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조회 7328 추천 0 댓글 6

 

 OzFestival

 

  



 


Part 1
 

§ 오즈 페스티벌의 경쟁력

     Easy  -   Fast  -   Variety


 

 Easy    오즈는 쉽습니다.
                          뛰어난 두뇌, 고도의 집중력, 세밀한 컨트롤..
                          오즈는 요구하지않습니다.
                          긴 설명도 , 초반 적응도 필요없이 
                          누구나 쉽게 즐길수있습니다.
 

 Fast      오즈는 빠릅니다.
                          짧게는 5분 길어야 10분 내외로 '한판'을 즐길 수 있습니다
                          라이트 유저들에게 한판이 가지는 의미는 큽니다
                          한판에 필요한 시간이 길면 라이트 유저는 부담을 느낍니다
                          또한 미니게임 중간 중간 전혀 딜레이없이 빠르게 진행되므로
                          지루함을 느낄 틈이 없습니다
 

 

Variety  오즈는 다양합니다
                                  20가지가 모여 하나를 구성합니다
                                  이것은 현재 오즈페스티벌의 가장 큰 경쟁력 입니다

 




특히 Easy와 Fast는 캐쥬얼 게임의 강점이며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오즈는 타 캐쥬얼 게임보다 훨씬 더 이러한 특성이 강화시킴으로써 타 캐쥬얼 게임과의
차별성을 두고있습니다
오즈페스티벌과 같은 게임의 전례가 전혀없다는점은 유저들에게 신선함, 새로움으로
어필할수있습니다
언제나 새로운 시도는 낯선것에 대한 거부감 또한 동반할수있으나각각의 게임이 어디선가
본듯한 익숙함을 줄수있도록 여러가지 문화 컨텐츠를 패러디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상쇄시키고 재미도 주고있습니다
때문에 신선함과 익숙함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고있습니다





§기타 재미요소들


패러디

  
▲여고괴담
 
▲스타워즈  
  ▲괴물  



변신
게임중 상점에서 구입한 변신 카드로 변신이 가능합니다
변신중엔 카드에 붙은 능력치만큼 캐릭터의
능력이향상됩니다

▲플래시에서 이름을 클릭하시면 변신 모습을 보실수있습니다








귀여운 캐릭터 & 동화같은 디자인




▲오즈 페스티벌의 밝고 캐쥬얼한 분위기에 어울리는 캐릭터 디자인







▲동화같은 디자인




----------------------------------------------------------------------------

part 2

§오즈 페스티벌 발전의 저해요소

Easy, Fast와 같은 특성은 양날의검과 같습니다
지나치게 강화된 특성이 오히려 오즈의 발목을 잡는 문제점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오즈페스티벌을 구성하는 각각의 게임은 너무 쉽고 너무 빠르고 너무 단순합니다
너무 쉬운게임은 경쟁심리성취욕도 자극하지 못합니다
지금의 미니 게임들은 결국 일회성 시간때우기 정도의 수준밖에 안됩니다     
게임갯수를 대폭 늘려가는것으로 단점을 상쇄한다해도
컨텐츠 개발속도는 유저들의 컨텐츠 소모 속도를 절대로 따라갈 수 없습니다
언젠간 한계가 오고 결국 현재의 단순하고 쉬운 게임의 반복에 유저들은 금방 실증을
느끼게될겁니다
40초짜리 게임 100개가 있다한들 어차피 금방 질릴수밖에없습니다
각각의 미니게임들도 하나의 게임으로서 최소한의 기능은 발휘할수잇어야합니다

또한 이러한 게임들에선 하드유저가 자리잡을수 없습니다
캐쥬얼 게임에도 하드유저층이 존재합니다
아무리 캐쥬얼 게임이라도 라이트 유저만 가지고 오래 유지되긴어렵습니다
라이트유저는 게임에 금방실증을 느끼고 대체할만한 게임을 발견했을때 쉽게 떠납니다
게임에대한 애착이 없습니다
실질적으로 게임을 오래 유지시키는건 하드유저들입니다
하지만 현재 오즈페스티벌엔 하드플레이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너무도 쉽고 너무도 단순하기때문에 고수와 하수를 구분짓는 선이 모호할 수 밖에 없습니다
유저를 게임에 오랜시간 붙잡아 두는 가장큰 힘은 승부욕 성취욕을 얼마나
자극할수있느냐입니다

지금의 오즈페스티벌은 그런힘이 전무합니다
승부욕과 성취욕을 자극하지못하면 유저들은 게임에 몰입하지 않습니다


§문제점의 개선을 모색하다


Easy  Fast  Variety 라는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선
지금 당장은 게임의 숫자를 늘리기보단 각각의 게임에 좀더 깊이를 더해야합니다


[공통적인 기본개선방안]


-게임인원 4~8인으로 증가


현재 4명의 플레이어는 너무 적습니다
썰렁하고 허전한 느낌을 주기도합니다
인원이 늘어남으로써 경쟁자가 증가하고 게임은 좀더 복잡해집니다
유저는 더욱 몰입할 수 있습니다
기본 4인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되
유동적으로 8인까지도 가능하도록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맵 사이즈 확장
플레이어 수의 증가만큼 사이즈도 커져야합니다

-플레이타임 증가
맵사이즈가 커지고 게임인원이 늘어남으로써 자동적으로
단일게임의 플레이타임은 늘어납니다
 
기본적인 세가지 개선만으로도 게임에 약간의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말씀드린 FAST라는 장점을 해치지 않기위해 게임시간이 길어진만큼 라운드 숫자는 적당히 줄이도록 해야합니다




[기타개선방안]


1. 맵의 변화


현재 오즈페스티벌의 각각의 게임은 맵이 모두 똑같습니다
똑같은 맵은 게임의 다양성을 해치고 유저들로하여금 금방 실증을 느끼게합니다
같은 게임이라도 다양하게 변하는 맵을 통해 유저들이 실증을 느끼지않게하고 다양성을 더욱
강화합니다


2. 랭킹 도입


각 게임마다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랭킹을 도입합니다
랭킹은 일정주기를 기준으로 초기화시킵니다
랭킹의 도입으로 성취욕과 승부욕을 자극함과 동시에 하드플레이의 여지를 마련합니다


3 - (1) 난의도 세분화

 쉬움 중간 어려움 등으로 난의도를 세분화하여 
 같은 게임이지만 진행패턴이나 맵지형등의 변화를 통해
 더 디테일한 플레이가 요구되도록 합니다

      (2)채널의 세분화

 일정레벨 이상 입장가능한 고수용 채널을 만들고
 하위 채널과는 전혀다른게임 or 같은 게임이지만 진행패턴이나 맵지형의 
 변화를 통해 더 디테일한 플레이가 요구되도록 합니다

 

4-(1) 아이템 세분화

아이템에 능력치를 부여하여 레벨 숫자만 올라가고 옷만바뀌는 육성에서 탈피
좀더 디테일한 육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현재 카드에만 붙어있는 속도 파워 등의 능력치를 아이템에 부여합니다
그러므로써 수집욕 성취욕을 자극함과 동시에 하드플레이의 여지를 마련합니다  
그러나 너무 고가의 고능력치 아이템이 존재하게되면 라이트유저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기때문에
밋밋한 캐릭터에 특성을 조금 부여하는 정도의 능력치에서 제한되야합니다  

   
   (2) 변신시스템 강화

현재 특성별로 세분화된 변신카드는 그대로두고 특성별로 더욱 세분화시켜 숫자를 늘립니다
모든 능력치가 붙은대신 SP소모가 큰 카드(사이버히어로,엘프 등)는 상점에서 삭제하고 게임중에 보상으로 얻을수있도록해 희소성을 강화하여 수집욕을 자극합니다

   
4-(1), 4-(2)의 경우 레벨업과 게임머니축적의 동기부여라는 측면에서 아주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현재의 오즈페스티벌에 필요한것은 각게임 마다의 게임성 강화입니다
그러나 너무 깊이 들어가면 fast easy variety를 해칠수있습니다
적당한 선을 찾아내는게 중요하겠죠
그후엔 게임의 숫자도 꾸준히 늘려가야 할것입니다





§오즈페스티벌 개발의 희망사항

 

궁극적 개발목표- 종합커뮤니티 게임으로의 성장

오즈페스티벌의 주 유저층은 결국 라이트유저를 구성하는 집단
즉, 저연령(20세이하)의 남성이나 여성층이 될수밖에없습니다
주로 공략해야할 대상이 바로 이 집단이며
오즈페스티벌의 현재 특성을 생각할때
이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고 공략하기 위해선 커뮤니티 강화는 필수적입니다

 

커뮤니티 강화의 방안


1-(1) 팀전 or 커플전

   현재 있는 팀전 전용 게임만을 모아 팀전 모드를 만듭니다

   (2) 태그매치

   팀을 이룬 후 각 게임마다 자신있는 유저가 각팀에서 한명씩 출전하여 경기합니다
   한유저는 한경기만 출전할수있습니다


   (3)길드전

   싱글게임은 태그매치 방식과 같이
   단체전은 길드전 전용으로 4vs4이상 할수있는 게임을 개발합니다

 


2.펫 육성

  팻은 타게임의 아이템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아이템전 대신 팻을 추가함으로써 아이템전과 같은 효과를 얻습니다
  팻은 변신시스템과의 차별화를 위해 유저를 돕는것이 아닌 경쟁자를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들어 다른유저에게 달라붙어 이동속도를 느리게하거나 
  스턴을 걸거나 시야를 막거나 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3.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강화
  
   유성유저층을 위해 의상 장착창을 세분화하여 다양한 부위를 좀더
   디테일하게 꾸밀수있도록 지원합니다


4. 미션(파티플레이)추가

   대결이아닌 함께 협동해서 할수있는 미션 모드를 추가합니다
   하나의 긴 미션이 아닌 현재의 오즈 페스티벌의 시스템처럼
   다양한 여러가지 게임으로 이루어진 미션이며
   플레이 타임또한 길지않아야합니다

 

5. 광장 추가

   방리스트에 채팅창 하나 달랑있는 대기창에서 탈피
   게임을 할수있는 대기방과 광장을 분리하여 게임외에 오직 커뮤니티 만을 위한 공간을 마련함
   으로써커뮤니티를 극대화시킵니다
   커뮤니티 강화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며 광장에서 할수있는 일이 많아질수록 커뮤니티또한
   더욱 강화될것입니다
  
기본적으로는 광장이나 현재 점프액션 밖에 되지않는 게임방 내에서 다양한 감정표현모션
   지원하고 가지고있는 변신카드로 변신도 할수있도록 합니다




§기타 건의사항

모든게임이 다재미있는것은 아닙니다
유저마다 이 게임은 정말 싫다 라고 생각되는 게임하나를 off시켜서
그게임은 랜덤으로 걸리지않도록 했으면합니다
4명의 유저가 하나씩 모두 다른게임을 정한다해도16종의 게임이남으며 모두 같은 게임을 off시킬경우 19종의 게임중 랜덤하게 걸릴수있습니다
아니면 게임전 방장이 임의로 하나의 게임은 걸리지 않도록 정할 수 있게 합니다





----------------------------------------------------------------------------

part 3

§전체적인 만족도, 성공가능성
 
 
1차 클로즈 베타테스트라서 그런지 즐길만한 요소는 많지않았습니다
대략적인 게임의 구성을 볼수있었을뿐이죠
만족도를 말하고 평가할만한 단계는 아니라고봅니다
워낙 소수인원의 테스트였기때문에 서버 과부하, 클라이언트 안정성에대한 평가도 배제하였습니다때문에 현재의 만족도가 아닌 가능성의 측면에서 평가해볼까합니다
이게임의 향후 향방은 극과 극으로 갈수있다고봅니다
크게 성공하거나 캐쥬얼 게임시장에 괜찮은 전례만 하나 남긴체 사라지거나
성공할수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갖고있습니다
쉽고 간단하지만 단순해서 금방질릴수있고
또 너무 깊게들어가면 캐쥬얼게임이 아니게 되버리는
상황을 극복할수있는 가능성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다듬어 나가느냐가 문제겠죠

 


 §총평 

전 오즈페스티벌을 하면서 놀이터를 떠올렸습니다
어린시절 놀이터에서 재미있게 뛰어놀던 기억들 모두 갖고계시겠죠
하지만 어른들은 놀이터를 찾지않습니다
놀이동산을 찾죠

오즈페스티벌이 놀이동산으로 발전하길 바랍니다

 

 

- 플레이 후 연상되는 게임or영화or만화or음악 등을 말씀해주세요.

  패미콤 120종게임 모음 팩

- 오즈 페스티벌을 추천해주고 싶은 사람.(이런 분에게 추천합니다.)


  고전게임에 향수를 갖고계신분
  
   오랫동안 고전게임을 즐기고계신 고전게임 하드유저

  게임할 시간이 많지않은 라이트유저

  여성게이머


-플레이 스크린샷
















Comment '6'
  • ?
    싸이코서커스 2009.06.28 23:58
    그러고보니 제 스크린샷에도 fate천상님이 찍혀있네요 ㅋ

    온프님들 알게모르게 서로 게임 많이햇을지도 모름 ㅎㅎ

    음..혹시 온아제도 테스트 참여하셧을지도?
  • ?
    파워서플라이 2009.06.29 10:19
    개인적으로 이분이 제일 잘쓴거 같내요
  • 싸이코서커스 2009.06.29 15:05
    #파워서플라이
    아이쿠 과찬이십니다
    어쨋든 좋게 봐주시니 감사 ㅎㅎ;
  • ?
    소녀시대 2009.06.29 10:48
    저도 싸이코님이 글을 딱딱 잘라주셔서... 통으로 묶은거보다

    눈에 더 잘들어오는듯
  • ?
    SOPIN 2009.06.29 15:31
    역시 온라인에서는 싸이코서커스님처럼 보기 쉽게 엔터신공을 해야 독자들이 보기 편하군요 !
    저두 다음부터 엔터신공을 +_+

    개발의 희망사항 또한 좋은데요?
    난이도의 세분화, 어찌보면 고수들을 위한 컨텐츠일수도 있지만 자신의 실력에 맞게 쉬움, 보통, 어려움으로 나눠서 더욱 긴장감 넘치는 게임이 될수도 있겠네요~
    예를 들면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는 난이도가 어려움이다라고 하면 떨어지는 점수들의 수를 줄여서 누가 먼저 맞춰서 빠르게 점수를 따내는 식으로 하면 좋겟네요~ 쉬움에서는 10개, 보통은 5개,어려움은 3개만 떨어지게~
    아이디어 매우 좋아요~!

    펫 시스템 또한 밸런스 파괴 범위만 아니라면 매우 좋을텐데, 이것이 오픈베타 이후 캐쉬로 나와서
    밸런스를 파괴 시켜버리면.. 후덜덜 대부분의 부분 유료제는 캐쉬로 인해 막장을 달리는 경우가 많아서 참~
    오즈페스티벌은 그런 경우가 별로 없을것같아 한편으로 안심이 됩니다~

    싸이코서커스님 알찬 내용 많이 배우고 갑니다~
  • ?
    루크z 2009.08.09 15:26
    오호 신선하다 !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x / 댓글 작성: 1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3 [온라인] 캐쥬얼 RPG [오즈페스티벌]무난함속에 묻어나는 새로운 장르 소우 06.27 4969
202 [온라인] 액션/대전/슈팅/리듬 [오즈페스티벌]즐겁게 웃으면서 게임하자. 5 심쇼 06.28 4631
201 [온라인] 액션/대전/슈팅/리듬 [오즈페스티벌]말이 필요없다니깐! OZ~~~! Opening 06.28 7865
200 [온라인] 액션/대전/슈팅/리듬 즐거움이 가득한 게임세상 '오즈페스티벌' 11 Fate천상 06.28 8685
199 [온라인] 액션/대전/슈팅/리듬 [오즈페스티벌] 오즈 페스티벌 체험 후기 3 욘사마빈라덴 06.28 4782
» [온라인] 그외 [OzFestival의 발전을 모색하다] 6 싸이코서커스 06.28 7328
197 [온라인] 캐쥬얼 RPG [오즈페스티벌]캐쥬얼스러운 캐쥬얼게임이 나왔다! 3 SOPIN 06.29 4842
196 [온라인] 그외 [오즈페스티벌] 캐쥬얼 게임은 이런 것이다. 6 9timez 06.29 5563
195 [온라인] 액션/대전/슈팅/리듬 [오즈페스티벌] 바로 이 맛 아닙니까~ 4 시즈 06.29 4824
194 [온라인] 액션/대전/슈팅/리듬 [오즈페스티벌] CBT 좌충우돌 탐방기 4 하데스 06.29 5265
193 [온라인] 액션/대전/슈팅/리듬 [오즈페스티벌]지루함을 느낄수없는 단순하지만 중독성있는게임 2 천룡파미™ 06.29 5628
192 [온라인] 그외 [오즈페스티벌] 짧지만 강한 3일의 체험후기 2 악로왕 06.29 7605
191 [온라인] 캐쥬얼 RPG [오즈 페스티벌]오랜만에 유쾌했던 3일. 3 GRACE 06.29 6413
190 [온라인] 액션/대전/슈팅/리듬 [카바티나 스토리] , 앞으로 기대되는 게임. 4 트릭 07.31 8128
189 [온라인] 액션/대전/슈팅/리듬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큰 변화를 바라며 ,, 7 트릭 07.31 6128
188 [온라인] 캐쥬얼 RPG [애플파이2] 클로즈베타에 참여해봤습니다 15 루크z 08.07 120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
많이 본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