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4701 추천 2 댓글 6

 

 

최근 보슬아치집합소 현재진행형 여성부가 게임업계를 엿먹이는 상황이 여럿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 어느 높으신 분이 게임 하는 아이들을 두고 '뇌가 짐승인 아이들'드립으로

게임하는 사람들을 싸잡아서 XXX보다도 못한 인간 취급하는 사태까지 벌어졌습니다.

지들이 뭐 잘 안다고 게임이 마약이니 운운하는지..

(뭐 게임이 중독성이 없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만, 이 글에서는 그 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들은 무엇이 게임을 하게 만들었나? 라고는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제가 볼땐 아닙니다. 만일 생각해 본적이 있다면, 몇몇 개념있는 이들은 이를 막으려고 노력하는 척이라고 하겠지요. (그런데 제가 볼 때 이런 사람들 없었습니다.)

이들은 그 결과만 놓고선, 결과를 억지로 막으려는 짓만 해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수도꼭지는 MAX로 틀어놓고 그 구멍만 손가락으로 막고 있는 짓 같이 말이죠(이짓 해본 사람은 결과가 어떻게 되는지 알 겁니다....).

 그래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무엇이 아이들을 게임하게 만드는가?

 

 

저는 청소년들이 게임을 하는 '상황'이 아닌, 게임을 하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고심 끝에, 제가 내린 결론은 '교육현실'이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공부로 인해 매우 바쁜 시기를 보냅니다.

심한 경우 학원을 열개 가까이, 혹은 더 많이 다니는 경우도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 대한민국 교육의 현실입니다.

 이 수많은 학원과 학원, 과외와 과외 사이의 시간이 매우 애매하게 남아 야외활동을 즐길 시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하게 됩니다..

혹은 학습으로 인한 엄청난 스트레스 때문에, 청소년들은 집에 돌아와 밖으로 나가게 할 의지를 꺾어놓기도 합니다.

 

즉, '여가활동(게임 제외. 예를 들면 야구보러 간다든지, 애들이랑 농구하러 간다든지 등)'을 할 시간이 매우 부족해진다는 것입니다. 짜투리 시간으로는 동네축구 한판도 제대로 하기 힘들죠..

따라서 '짧은 짜투리 시간동안 손쉽게 여가활동(혹은 휴식,문화활동)을 취할 수 있는'방법이 생겨납니다. 그 예로는 TV시청, 게임, 싸이질 등등이 있습니다.

특히 게임은 짧은 짜투리 시간이라도 캐릭터를 어느 정도 키워낼 수 있어 많은 청소년들이 이 시간을 이용해 게임을 즐기는 경우가 많아지게 됩니다.

여기서 +α로 주변의 친구들이 게임을 즐기는 경우가 많아지니 대화의 주제를 만들기 위해서 게임을 하는 경우 도 생겨나게 됩니다.(이 경우는 부가적인 경우로 생각해 주기 바랍니다.)

 

 

외국의 청소년들(여기서 외국은 선진국을 우선으로 합니다)은 우리보다 인터넷 환경이 안 좋아서 밖에서 농구하고 축구하고 그럽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그럼 그 시간에 게임하지 왜 축구하고 농구하나요?

우리나라에 비해, 이들은 상대적으로(어쩌면 절대적으로) 학습부담이 적기 때문에, 자신들의 관심을 보다 더 넓은 쪽으로 돌릴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여튼, 대한민국의 청소년에게 주어진 상황이 저렇게 되니 게임하는 청소년들의 수가 '어쩔 수 없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만들어지게 된 것입니다.

그걸 보고 여성부는 많은 청소년들이 게임에 빠져 헤어나오질 못한다는 둥 어쩐다는 둥.

 이런 식으로 상황을 몰고 갑니다.

제가 볼때는 결과가 이렇게 나온 것만을 보고 판단한, 매우 근시안적인 시각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봅니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는 청소년에게 보다 더 많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자기계발 시간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애들 성적 올리는 과외 학원 '확'줄이거나 없애버리고, 자기 흥미나 관심 분야의 학원- 일본어 학원이나 컴퓨터 학원, 제빵 학원, 유도장 같은 -을 늘여서 청소년들의 미래설정에 보다 더 도움될수 있게 하자고요. 닥치고 공식 외우게 하지 말고)

자기에게 주어진 시간이 보다 더 여유로워지면서 시각을 게임으로부터 다른 곳에 둘 여유가 생기는 겁니다.

이를 통해 게임 과몰입도 자연스레 해결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게임 과몰입이라는 것도 저쪽 어느 보슬아치들이 지들관점으로 쳐다본 것이지만)

 

하지만 단점도 있을 겁니다...

어쩌면 이 시간을 청소년들이 아예 게임하는 데에만 보낼 가능성도 있죠..

 

그렇지만 저는  청소년들이 그렇게 게임에 빠져있다고 보지 않습니다.

이 구조가 청소년들을 게임하게 만들었다고, 저는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 교육 시스템 구조를 바꾸는 것이 대한민국 청소년들을 구제할 가장 근본적 원인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여성부 이 개X들아 니들이 그런 말 할려면 최소한 와우 만랩은 찍고 하지 그러냐

우리나라 여성부에 있는 모든 보슬아치에게 와우 만랩을 필수로 찍게 해주세요

게임에 대한 기본소양이라도 알게 해야 게임이 어쩌고 할 자격이 있지.

어디서 건방지게 말야...

Who's 더블메인

인간이여, 궤변론자가 되어라.
그 궤변은 너로 하여금 살아있게 할 것이다.

누군가가 그 궤변을 바꾸려 할 때,
너는 그것을 막기 위해 생각할 것이다. 바꾸려는 이도 바꾸기 위해 생각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너는 2명을 살리게 되는 것이다.
Comment '6'
  • ?
    어린왕자 2011.03.23 14:40
    정확히 케치하신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게임을 하는거.. 교육현실 맞지요.....

    딱딱한 수업보다는 토론을

    이론보다는 체험을 더 중요시되는 커리큘럼이 왔으면 좋겠네요....

    초중학생들 자살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니까 말이죠.....

    무슨 애들을 정신적 불구로 만들려고 하는....


    우리나라 학교 커리큘럼도 문제가 있지만

    애들 3~4군대 학원보내는 부모님들이 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애들이 무슨 꼭두각시 인형도 아니고;;;

    인격체로서 존중을 해줘야지....

    조언을 주되 강요는 안해야된다고 생각을 하는데...참 답답할 노릇이죠

    '강남애들은 이렇게 한다더라' 하며 따라 우르르르 가는 이 교육시스템의 현실...ㅋㅋㅋ
  • ?
    무팜 2011.03.24 15:52
    청소년들이 즐길수있는 컨텐츠가 게임 이외에 뭐가있는가?
  • 피카츄 2011.04.04 17:15
    #무팜
    음악, 책보기 등등

    영화보기도 있네 ㅇㅇ...
  • ?
    D읭읭F 2011.03.27 23:25
    셧다운제도로 시장의 한쪽 구멍을 막으면 나머지 조그마한 구멍들의 가치를 올려줄 뿐

    괜히 이상한 해커들이나 돈벌고

    게임은 게임대로 장사안되고

    제도는 제도대로 시행 안되는 이상한 세상이 될지도 모른다죠

    개념이없어.. 개념이-ㅅ-.. 왜 장자연문제는 가만히있는건지
  • ?
    모네트 2011.04.08 02:14
    모든 인과결과는 사소한거 하나하나까지 연결되있죠. 청소년문제는 곧 우리나라 교육문제라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청소년들한테 겜만하고 정신 피폐해지고 사회적응못하게 된다고 말하기전에 점점 산으로 가고있는 우리나라 교육부터 개선해나가는게 우선시 되야한다고 봄
  • ?
    B2ST 2011.04.11 05:14
    사실 공부하기 좋은 사람이 어딨겠음..
    성격에 따라 공부하고 싶은 맘이 있으신분도 계시겠지만 학생 때 하는 공부 거의 강제적이라고 봐도 될듯제가 92년생인데 집에서 뭐뭐하고 놀았는지 대충 기억이 남
    집에서 놀 수 있는게 뭐 티비랑 컴퓨터지..
    어릴때는 뭐 장난감 가지고 놀고 애완동물 키우고 끝인듯?
    집에서는 개인적으로 별로 흥미 느낄만한 취미 생활이 없음
    현재도 컴퓨터가 최고라고 봄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766 칼럼 언제까지 게임은 마녀사냥 되어야 하나? 22 7 무량수 03.23 9726
» 나도한마디 무엇이 아이들을 게임하게 만드는가? 6 2 더블메인 03.23 4701
2764 나도한마디 PC게임의 온라인화... 아바사자 03.22 4355
2763 칼럼 최근 게임광고 들여다보기 9 보도 03.22 7581
2762 칼럼 여성부, 여성문제 등한시, 권력에 혈안 19 4 하데스 03.18 8297
2761 칼럼 부분유료화, 한국 게임시장 변화를 말한다. 4 심쇼 03.17 6366
2760 나도한마디 강화가 아닌, 더강한걸 "만든다" 12 마루 03.14 8114
2759 나도한마디 하나의 게임에서 서버별로 테마가 다르다면....? 7 연휘가람 03.13 5142
2758 나도한마디 네임드 독식은 개발자 탓 아닌가? 28 어린왕자 03.12 7605
2757 나도한마디 테라가 조금만더 바뀌었으면 .. 6 audry 03.10 6486
2756 나도한마디 유저가 유저를 통제한다고? 58 프로유레카 03.10 11228
2755 나도한마디 시대을 앞서간 온라인게임..!!프리스트 23 3 민들레영토 03.09 29170
2754 칼럼 게임이란 무엇인가? (게임이 가져온 사회적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해서....) 5 4 무량수 03.08 7927
2753 나도한마디 1랩을 탈출하는데 1달 이상이 걸리는 게임이 있다면... 24 히요 03.08 6978
2752 기획&분석 fps모드열전. 좀비모드 1 1 허경영축지법 03.07 6552
2751 칼럼 AOS장르에 대해서 논하다. 18 레이머스 03.05 116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239 Next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