 뭐하는 짓들인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초등학교때 한참 저랬습니다. 근데 어쩔수없는게 미성년자들이 주로 하는게임은
    부모님동의가 왠만큼 다필요하더라구요 근데 부모님들은 자기 자녀들이 게임을 하기 원치 않을것이고 그러므로 동의서 를작성하지 않으실거고 그러면 자연스래 주민번호 알아내서 가입하게되잇습니다. 이런것도 문제죠 무조건 게임이라고 부모님들의 반대 하는 경향이 있으니.

  • ?
    Arsene 2008.03.21 00:46
    네 맞습니다. 우리나라가 인터넷보급률이 높은거 때문에 온라인게임이 잘 발달했다고 하지만 부작용도 그만큼 심한거같습니다.

    비디오게임뿐만 아니라 외국은 온라인게임또한 패키지로 판매를 하니, 하지만 둘다 장단점이 있긴하죠, 전 외국의 방식이 좀더 맞다고 생각되네요,

    사실 온라인게임을 패키지로 판매하다보면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좀 힘들겠지만 오히려 게임을 사서하고 그이후에는 부가적인비용도 들지 않으니. 부담도 덜되고 아이들은 부모님의 주민번호를 사용할 일도 없어질테구요.

    하지만 우리나라가 외국을 그대로 따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한국은 한국에 맞게 한국식으로 하면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 얄팍한 지식으로는 뭐라고 답을 내리기는 힘드네요.
  • ?
    다해봤다 2008.03.21 00:46
    뭔가 글이 안 맞는듯....


    처음부분은 저연령층은 돈을 많이 쓰는것에 문제가 있는것이 아닌 부모님 주민번호로, 즉 도용을 통한 결제로 불법을 자행하면서도 그들은 그 사실을 모른다는게 문제라고 하셔놓고는....

    그 다음부분 내용은 경제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는 저연령층은 자신의 경제력과는 상관없이 돈의 씀씀이가 크기때문이다. 라고 하셨네요.

    그리도 또 다시 이런 무자비한 소비를 막기위해 게임회사는 나름 대책을 내놓지만 결국 저연령층의 부모님민번 도용이 문제다. 라는............................................


    결국엔 문제는 저 2개라는 말인데....

    해결책은 역시 경제력에 맞지 않는 무분별한 소비를 제한시켜야 한다.(경제교육을 하거나, 차라리 요금을 낮추거나, 부모님확인동의서를 받자) 그렇지만 주민번호도용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안보이네요-_-ㅋ

    어차피 요금결제보다는 이용연령제한이 걸린 게임을 하기 위해 아이들은 부모님주민번호를 이용하지 않나 싶네요. 결제동의서를 받는것도 좋은 방법이긴 하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결제에 관련된 주민번호도용일뿐, 게임접속에 관련된 도용을 막을수는 없지요.(부모님들이 이런 연령등급이 높은 게임을 쉽게 동의해주지는 않기 때문에 아이들은 도용을 하는것이구요.)
  • ?
    다해봤다 2008.03.21 00:46
    부모님의 인식변화 or 우리 아이들의 인식변화 or 게임연령등급폐지


    셋 중 하나가 이루어져야 할듯ㄳ
  • ?
    지익 2008.03.21 00:46
    나도 어릴 때 부모님 주번을 알아내기 위하여 의료보험카드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고생했었지...

    다해봤다/ 아이들에겐 실질적으로 인식변화를 기대하긴 힘들듯 하네요. 거의 어른들이 하는 걸 그대로 배우는 단계이기 때문에 말이죠.. 게임연령등급 폐지는 전혀 도움이 안될듯 하구요. (예를 들면 아주 어린 애가 헬게이트:런던을 한다고 생각해보면 그건 점~)

    주민번호 도용을 막으려면 사람을 귀찮게 만들지 않고서야 막을 방법이 없다고 보네요. 미래에 민번호 대신 모든 걸 지문 같은 걸로 하는 날이 온다면 간단할텐데.. 주민등록번호가 존재하고 민증이 있고, 면허증도 있고, 의료보험증도 있고, 기타 등등이 있는 한 어른들도 본사 사람한테 확인해서 가입 시켜주지 않으면...
  • ?
    Arsene 2008.03.21 00:46
    해결방안 두번째에 언급했던게 있습니다. 아이들이 컴퓨터를 조금더 일찍배우게 하고 아이들이 게임을 할때 부모님이 옆에서 같이하라는,,
    이 말은 꺼낸 이유가 저연령층의 주번도용을 막을수 있지 않을까요? 전 그런취지에서 이 두번째 해결방안을 내본것 입니다. 사실 저도 글쓰면서 길어지다보니 좀 산만하게 글을쓴것같아서 죄송스럽긴 합니다. 하여튼 어른들이 아이들한테 조금만 더 관심을 갖는다면 부모님의 주번을 도용해 게임에 가입하는일은 많이 줄어들것같습니다.
    (지익// 님 말하신대로 사실 저두 다 겪었던 과정이기에 이런 답을 내놓은 것입니다. 저두 어릴떄 게임을 하면서 의료보험카드를 찾으려고 집안 구석구석뒤져서 회원가입을 하고 지금은 부모님 주민번호까지 외어버리게 되었네요. 이런 부분은 사실 게임회사내에서 차단할수가 없는일이기에 당연히 가정에서 해결해야할 문제아닐까요? 그리고 아이들이 게임을 할때 정말 재미가 없어도 부모님이 같이 옆에서 지켜봐주는것만으로 아이는 많이 자제력이 생길수도 있을거라고 기대합니다. 게다가 부모님이 옆에서 지켜보는데 아이가 회원가입을 위해서 부모님 주번을 알기위해서 집안을 뒤질일도 없어지겠죠.)
  • ?
    Arsene 2008.03.21 00:46
    다해봤다/ 네 사실저두 지익님 말처럼 아이들이 혼자서 인식이 바뀌기는 힘들다고 봅니다.
    그렇기에 가정에서 배우는게 가장중요하다고 한것이구요 .
    무엇보다도 부모님들의 변화가 자연적으로 아이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겠죠.
  • ?
    Crow 2008.03.21 00:46
    글 잘 읽고 갑니다.
    저는 3번째 부분에서 이야기를 하고싶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3번째는 게임회사에서만 해결하는 것이아니라 정부와 게임회사가
    서로 협력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게임회사는 정부와 함께 이런 저런 정보를 공유하면서 문제가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것에 대한 대책을 찾아야하고, 국가는 게임회사의 고충과 의견을 적절하게 반영
    을 통해서 보다 낳은 정책을 내놔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게임회사도 분명히 사업인 것은 사실입니다. 정부가 개입을 한다고 해서
    게임시장을 정부가 못살게 군다고 할 수 있는 부분도 있을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정부의 개입이 적절하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렇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쩌면 가장 중요한 것은 가정에서의 인식과
    바른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부모님이시라면 아이들에게 컴퓨터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경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
    돈에 대한 가치 등을 알려주시고 아이들은 그 올바른 교육을 바탕으로 성장을해
    언젠가 더 크고 발전된 모습으로 게임시장을 발전시킬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어딘가 어색할지도 모르지만 저의 의견은 이렇습니다. (__)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4 나도한마디 6월 8일 아더스 오픈베타 시작.. 8 깡패토끼 06.05 5665
173 기획&분석 610명의 선택! 온라인게임 최악의 사기유형! 순위로 보자 13 1 Opening 01.03 14171
172 나도한마디 50%의 미완성으로 정식 서비스하는 그들 6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06.02 7685
171 나도한마디 4대 직업 ?? 32 1 손가인 07.29 3901
170 칼럼 4Leaf가 가졌던 기묘한 매력 41 32 Kanon 02.17 12487
169 나도한마디 3차혁명 스마트폰 2 ℡№ 06.10 7217
168 기획&분석 3시간당 10분씩 서버를 내려보자 11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01.17 6417
167 나도한마디 3대 콘솔 게임사, 모바일 세계에 뛰어들다 완소마키 04.23 4198
166 기획&분석 3단 변신? 유저는 100단 변신을 원한다.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01.13 5997
165 기획&분석 3MRPG가 MMORPG를 대체할 것이다. 14 하데스 10.28 6694
164 기획&분석 30만원의 캐쉬가 필요한 게임? 28 9timez 06.02 10594
163 나도한마디 3.1절 6 독한곰 02.28 3611
» 칼럼 2화 "저연령층 유저들의 소비문제와 해결방안" 8 3 Arsene 01.10 6028
161 칼럼 2G폰과 3G폰 그리고 2D게임과 3D게임.. 4 2 9timez 10.13 12502
160 나도한마디 2D 횡스크롤 RPG "텐비" 의 던전 컨텐츠 2 9timez 10.30 10180
159 나도한마디 2D 게임, 과연 3D 게임의 하위 개념인가? 14 10 9timez 12.28 78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 239 Next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