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견해이지만 본 글쓴이가 생각하는 한국 온라인 게임 최고의 브랜드는 "리니지" 이다.

1998년 리니지1이 첫 서비스 상용화에 돌입하면서 리니지는 서서히 한국 최고의 온라인 게임으로 군림하게 된다. 비록 패키지 게임이지만 국내에서 엄청난 돌풍을 일으킨 스타크래프트나 디아블로에 전혀 밀리지 않으며 자리를 지켜낸다. 개발사인 엔씨소프트 또한 이 리니지 하나로 엄청난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는 미국 나스닥에까지 상장되어 있는 글로벌 게임사가 되었다. 수많은 게임들이 대박 게임 리니지를 모방하여 출시되며 국내 온라인 게임시장은 점점 성장하게 되었다. 여전히 리니지의 위상은 요지부동이라..

그러나 초 인기게임이라 할 지라도 그 성장세에는 한계가 따르는 법. 이에 리니지 개발사인 엔씨소프트는 제 2의 모험을 감행한다.

2003년 리니지2가 서비스 상용화에 돌입을 하게 된다. 리니지의 유명세를 그대로 이어가기 위해 이름을 그대로 쓴 후속작을 발표하는 모험을 하게 된다. 당시 리니지1의 유저 감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지만 그런 우려를 단숨에 불식시키고 말았다. 리니지1의 인기는 그대로 이어가면서 리니지2를 성공시키는 초대박을 낸 것이었다. 2D 게임에서 3D 게임으로의 전환에 성공하면서도 그 유저들은 잃어버리지 않았을 뿐더러 오히려 리니지라는 브랜드에 유저들을 더 끌어들인 셈이었다. 국내 최고의 게임이라는 위상을 한층 더 끌어 올리는 성공이었다.

시간이 흘러 자연스레 리니지3에 대한 언급들이 흘러나오고, 그러다 올해 초 충격적인 기사가 터진다. 리니지3 개발진들이 엔씨소프트를 퇴사하면서 새로 입사한 회사에 관련 기술을 유출하게 된 사건이었다. 이 기사로 리니지3의 개발이 상당히 진척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 사건으로 리니지3의 출시가 늦춰지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리니지3를 기대하는 유저들이 많을텐데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는 것 같다.

리니지1,2는 사실상 국내용 게임이었다. 해외에서는 그다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그저 그런 게임이었다. 국내 게이머들의 입맛을 맞추는데 주력했을 걸로 보인다. 하지만 리니지3는 달라야 한다. 이제는 리니지 라는 브랜드가 한단계 더 도약하려면 세계 시장에서 평가를 받아야 한다. 점점 전 세계 온라인 게임 시장이 커지는 상황에선 국내 시장에만 안주하는 것은 글로벌 게임사를 지향하는 엔씨소프트의 입장에서도 결코 좋지 않다. 불미스러운 일은 얼른 해결하고 세계 시장을 목표로 하는 게임, 브랜드가 되었으면 한다. "와우" 를 보라 이 게임 하나로 전 세계에서 엄청난 수익을 거둬 들이고 특정 지역에서만 인기를 끌었던 지난 게임들의 한계에서 벗어나 블리자드는 진정한 글로벌 게임사로 거듭났다. 온라인 게임 종주국인 한국이 이제라도 전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게임 하나 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




* 12월 13일자 유저 테스트 정답 및 해설

1. 정답: 4번 바람의 나라
-울티마는 그 히스토리가 무척 오래된 게임이지만 상용화된 온라인 게임으로썬 바람의 나라가 약간 빠릅니다.

2. 정답: 3번 Role Playing Game
-역할 수행 게임이라는 뜻입니다.

3. 정답: 5번 FPS
-First Person Shooting (1인칭 슈팅 게임이라는 뜻입니다.)

4. 정답: 스타크래프트


5. 정답: 디아블로
-스킬트리는 디아블로의 대표적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6. 정답: 미르의 전설2

7. 정답: X
-모든 온라인 게임사가 현금거래를 불법으로 간주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로 "로한" 의 게임사 YNK games 는 현금거래를 합법화하고 있습니다.

8. 정답: 3번 1998년

9. 정답: 3번 1조 7000억
-올해는 2조가 넘을 거라고 합니다.

10. 정답: 1번 넥슨
-넥슨의 경우 자체 자금 조달 능력을 갖추고 있어 굳이 코스닥에 상장할 이유가 없다고 합니다.

Comment '10'
  • ?
    소녀여 2008.03.21 00:46
    리니지1하는 중국인들중에 즐기려고하는사람 많이 없낭..
  • ?
    좋은게임하자 2008.03.21 00:46
    아이온이 리니지3라고 생각하삼
  • ?
    2008.03.21 00:46
    아이온과 리니지3는 별개입니다.

    리니지3는 개발중에 있구요

    ongamenet을 자주보시는 분이라면

    리니지3 정보 하나쯤은 가지고 계실듯

  • ?
    슬럼프 2008.03.21 00:46
    브랜드??


    별로........


    단지 유저수 많아서 브랜드라는건 억지.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떻게될까? 상관없지.

    아이템거래 없애면 어떻게될까? 거의끝이라고봐야지.

    그래픽만 좋고 게임성에서 한참 딸리는 브랜드.
    단순하고 다급한 성격을 가진 한국인 입맛에만 맞는 브랜드.


    ps 태클안봄.
  • ?
    아스란 2008.03.21 00:46
    리니지 브랜드 가치있나여?

    외국에서 망한겜인데 무슨 브랜드입니까.

    차라리 킹덤언더파이어가 브랜드가치가 훨더높다고생각되는데요.
  • ?
    카카시 2008.03.21 00:46
    그럼 그대들이 생각하는 브랜드는 무엇입니까?
    설마 와우라고 하진않겠죠? 머리가 있다면 말이죠 ㅋㅋ
  • ?
    계란후라이 2008.03.21 00:46
    저도 리니지가 충분히 훌륭하고 재미있는 게임이라고는 생각합니다만...

    한국 최고의 브랜드 까지라고는 말할 수 없겠군요...

    쩝, 리니지가 하고싶긴 하군요.
  • ?
    이불펴시고 2008.03.21 00:46
    리니지가 외국에서 망한게임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와우와 게임 평점순위 2위차이나네요. 수치는 그렇다치고 현제 북미에서 16millions of subscription 을 보유하고있고 남미국가, 특히 브라질 ,칠레 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있습니다.

  • ?
    님들하 2008.03.21 00:46
    슬럼프/
    태클안본다고 써있는데 답답해서 태클 합니다 ㅋㅋㅋ
    단순하고 다급한 성격을 가진 한국인 입맛에만 맞는 브랜드.
    라고 써있는데 .. 그럼 우리나라에서 만드는데 다른나라에서 잘된 대작들
    눈치보면서까지 만들필요가 있나 모르겠네요 , 다른 외국에서 잘 됐다는게임이
    우리나라와서 흥행한 게임은 제가 별로 보지 못한것 같군요 .
    단순히 게임성있고 현질 없고 외국인들이 즐겨하는 게임이
    좋은 게임이라는건 말이 안되는것 같군요 .
    로마에가면 로마법을 따른다고 하지 않나요 ,
    외국에서 만들어서 게임성있고 현질 없는게임이 정석 이라고 보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
    솔직히 말해서 우리나라에서는 게이머들이 게임성을 보고 게임하는건
    극히 소수같은데요 , 대부분 얼마나 빠른시간내에 중렙에 도달하느냐
    타격감이 좋은가 그래픽이 좋은가 커뮤니케이션이 좋은가 현질제도가
    잘 되있나 , 이정도로 보는것 같습니다 . 와우가 정석 이런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시길
  • ?
    참봉마왕 2008.03.21 00:46
    삼성전자는 자체자금 조달을 못해서 상장되어있는건가...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62 나도한마디 한국 온라인RPG의 동향(2) - WOW가 하나의 전환점이 되어... 5 9timez 08.18 10963
3661 나도한마디 한국 온라인RPG의 동향(1) - 잘못된 레벨지상주의의 폐해 12 1 9timez 08.16 8476
3660 나도한마디 한국 온라인 게임의 한계? 28 11 레밀리아 01.10 4628
3659 칼럼 한국 온라인 게임의 역사는 어떨까? -마지막- 4 초코맛청산가리 12.24 11361
3658 칼럼 한국 온라인 게임의 역사는 어떨까? -1- 11 2 초코맛청산가리 12.20 16800
3657 기획&분석 한국 온라인 게임의 역사 알아보기 ! 15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04.10 8982
3656 칼럼 한국 온라인 게임과 해외 시장 2 9timez 04.05 4300
» 칼럼 한국 온라인 게임 최고의 브랜드 "리니지" 가 가야할 길 10 5 9timez 12.15 13944
3654 나도한마디 한국 여성 캐릭터가 노출도가 높다? NoNoNo!! 28 리밍 02.09 8384
3653 나도한마디 한국 스포츠게임의 자존심, 프리스타일 6 3 smc0403 01.09 3632
3652 나도한마디 한국 게임이 나아갈길은 무엇일까요? 12 무량수 02.25 2566
3651 나도한마디 한국 게임의 발전가능성은? 11 향이 08.14 2878
3650 나도한마디 한국 게임사들 맘에 안든다 3 불량회원돌려막기 10.29 4522
3649 나도한마디 한국 게임계의 큰별이 떨어졌습니다. 6 pinkett 04.14 4616
3648 나도한마디 한국 게임 창의력 문제, PC 벗어나면 된다. 23 5 트릭 01.25 10645
3647 칼럼 한국 게임 시장 — 아무도 모르는 인테그래이션의 비밀 xsolla 01.30 131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39 Next
/ 239
많이 본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