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조회 9320 추천 0 댓글 19


악기 하나쯤은 다룰 줄 알아야지라는 말 들어 보셨나요?








사람들은 평생 악기하나쯤 다루는것에 대한 동경을 갖고 살아갑니다. 그런데 이 악기라는게 배우기가 쉽지않습니다. 저도 기타와 피아노를 배워보려한적이 있으나 얼마안가 그만두고말았습니다. 시간이 없는것도 문제지만 잘하게 되기까지 많은 노력과 끈기가 필요하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얼마안가 그만두고 말죠. 악기라는것이 잘다루면 재미있지만 생초보의 입장에서 노래한곡 제대로 연주할 수 없는 악기라는건 지루하기짝이없는 물건입니다.이 힘들고 지루한 과정을 이겨내고 악기하나쯤 제대로 다룰 수 있게 되는 사람은 많지않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악기하나 다룰줄아는 것을 포기해야할까요?

 

NO

 

우리에겐 게임이있습니다

바로 리듬액션게임 입니다


 

[리듬액션게임]

리듬 게임이란 음악에 맞춰서 손, 혹은 몸을 사용해 조작하는 게임을 총칭하는 말이다. 음악 게임 혹은 리듬액션 게임이라고도 한다.


바로 그렇습니다. 음악에 맞춰서 손, 혹은 몸을 사용해 조작하는 게임.조작이라는 단어를 연주로 바꾼다면 악기의 기능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차이가있다면 능동과 수동의 차이가 있을 수 있겠군요. 악기가 능동적으로 소리를 만든다면 리듬게임은 정해진 소리를 틀리지 않고 완성시키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하나의 완성된 음악을 연주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같다고할수있습니다.우리는 넓은 의미에서 악기를 연주하는것입니다.

모니터와 키보드로 말입니다.

 

자 그럼 리듬게임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리듬액션게임의 기원

 

 

최초의 리듬액션게임으로서

리듬액션이라는 장르를 탄생시킨 게임

파라파 더 랩퍼 입니다.

 

1996년 출시된 최초의 리듬게임 파라파 더 랩퍼



 


최초의 리듬게임은 지금의 리듬게임의 형식과는 많이 달라 보입니다. 음악도 연주곡이 아닌 랩이였으며 지금과 같은 도트 연주 방식도 아니였습니다. 파라파 더 랩퍼는 게임의 타이틀 처럼 랩의 비트를 따라가며 리듬을 맞추는 방식의 게임이었습니다. 실제 플레이 화면을 감상해보시죠.

 




 

 

보시는대로 지금의 형식과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게임방식입니다. PS1으로 출시되었으며 총스테이지 6개 플레이타임 20분 정도의 .. 조금은 조잡한 게임입니다. 게다가 박자 판정도 좋지못해 게임에 대한 평가는 나쁜 편이였습니다. 하지만 리듬액션 장르의 태동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게임입니다.

 

비트매니아

 


(98년 출시된 비트매니아)

 

떨어지는 노트를 타이밍에 맞춰 누르면 정해진 음이 나오고 이 음들이 모여 하나의 음악이되는, 현재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리듬액션의 모습입니다.

 

파라파 더 랩퍼가 리듬액션게임이라는 장르의 시초라면, 비트매니아는 지금의 연주형 리듬액션게임 형태를 정립한 게임입니다. 이글에서 말하는, 악기 연주의 재미를 대체해 줄 수있는 게임의 의미에서 리듬액션게임의 시초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리듬게임

 

이후 리듬게임은 온라인으로 그 무대를 넓힙니다.비트매니아 출시 1년 후인 1999년 세계최초의 온라인 리듬게임 캔뮤직이 탄생합니다. 캔뮤직은 우리나라의 한슬소프트의 작품입니다. 리듬액션게임이 온리인화되면서 다른 사람들과 연주실력을 경쟁하고 랭킹을 매기는 등 혼자 연주하고 점수를 메기던 리듬게임에 대전적인 요소 또한 결합되게 됩니다.

 


 (초기 버젼 캔뮤직)

 

자판의 배열이나 그래픽이 다를뿐 게임의 기본적인 형태는 비트매니아와 거의 같습니다.

 

캔뮤직 이후 지금까지 많은 온라인 리듬게임이 꾸준히 이어져왔습니다.

일반적인 연주 형태의 대표적인 게임으로 DJ max online이나 오투잼 이지투온 등을 들수있습니다.

 


(이지투온 ▲)

 


하지만 캔뮤직 이후 출시된 대부분의 온라인 리듬액션 게임은 비트매니아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키의 배열이나 플레이하는 키의 숫자, UI정도가 조금 씩 변화햇을 뿐입니다. 아케이드버젼의 리듬액션게임이 다양하게 변화한것에 비하면 아무변화도없었다고 말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아무래도 PC용게임에는 키보드라는 한계가 작용하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최근 온라인 리듬액션 게임에도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연주라는 의미에 좀더 중점을 둔 리듬액션 게임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밴드마스터입니다.

 

 

밴드마스터 역시 게임의 형식상의 틀은 크게 변화가 없습니다. 하지만 특징적인 시스템이 두가지있습니다.

 

첫번째. 악기의 세분화

 

지금까지 온라인 리듬액션게임에는 악기의 구분이없었습니다. 키가 눌러진 시점에 정해진 소리가 날뿐이었죠. 그시점이 피아노라면 피아노소리가. 기타라면 기타소리가 났습니다.

 

이와 달리 밴드마스터의 악기는 6가지로 세분화됩니다. 기타 베이스 신디사이저 트럼펫 드럼 피아노의 6가지 입니다. 이처럼 밴드마스터는 자신이 정한 악기에 따라 소리가 납니다. 기타를 플레이한다면 기타소리만 나는거죠. 또한 합주가 기본컨셉이기 때문에 기타를 플레이하는 중엔 기타 파트만 연주하게 됩니다. 좀더 현실의 연주에 가까운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 합주

 

온라인 리듬액션게임엔 대전의 요소 또한 강했습니다. 자신의 연주로 다른사람과 경쟁하는거죠. 누가더 정확한 연주를 하느냐로 승패를 정했습니다. 밴드마스터는 대전보다는 함께하는 연주에 좀더 중점을 두었습니다. 바로 합주시스템입니다. 밴드마스터라는 이름처럼 유저는 밴드의 일원이되어 다른 유저들과 밴드를 구성할수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밴드처럼 합주를 하는 겁니다. 노래하나에 서로 악기파트를 나누고 함께 연주하며 하나의 곡을 완성해 갑니다.

 

 

이 두가지 변화로 인해 리듬액션게임은 좀더 연주에 가까운 형태를 띨 수 있게되었으며, 유저들 또한 좀더 악기를 연주하는 듯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PC용 리듬게임컨트롤러도 출시되고있으니 이런 장비들을 사용한다면 진짜 연주에 가까운 형태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 입니다.


 

 

 

변형 리듬액션게임

 

위의 언급된 게임들과는 달리 일반적인 연주형태의 리듬액션게임에서 벗어나 색다른 재미를 주는 리듬액션 게임도있습니다.

 

 

알투비트


 

알투비트는 리듬액션게임에 레이싱적인 요소를 결합한 게임입니다. 하나의 노래는 인라인스케이트 경주의 트랙이 됩니다. 그리고 유저들이 그 트랙을 달리는동안 정해진 장해물을 들을 넘어가며 달리면 그것이 리듬액션 게임의 노트역할을 대신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조금 단순화, 추상화 해서 생각했을 때 지금까지의 리듬액션게임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노트를 받는형태였다면 알투비트는 노래라는 트랙위에서 노트를 향해 달려가는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악기하나쯤 제대로 다루고싶지만 시간이없으시다구요?

멋진 연주를 해보고싶은데 실력이 부족하시다구요?

 

실망하지마세요

게임속에선 악기없이도 멋진 연주가 가능합니다.

 

악기없는, 멋진 연주와 함께 마치겠습니다.



 

 

Comment '19'
  • ?
    어항속고양이 2009.10.29 10:02
    떨어지는 노트들이 제대로 보이지도 않는다-_-;
  • ?
    샤르넬 2009.10.29 12:39
    리듬게임을 하다보면 기본적인 박자감각은 키울수있겠죠 ..하지만 진짜 악기를 켰을때의 쾌감보단 못미치는듯 '';
  • ?
    血劍 2009.10.29 13:44
    파라파 더 랩퍼가 평가가 나쁘진 않았죠.

    오히려 저 꼴랑 6곡짜리 게임에 미친듯이 빠져들었던 사람들이 엄청 많을겁니다. 그만큼 재밌기도 하고요

    PS1시절 사람들이라면 파라파에 얽힌 추억하나씩은 다 갖고 있죠..
  • ?
    에코 2009.10.29 16:41
    DDR, 펌프가 없네..저는 비트매니아 같은것 보다는 DDR,펌프를 많이 했네요..지금은 유비트..
  • 싸이코서커스 2009.10.29 19:11
    #에코
    온라인게임이아니라 제외했습니다 ㅇㅅㅇ
  • ?
    이건뭐 2009.10.31 14:23
    파라파 더 랩퍼 ㅋㅋㅋ

    노래가 매우 중독적이네요 ㅋ
  • ?
    치우 2009.11.01 05:22
    하지만 리듬게임을 아무리 잘하고 초고수급이어도
    결국 리듬게임 하나도 못하고 악기도 다룰줄 모르는 사람과 같은거임 ㅋㅋ
    그리고 무엇보다 연주로 사람을 감동시킬수가 없지요
  • 血劍 2009.11.01 11:00
    #치우
    글쎄요 적어도 리듬겜을 잘하면 오락실에서 리듬겜 할때 뒤에있는 갤러리들을 떡실신 시킬 수 있죠

    그리고 리듬겜을 잘하는 사람이랑 못하는 사람이 같다는 건 무슨 말인지 모르겠는데

    적어도 '잘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거든요. 그건 악기연주를 잘하는 사람이 리듬겜을 했을 떄도 마찬가지죠

    게다가 애당초 리듬겜은 자기가 재밌자고 하는 '게임'인데 거기에 타인이 개입될 필요가 있을까요
  • ?
    이작 2009.11.01 10:53
    그저 외워서 하는 게임일 뿐...
  • 血劍 2009.11.01 10:57
    #이작
    리듬겜을 한번도 안해보셨군요.. 외워서 하는건 게임을 개관광시키는 슈퍼플레이에서나 나오는거지

    외워서 하는사람 거의 없습니다
  • 이작 2009.11.03 16:50
    #血劍
    맨 아래 동영상도요?
  • 회색빛스프 2010.02.15 16:51
    #血劍
    너무 단정적으로 말하시는데 외워서 하는 사람도 꽤 됩니다. 물론 전곡을 다 외워서 한다는 그런 개념이 아니라 폭타같은거 칠때같은 일부분만 그런다는 겁니다. 폭타같은걸 한번 보고 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있다면 굇수...) 그 키 배열을 익힌 다음에 손가락으로 몇번 연습해 보고 나서야 나중에 틀리지 않고 칠 수 있게 되는거죠. 쉬운 배열에서는 안 외워도 될지 모르나, 한번 봐서 잘 안되는 것들은 노트 배열 같은거 구해서 보고 연습해서 치는 겁니다. 그러는 도중에 외워지니 그걸 외워서 한다고 표현하는거죠.
  • 회색빛스프 2010.02.15 16:52
    #血劍
    그 때문에 리듬게임 같은거 팬카페 같은곳 들어가 보면 곡마다 노트배열 같은 자료들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회색빛스프 2010.02.15 16:57
    #血劍
    그리고 한가지 추가하자면, 님 댓글이 너무 공격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까? 온라이프에서 이글 저글 돌아다녀 보면 님 댓글이 하나이상은 달려 있던 느낌인데 반 이상이 공격적이었습니다(비판적이면서 공격적인 것도 포함한 것입니다.). 지금 댓글만 봐도 "그저 외워서 하는 것일 뿐" 이라는 혼잣말에 "리듬게임을 한번도 안해보셨군요" 라고 남을 깎아내리면서 공격적인 입장을 취한다는거죠.
  • ?
    산모루 2009.11.01 11:11
    글쎄요.. 저는 악기 다루는 것이 가져다 주는 즐거움과 리듬게임을 하면서 느끼는 즐거움은

    조금 다르다고 생각하네요. 악기를 연주하는 즐거움은 열심히 연습을 해서 곡을 자신의

    느낌대로 완성시키는 즐거움이라면,

    리듬 게임을 할 때는 노트를 맞추어 나가면서

    흥겹게 음악을 즐기는 즐거움이 있죠...

    그리고 리듬게임은 다양한 음들을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악기 연주와는 다르게 리듬게임은 오락으로써 저를 흥겹게 해주죠.
  • ?
    산모루 2009.11.01 11:15
    아, 그리고 무엇보다 리듬게임 초고수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그 노력이면 사실 실제 악기도 어느 정도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리듬게임은 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연습이 많이 필요해요.

    리듬게임 초고수분들이 악기를 배우지 않고 리듬게임을 연습하는 데에는

    리듬게임만이 주는 즐거움이 있기 때문이겠죠.
  • ?
    아이고 2009.11.01 12:21
    온라인게임들중에 이지투온이나 디제이멕스 다 서비스종료..........

    오투잼은 돈이 너무 많이들어서 할수 없는게임이고

    밴드마스터는 음원이 ............................................ㅠㅠ..

    하아 이제 뭘해야되나.
  • ?
    베르아일 2009.11.01 17:52
    지금 온라인에 들이는 돈이 아깝다고 생각하는 분은 아케이드를 전혀 안 하신 분들입니다 [...]

    대부분 오락실들은 바이올렛 300~400원, 코나미 게임은 500~1000원입니다. 한 판에 엑스트라, 앙코르 다 뽑는다쳐도 10분 할까 말까 하는데 거기서 죽돌이치면 얼마나 들까요? 저야 주위에 오락실이 없어서 못하지만, 한 번 제대로 뺑이치면 2만원은 씁니다.

    그리고 외워서 한다라는 분들 있는데
    DM하고 GF,JUBEAT라면 모를까 노트건반 리듬게임 외워서 하는 분들 거의 못 봤습니다? 아니 외워서 치는게 더 괴랄한 거에요.
  • 血劍 2009.11.01 23:00
    #베르아일
    그렇죠.. 아케이드에서 한번 제대로 뺑이치면 몇만원은 순식간에 훅가는..

    제가 그걸 견디지 못하고 비트콘 사서 디맥을 시작했는데

    디맥 서비스 접으니 BM좀 끄적거리다 이젠 재미 없어서 끊은지 1년..;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74 나도한마디 자네 혹시 "엑스탱크 온라인" 을 아나? 11 1 9timez 10.30 12242
1773 나도한마디 2D 횡스크롤 RPG "텐비" 의 던전 컨텐츠 2 9timez 10.30 10180
1772 칼럼 캐릭터간의 사랑은 현실에서도 통한다. 9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0.30 7631
1771 기획&분석 게임의 또하나 배경 사운드. 11 Opening 10.29 12103
1770 기획&분석 뮤블루 접었던 날개를 펴고 비상하라 15 1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0.29 21818
1769 칼럼 [임희택] 악습은 그만하죠. 저희는 피해자입니다. 6 임희택 10.29 4934
1768 나도한마디 (수정) 제가 생각하는 온라인게임의 순기능 4 ℡№ 10.29 8695
1767 나도한마디 십이지천2 유저에게 날아온 한통의 편지 7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0.29 7329
1766 기획&분석 자리와 오토를 막는 코드는 PK 시스템 강화 19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0.29 8273
1765 나도한마디 카르카스 온라인 운영진 3 몰리양 10.29 4034
1764 기획&분석 [임희택] 잡 퀘스트는 치워주세요. 퀘스트의 기능 3 임희택 10.29 3693
1763 나도한마디 고정을 파괴하고 혁신을 창조하라 1 덴  10.29 4538
1762 나도한마디 메이플, 더이상 초딩게임이 아닙니다 11 Saver 10.29 5814
» 칼럼 악기 하나쯤은 다룰 줄 알아야 한다? NO~! 19 싸이코서커스 10.29 9320
1760 기획&분석 우리나라 안에서의 논타겟팅게임 1 궁연 10.29 6345
1759 기획&분석 [임희택] 게임 중독 자녀, 다른 문제점은 없나요? 11 2 임희택 10.28 55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39 Next
/ 239
많이 본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