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조회 6350 추천 0 댓글 4

1.jpg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게임시장 최근 여러 포털사이트 게임순위를 보면 짧은 플레이 시간으로도 충분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게임들이 상위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게이머들의 열정을 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캐주얼 게임들은 포화상태인 게임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시대의 변화가 반영되고 있는 결과인 듯 합니다 이렇게 캐주얼 게임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 그 밑거름은 무엇일까요.

온라인게임은 지속적인 수입과 동시에 서비스가 되어야 하기에 기존 과금형태인 정액제 시스템으로는 캐주얼 게임이 게임시장에서 서비스되기에는 힘든 상태였습니다.
 3.jpg
[ 포트리스2 ]

대표적인 캐주얼 게임 중 하나인 포트리스2는 일반게이머들에게는 무료, 피시방 혜택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하는 형태로 서비스를 해왔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인기가 내려가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르나 포트리스2가 부분유료화 서비스로 다향한 혜택 제공 및 수입형태를 찾았으면 더욱 향상된 서비스로 인기를 유지 할 수 있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5.jpg
[ 카르마 온라인 ]

대표적인 다른 게임으로는 카르마온라인을 언급 할 수 있는데요. 하루 30분 플레이 제약을 둔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을 도입하였습니다. 수많은 버그 및 운영이 미흡하여 속칭 망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수입 경로를 찾지 못하고 미흡한 과금 방식도 카르마 온라인의 하락세를 도와주었습니다. 


시간히 흘러 지금의 게임시장에서 부분유료화는 필수요소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대작게임을 제외하고는 어떤 장르의 게임일지라도 정액제과금 방식을 선택 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포화상태인 게임시장에서 게이머를 사로잡기 위해서는 접근이 쉽고 무료로 플레이 할 수 있다는 장점과 더욱 좋은 수익률을 가져다 주는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을 선택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변질되어가는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은 질 좋은 서비스보다는 돈을 벌기위한 게임을 만들어가는 하나의 부분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습니다.

돈이 궁해도 그렇지 게임아이템 하나를 70만원에 파는 것은 아니지 않겠습니까?



한국 온라인 게임시장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돈'과 '서비스'가 같이 향상되어야 할 것입니다. 

 
Comment '4'
  • ?
    아영 2011.03.18 09:02
    .. 요금제 정책은 가리지말앗어야하는거 아닌가요?
    대부분 안다쳐도 저게 순위표다 라는걸 모르는사람도잇을텐데
  • ?
    이미죽었다 2011.03.19 13:20
    이글은 부분유료제의 부정적인부분만 보고있는듯하군요...... 부분유료의 실패사례로 포트리스와 카르마를 예로 든건 좀 억지스러운점이네요. 너무옜날게임인것도 그렇지만 카르마같은경우는 그때보나 지금보나 너무 어이없는 방식이지요. 카르마 비슷한 과금방식으로 마비노기가 있지만 망하진 않았고 지금은 기존에 하루2시간플레이시간이 아닌 무제한으로 바뀌고 환생을 무료로 가능하게 하면서 좋은 평가를 얻고 있습니다.

    제가볼땐 이제 부분유료화는 온라인게임의 표준과금형식으로 자리잡을날이 얼마있지 않아보입니다.(아직은 정액제가 표준이지요. 세계에 서비스되는 와우도 그렇고) 잘생각해보면 정액제라고 부분유료보다 나은점이 별로없고 되려 부분유료화보다 못한것이 정액제입니다.(특히 현금거래가 활성화된 국내는 더더욱)
  • 심쇼 2011.03.19 21:40
    #이미죽었다
    저희 표현이 미흡했습니다.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의 부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게임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말하고자 했습니다. 그 예로 포트리스2, 카르마온라인은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이 정착되기전 미흡한 서비스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 한 부분입니다.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의 정착으로 캐쥬얼 게임의 활성화, 다양한 서비스혜택 등 장점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특정 게임에서의 돈을 쫒는 서비스에 개선과 다양한 서비스로 게임시장이 더욱 활성화 되었으면 합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
    로이악마 2011.03.20 14:47
    온러인 게임이란 것이 돈을 벌기 위해서 있다고볼 수도 있죠.

    요즘에는 유료화 게임 보다는 무료 게임이 더 많이 너오고 있는 추세이니 말이죠.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766 칼럼 언제까지 게임은 마녀사냥 되어야 하나? 22 7 무량수 03.23 9725
2765 나도한마디 무엇이 아이들을 게임하게 만드는가? 6 2 더블메인 03.23 4698
2764 나도한마디 PC게임의 온라인화... 아바사자 03.22 4351
2763 칼럼 최근 게임광고 들여다보기 9 보도 03.22 7580
2762 칼럼 여성부, 여성문제 등한시, 권력에 혈안 19 4 하데스 03.18 8292
» 칼럼 부분유료화, 한국 게임시장 변화를 말한다. 4 심쇼 03.17 6350
2760 나도한마디 강화가 아닌, 더강한걸 "만든다" 12 마루 03.14 8113
2759 나도한마디 하나의 게임에서 서버별로 테마가 다르다면....? 7 연휘가람 03.13 5137
2758 나도한마디 네임드 독식은 개발자 탓 아닌가? 28 어린왕자 03.12 7604
2757 나도한마디 테라가 조금만더 바뀌었으면 .. 6 audry 03.10 6480
2756 나도한마디 유저가 유저를 통제한다고? 58 프로유레카 03.10 11226
2755 나도한마디 시대을 앞서간 온라인게임..!!프리스트 23 3 민들레영토 03.09 29167
2754 칼럼 게임이란 무엇인가? (게임이 가져온 사회적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해서....) 5 4 무량수 03.08 7924
2753 나도한마디 1랩을 탈출하는데 1달 이상이 걸리는 게임이 있다면... 24 히요 03.08 6976
2752 기획&분석 fps모드열전. 좀비모드 1 1 허경영축지법 03.07 6550
2751 칼럼 AOS장르에 대해서 논하다. 18 레이머스 03.05 116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239 Next
/ 239
많이 본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