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2.jpg

곧 등장할 2010년 최고의 기대작 "STARCRAFT2"

지난 10여년 넘게 후속작이 없었던 스타크래프트(이하 스타)의 후속작인 스타크래프트2(이하 스타2)가 올해에 드디어 등장할 것 같습니다. 그간 완성도를 빌미로 출시 연기를 자주 하기로 악명(?) 높은 블리자드지만 상반기 중으로 완성도 높은 베타테스트를 진행한다고 하니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올해 출시를 기정사실화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이에 스타2를 애타게 기다려 온 분들이 많기에 이제는 기대에 부응한 모습으로 등장할지가 최대의 관심거리 될 것 같네요.

서서히 암습하는 스타2에 관한 지적재산권 문제

얼마 전에 신문에서 블리자드 CEO의 인터뷰 기사를 본 적이 있었습니다. (이름은 어려워 기억이 안남ㅡ_ㅡ;) 인터뷰 내용은 블리자드라는 회사의 이념, 목표 등과 한국 시장과 유저에 대한 이미지 등등이었는데 마지막에 스타에 관한 질문도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스타2가 등장하면서 이전에 스타가 한국 내 e스포츠 산업의 중추가 됐지만 저작권 행사를 하지 않았던 상황과 맞물리게 되니까 앞으로 블리자드의 입장은 어떤지를 물어보는 것 같았습니다.

이에 블리자드 CEO의 답변은,

"한국과의 지적재산권 문제는 앞으로 풀어야 할 어려운 숙제다"

이런 식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블리자드는 스타2를 단순히 패키지 판매용으로 내놓는 게 아닙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e스포츠를 염두해 두고 스타2를 개발해 왔습니다. e스포츠에 대한 영향력 확고히 해 정당한 지분을 확보하며 시장에서 메이저로서의 위치를 더욱 더 굳건히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 내 e스포츠 산업과의 이해관계 충돌은 불가피할 걸로 보입니다. 블리자드 CEO가 한 말에 그것이 잘 묻어 나오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에 어느 기사에서 한국 e스포츠 협회가, 블리자드가 스타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요구할 경우에 대비해 계산기를 두드려 보고 있다는 식의 내용을 본 적이 있습니다. 이는 당연히 민감한 사안일 수밖에 없습니다. 2000년 초부터 시작된 e스포츠는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지금도 그 비중이 줄긴 했지만 여전히 한국에서만큼은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한국e스포츠협회.jpg

하지만 스타를 활용하면서도 블리자드에 중계권료나 기타 등등의 아무런 댓가를 지불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블리자드 측에서도 아무런 요구를 하지 않았기에 가능했습니다. 블리자드는 애초에 스타라는 게임을 만들며 e스포츠라는 걸 전혀 예상도 못 했기에 e스포츠의 발전 과정을 그냥 흥미롭게 지켜봤던 것 같습니다. 순수한 입장에서 e스포츠에서의 스타를 위해 지속적인 밸런싱 등의 작업으로 돕기도 했습니다.

사실 블리자드가 이에 적극적으로 권리를 주장할 수 상황은 아니였습니다. 스타는 한국에서만 절반 이상 팔렸습니다. 스타가 빛을 발할 수 있던 건 전적으로 한국 유저와 시장 덕분이라고 해도 과장이 아닙니다. 스타의 존재로 e스포츠라는 게 생기고 활성화될 수 있었지만 역설적으로 한국 유저와 시장이 스타를 그 중심으로 만들 수 있던 거지요. 더 길게 봐선 스타의 성공이 없었으면 스타2가 존재할 수 있었을까요?

하지만 스타2는 상황이 좀 다르게 됩니다. 스타는 과거형이 되어 버린 상황에서 한국 e스포츠 협회는 더이상 그간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게 된 것이지요. 블리자드도 앞서 말한대로 이젠 목소리를 내려는 준비를 하고 있고...

스타22.jpg

블리자드는 최소한의 권리만 행사해주셈~

이에 관해 제 의견은 이겁니다.

"스타의 인기를 지속시켜 오고 있고 e스포츠의 중심으로 있게 끔 한 한국 시장엔 예외적으로 특수성을 인정해 블리자드의 지적재산권을 최소한으로만 주장하자!"

제 생각엔 블리자드가 이윤만 생각하는 냉혈한 기업이 아니라면 도의적으로 이렇게 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비록 지극히 감성적인 주장이고 상업적 논리에서 보면 터무니 없을지도 모르지만 한국 유저와 시장이 스타와 블리자드에 기여한 공로는 그것을 뛰어 넘는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물론 제 주장은 블리자드 입장에서 볼 땐 고민거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성장하게 될 다른 국가의 e스포츠와의 형평성 문제가 그것입니다. 해당 국가에서 이의제기를 해 이런 저런 이유를 대 각종 요구를 해 오면 블리자드으로선 그만큼 당혹스러운 것도 없을 겁니다.

 

PS>이부분에 대해선 제 생각이 짧을 수 있고 언급된 것 외에도 여러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내용있는 의견들 많이 남겨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외없이 정상적으로 해야 한다.
bar
34 (35%)
한국만큼은 특수성을 감안해 예외 인정을 해야 하지 않을까?
bar
31 (32%)
어떻게 되든 난 아무 상관없다. 게임만 재밌게 나와다오!
bar
26 (27%)
기타
bar
4 (4%)

 

Comment '19'
  • ?
    DG 2010.02.11 19:37
    지금까지의 e스포츠는 사실상 불법과 다를바가 없었습니다..
    블리자드에서 태클걸면 그대로 끝날 수 도 있었다는 얘기죠..
    애초에 아무런 계약조차 없었기 때문에 남의 작품으로 우리가 경기를 한거나 마찬가지니까요
    하지만 블리자드 측에서도 손해보는것이 없고 오히려 이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켜보기만 한것입니다 우리나라가 아니었다면 E스포츠 세계에 스타가
    낄 수 있었을지도 의문이고 ㅎㅎ
    하지만 작품을 만든 당사자인 블리자드의 권리도 인정해줄 때 쯤 되었습니다.
    물론 한국의 공과 이미 기반이 잘 마련되어있는 시장이라는 점을 감안해서
    중계권료 같이 로열티를 지불해야하는 분야에서 면제를 시켜주던가 감면을 시켜줘야하지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분명히 한국이 이루어낸 부분도 많으니까요
  • ?
    비수야 2010.02.11 19:39
    다른 국가의 e스포츠가 얼마나 활발한지 잘 모르겠지만.

    그 금액에 따라 달라지겠죠, 블리자드도 모든 국가에 공통적으로 받지도 않을것같고

    국가마다의 e스포츠영향, 얼마나 활발히 진행중인가에 따라 다르게 금액을 책정할것같습니다.

    얼마 하지도않는 나라하고 많이 하는나라하고 같다면 불평이 나오겠죠..

    뭐.. 그래도 한국사람인데 싸게 해주면 좋겠죠

    문제는 스타2가 스타처럼 성장할지가 미지수..

    보기엔 워크3 수준으로 될것같은데..
  • 하이바라 2010.02.11 23:46
    #비수야
    워3수준이라면 엄청난겁니다...중국에 워3는 엄청나게 인기있었고 세계적으로 대회도 상당히 많은편이죠. .
  • 루나사랑 2010.02.11 23:54
    #하이바라
    국내에서는 워3의 인기가 스타보다 밀리지만, 해외가면 정말 막상막하, 혹은 그 이상의 힘을 발휘하는게 워3죠. ㅇㅅㅇ;;
  • 비수야 2010.02.12 11:49
    #하이바라
    제가말한건 국내에서의 워3수준이였어요

    솔직히 국내에서는 워3가 크진 않죠.
  • ?
    담배끊은아기 2010.02.11 22:05
    그러고보니 워크3대회할때는 블리자드가 돈많이 받아 먹었을까..

    아니면 그냥 공짜로 시켜줫을래나
  • ?
    유수하 2010.02.12 00:07
    진짜 블리자드사 입장이 되어보지않으면

    상상이 잘 되질않아서...

    그냥 기다리는수밖에없지요
  • ?
    WATAROO 온프 대장 2010.02.12 01:15
    근데 게임이 좀 달라져서 어렵다고 다들 안할거같은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려운거 많이하는거 본적있음 ..?
    대표적으로 워크3 밀리 하는사람이 많이 있나 ..
  • ?
    낭만돼랑이 2010.02.12 03:02
    블리자드사에서는 너무 과다한 권리를 내세우면 안되지만
    이제부터는 어느정도는 내세울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네요.
    불합리할 정도만 되지 않는다면 그 정도까지는 우리가 감수해야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뭐 스타의 E스포츠화로 인해 스타의 인기는 더욱더 올라가서 블리자드에게 이익을 주는 면도 생각해보면 그렇게 많은 권리를 내세울꺼까지는 없다고 봅니다.
    만일 권리를 많이 내세운다면
    예를 들어 스타의 경우, 활성화 된 우리나라에서 블리자드가 주체인 프로그리나 개인리그도 열거나 해서 권리를 더 내세울 방법을 생각하는게 더 좋아보이네요.

    스타2가 어느정도의 흥행을 보여줄지가 미지수이죠.
  • ?
    WonderSoul 2010.02.12 07:33
    저의 의견도 이 글과 같이 하고 싶습니다.
    e스포츠 시장을 대중화 시킨데에는 국내 수많은 사람들의 역량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죠.
    헌데 블리자드사에서 만든 게임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많은 돈을 벌었다면, 블리자드사도 어느정도
    한국시장에 지적재산권을 행사할 권리는 기본적으로 당연히 있어야합니다.
    문제는 그 정도의 차이에 따르겠지만.. 충분히 e스포츠에 관련된 국내 여러 기업과 블리자드사가
    서로가 상호이익을 추구할수 있는 동시에 적당한 선에서 양쪽다 만족이 되는내에서 이루어지면
    그게 바로 기업들간의 윤리겠지요.
  • ?
    들짐승 2010.02.12 11:19
    개인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블리자드의 발전에 독보적인 도움이 됐다는 걸 생각하는데
    그에 대한 보답은 현재 e스포츠를 진행하는 스타로써 받았다고 볼 수 있겠죠.

    e스포츠가 더욱 더 활성화 될 수도 있는 시점에서 e스포츠의 종주국으로써 앞으로도 주도권을 가지려면 좀 더 열린 시각으로 바라봐야 하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당장에 블리자드에게 있는 권리에 해당하는 비용을 지불하는 게 아깝다고 여긴다면 주도권에 대한 빌미를 잃게 될 거라고 봅니다.
    더군다나, 아직까지 블리자드가 구체적으로 요구할 내용이 책정되지도 않았을 테고(아마 e스포츠를 지켜보던 그 순간부터 어느 정도의 내용은 나왔겠죠.) 앞으로 할 요구 또한 무리한 것이 아니라 적당한 것이 아닐까 막연한 생각입니다.

    제가 블리자드 게임을 재밌게 했기 때문에 블리자드 사도 좋아하지만, 한국이 차린 밥 상 위에 블리자드가 숟가락만 얻는 꼴은 볼 수가 없죠.
    그보다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게임 중에 세계적으로 e스포츠를 이끌만한 게임이 없다는 게 아쉽고, 그 때문에 블리자드가 칼을 쥐고 있는 입장이라는 생각이 들어 불안하네요.
  • ?
    태희랑 2010.02.12 12:34
    일단 저는 개인적으로 블리자드라는 회사가 "게임은" 잘만드는건 인정하지만 정말 정말 블리자드를 싫어하는 사람입니다.. 혹시 거북하신분은 그냥패스해주세요...

    일단 중계권료 문제는 지적 재산권문제에 걸리게 됨으로 어느정도는 인정해줘야겠죠.. 하지만 그수준이 문제가 될듯하네요... 현재까지 블리자드의 한국내 행보를 보면 정말 한국을 바보 취급하는 것으로밖에안보이는 작태가 많았으니 말입니다..

    wow 상용화시기의 문제부터... 불공정약관 사태 등등 말할수가없지요...
    더불어 국내에 스타와 디아블로2등을 그렇게 많이 팔아먹었으며.... 국내에서 상당한 실적을 냈음에도..
    한국에대한 지원 자체가 전무한 블리자드의 오만함... 참 대한민국 국민으로써 블리자드라는 게임개발사가... 비호감인건 어쩔수없네요... EA가 국내 판매 실적이 저조함에도 국내에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던(한글화진행이나 개발자의 방한, 국내선발매등등)것에 비하면... 뭐 정말 보기싫은 짓만 골라해온 블리자드입니다..

    이번건은 어떨까요? 결론이 나봐야하겠지만 지금까지 행태에 비추어보아 블리자드는 또 무리한 수준을 요구할것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유럽시장 전체에 팔아먹은 스타보다 국내에 팔아먹은 스타가 더많다는걸 감안하면 블리자드가... 한국에대해 호의적 태도로 대해줘야할텐데... 참참... 이번 사태역시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있지만...
    글쎄요 왠지.. 또 열만받게 될듯한 이 오묘한기분은... 뭔지 ㅋㅋㅋ
  • ?
    게임매니아 2010.02.12 13:19
    모든게 적당한게 좋죠.

    지적 재산권 너무 행사하다보면 스타크맵제작자 같은 애들이 블리자드의 압력에 못 이겨서 다 죽을것이고 그럼 스타크는 망하게 되죠.
  • ?
    초꼬딩 2010.02.12 13:43
    참 애매모호한 것이 지적재산권의 행사인데...
    아무래도 그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편이 게임 개발사측에도 별다른 피해없이 끝날 수 있을 것 같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이것저것 사사건건 지적재산권에 막혀서 시도조차 포기하도록 만드는 것보다는, 보다 자유롭게 풀어두는 편이 해당 게임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겠죠. 유즈맵 등으로 창조되는 새로운 스타와 워3 등이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유저를 수용할 수 있었다고 봅니다.
    지적재산권에 막혀서 e스포츠의 활발한 중계를 가로막기 보다는, 더욱 알려서 좋은 방법과 운영방식 등의 창조를 해내는 편이 이롭지 않을까 합니다.

    막말로 e스포츠 자체도 그리 오래됐다고 이야기 할 만한 수준은 안 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여러가지 시도는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미리부터 부담을 주면 시장 자체가 축소될 수밖에 없습니다 'ㅅ';;
  • ?
    애니모스 2010.02.13 01:12
    플레이 해보았는데 .................. 스타2 ...생각보다는 ............

    (역시 기대한만큼 실망도 크게 늦겨졌다는 ....)
  • ?
    미소년범이 2010.02.15 16:32
    블리자드가 권리를 행사하는건 당연하다.
  • ?
    나루마루 2010.02.17 18:52
    솔직히 스타의 한국내 인기로 인해 블리자드가 그리 성장하지도 않았고. 그저 한국내에서 인기가 있기에 블리자드가 조금 더 신경을 쓴거다...오히려 스타를 이용해 상업적으로 돈을 번 국내 기업들이 블리자드에 알아서 저작권료를 줘야 하는 상황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스타2가 한국에서 실패한다고 세계시장에서 실패한다는 법도 없다. 실제로 EA의 C&C 시리즈만 봐도 한국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많지만 스타나 워크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는점을 봐도 알수 있을거다. 역으로 생각해서 우리나라 게임업체가 만든 게임이 다른나라에서 인기있고 지금의 스타처럼 이용된다해도 이런 기사가 나왔을지 궁금하다..
  • ?
    착취 2010.02.19 10:14
    케스파 그 시뷀놈들이 망하는꼬라지 보고싶은데.... 그리고 불공정 약관 불공정 약관 그러는데 와우가 불공정약관이라면 우리나라 온라인게임 약관은 -_-
  • ?
    Penny 2010.02.26 12:07
    지적 재산권은 이제 대세를 넘었다고 봅니다...지적 재산권을 지불했을때 타격 받는 업체에서 반대를 하고 있는듯 하지만 지적 재산권은 별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라고 봅니다...우리때문에 큰 것이 아니라 그들이 만든게임이 우리 구미에 맞았기 때문이죠...결과적으로 우리가 블리자드를 키워준것은 아니라고 봅니다...그들은 클 수 있는 회사였기 때문에 큰거고 시너지가 한국에서 폭발한것뿐...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74 칼럼 자네..혹시 외톨이가 아닌가? 36 1 9timez 02.07 7002
1773 칼럼 게임을 하려면 공부를 하라고? 17 1 GRACE 02.08 6518
1772 나도한마디 십덕후에 대한 평가 32 악마의발라드 02.08 5267
1771 나도한마디 한게임의 " 혼 " 많은 유저가 기다리는 TERA - 12 손상향 02.09 5962
» 칼럼 (설문조사) 한국 내 스타2에 대한 블리자드의 권리 행사는 과연 어디까지? 19 9timez 02.11 10569
1769 기획&분석 [마비노기영웅전]유저간 AP 누적격차의 문제점 14 1 하데스 02.12 20742
1768 나도한마디 레벨에 대한 개인적인 소견 콩국수매니아 02.12 3161
1767 나도한마디 블리자드의 권리 12 블랙와이번 02.13 3653
1766 나도한마디 모든 게임중 오토사냥 제제방법.? 19 검은날개 02.13 5118
1765 나도한마디 호가호위를 말하다 3 마루 02.14 4188
1764 칼럼 반복퀘스트가 보여주는 한국 RPG의 문제점 32 1 무량수 02.15 7523
1763 기획&분석 [게임의경제]마영전의 사재기와 시세조작 31 하데스 02.19 13005
1762 나도한마디 게임. 그 상상을 시각화 하다. 5 Mailse 02.20 6502
1761 기획&분석 [게임의경제]사재기-현실과 게임의 차이 10 3 하데스 02.20 6021
1760 나도한마디 게임도 이제 바꾸어야한다 11 불량회원돌려막기 02.21 3609
1759 기획&분석 이런 신선한 시스템을 보았나. 참신하다! 18 하늘색 02.22 64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39 Next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