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조회 2400 추천 0 댓글 11


인플레이션이란, 쉽게말해서 돈의 가치가 떨어져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중학교 정도만 나오셨다면 이해하실 수 있을거라 믿습니다. 대게 인플레이션이 일어날때를 보면, 물가가 상승하거나 제품의 명목가격은 변동이 없으나 질이 현저히 떨어질때 정도라고 볼 수 있겠네요.

복잡하게 들어가면 한도끝도 없지만, 우리는 게임을 하는사람이지 경제를 하는 사람이 아니잖아요?? ㅋㅋㅋㅋㅋ

현대사회와 마찬가지로 자본주의가 표방되는 게임내에도 인플레이션은 존재합니다. 근데 게임속의 인플레는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사회와는 조금 다르게 형성됩니다. 어떤점이 다른가 하면...

현실사회에서 시장가격은 어느정도의 정부의 개입과 통제가 유효합니다. 이때 정부는 가격수준에 일정한 테두리만 제공할뿐, 생산수량에는 개입하지 않지요.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아아아... 더 복잡해지기전에 여기서 끊고요~ 그러나 게임속은 다르지요.

게임속에선 유저가 가격을 결정합니다. 물론, NPC가 판매하는 일부아이템의 경우 게임사에서 가격을 할당하지만 몬스터가 드롭하는 특정한 유니크아이템같은 경우에는 유저가 직접 가격을 설정하고 판매합니다. 이 것이 바로 인플레가 쉽게 발생하는 게임계의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겠죠. 하지만 이러한 근본적인 원인이 존재한다고 해서 꼭 인플레가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유저들이 시장가격의 형성을 잘 이루고 게임속의 화폐의 가치가 변하지 않는 선에선 말입니다.

하지만, 게임속은 현실사회와는 또다르게 화폐의 가치가 너무나 쉽게 변할수 있습니다. 예로들자면, 종래에는 없던 던전이 생긴다고 칩시다. 전에는 던전을 한시간 돌아도 만골드를 버는게 고작이였으나 새로운던전이 생기면서 던전을 한시간만 돌아도 오만골드씩 벌수있다고 생각합시다. 돈의 가치는 그만큼 떨어지게 되겠죠. 하지만, 시장가격은 특성상 그렇게 빠르게 변동되지 않습니다. 종래 십만원이던 아이템이 새로운 던전이 등장하면서 가격은 오십만원이 되어야 정상인데 그렇게 되지 않는다는 것이죠. 사는 사람은 계속해서 그 아이템을 십만원에 구입하려고 할테니까요.

전에는 고가이던 아이템을 이제는 쉽게 구할수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정말 꿈의 환상의 원더랜드 같다고요?? 하지만, 전혀 아닙니다. 장기적으로 봤을때 이 현상이 지속되면 시장가격은 다시 형성되고 돈의 가치가 떨어진만큼 아이템의 시세도 다시 변동됩니다. 근데 오십만원으로 변경되어야할 아이템의 가격이 백만원 이백만원 삼백만원 쭈우욱 올라가게 되지요.

왜그러냐구요???

당연한 현상입니다. 골드는 꾸준히 벌어지지만 아이템이라는 것 자체는 드롭율이 존재하기때문에 확률로 얻게되지요. 결국에 아이템을 새로운 시장가격이 설정되기전 십만원에 대량 물량이 풀려버려서 공급이 떨어지게 되고 아이템의 시세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는 것이지요. 이것이 게임속의 인플레이션의 첫단계라고 봅니다.
이때 눈치빠르게 아이템을 사재기한다면 엄청난 부를 누릴 수 있겠죠.

뭐, 앞서도 말했듯이 인플레가 일어나는 현상을 여러가지로 들자면 정말 글이 길어지고 읽는 분도 짜증이 날테니... 간단하게 여기까지만 얘기해봅시다.

제가 말하려던 건 이게아닌데... 글 재주가 없어서원...

제가 말하고싶던건 이겁니다.
현실사회에서는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여 이런 현상을 막을 수 있겠지만 게임속은 안된다는 것입니다. 게임사에서 직접 끼어들어 얼마에 팔라고 하는건 말도 안되잖아요??

그러므로 게임사는 화폐의 가치의 변화를 크게해선 안된다 이겁니다. 화폐가치를 너무나 떨어뜨리는 던전이나 사냥터, 혹은 시스템을 만든다던가 하는 행위를 하지 말자는 것이죠.

게임 내 화폐의 가치가 완전히 고정된다는건 말도 안되겠지만 너무많이 변화해서도 안됩니다. 몇몇 게임은 사행성 이벤트로 화폐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정말 게임을 망치는 짓이 아닌가 합니다.

물론 게임내 화폐가치는 게임이 크게 변함에 따라 당연히 달라집니다. 하지만 그 변동폭을 너무 크게 하기보다는 개발자가 게임 속 유저가 되어서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나 파악을 한 후에 변동폭을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쓰고나니 글이 참 이상하네요 ㅡㅡ;;; 이상하고 긴 글을 읽어주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Comment '11'
  • ?
    Zombie 2008.12.27 18:41
    돈이나 아이템을 허공으로 증발시키는 시스템이 있다면 다를지도

    던파처럼
  • ?
    울타리 2008.12.27 18:52
    아틀란티카는 좀 다르던데요.
    재료같은 물건은 게임사 측에서 적당 가격으로 무한 판매해서
    말도 안되는 값으로 올려놓는 사람들을 막을수 있지요.
    허나 경쟁이 매우 치열해서 많은 유저들을 빈곤으로 몰아가지요.
    하지만 먹고 살 방법이 재료를 파는 것만이 아니기 때문에 이방법은 게임사가 시세변동에 개입하는 것중
    꽤 좋은 방법이라 생각해요.

    써보니까 주제에 전혀 부합되지 않은 글 같네
  • ?
    대우자전거 2008.12.27 19:28
    장비 아이템은 소모성이 없기 때문에 가격이 엄청나게 뛰더라도 어느정도 가라앉을거 같은 생각의 1人
  • ?
    BONOEMONG 2008.12.27 19:39
    던파보믄 캐시템 교환이 정말 자연스러운데 후자에 나온게 좋을 때도 있고, 한정판 캐시템이 월등히 좋거나 나쁠 때가 수시로 달라서 한순간에 쓰레기되는 것들이 많지요. 밸런싱도 이지경이니깐 욕먹지요~
  • ?
    보라포도 2008.12.27 19:52
    던파는 인플레이션 정말 잘 막는듯...

    미칠듯한 강화실패로 엄청난 골드를 회수해주며 돈값이 떨어질락 하면 황금항아리를 풀어서 돈의 가치를 높여주는...

    돈복사 파문 때문에 돈이 엄청 풀린 후로도 골드회수전략으로 멀쩡하게 있는거 보면 대단..
  • BONOEMONG 2008.12.27 20:09
    #보라포도
    그건 뇌없플이 잘한 짓이 아니라 게이머만 개같아지는 경우였는데여 아닌가염? 수리비로 한창 말 많았죠.
    또 게이머로선 할 게임이 없으니까 던파 접었다가 다시 돌아오기도 하고, 돈복사 파문 애초에 버그 신고 씨알도 안 먹히던 네오플이 일 터지니까 부랴부랴 ㅋㅋㅋㅋㅋㅋㅋ

    중요한건 골드 회수라는 말부터가 재수가 없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보라포도 2008.12.27 22:44
    #BONOEMONG
    네오플이 던파의 게임성을 믿고 운영을 막장으로 하긴함 ㅇㅇ

    뭐 강화의 경우 던파의 돈의 가치가 안떨어지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생각하고 요것도 게임성에 들어가니깐요

    항아리이벤이나 강화로 유저가 개같아지는 경우는 자신이 자초한 일이라 할말이 없음

    게이머로서 할게임이 없어서 던파로 돌아오는건 던파가 그만큼 잘만들었다는거임

    난 던파처럼 운영막장으로 하는데 잘되는 게임은 첨봄... 잘만든 게임은 운영을 개같이해도 돈만 잘버나봄
  • ?
    Lunate 2008.12.28 08:00
    ...예전에 어떤 게임에서
    게임 상류층 놈들이 아이템 몇개를 사재기 한다음에
    말도안되는 가격에 팔다가

    유저들 자체적으로 불매운동을 벌였다는 이야기도 있었는데,
    ..무슨 게임인지 기억이 안나네요 - _-)a


    또,

    사재기로 시장에 물량이 없어 상대적 제품의 평가상승이 있는 경우에
    유동적으로 게임개발쪽에서 드롭율을 조정한다고 하긴 하는데..

    ..게임쪽 일하시는 분이 하신 이야기긴 한데,


    썩 체감은 안옵니다 - _-)..
  • ?
    karas 온프 대장 2008.12.28 16:47
    게임도 또하나의 세계..........인플레이션이 생길수밖에 없죠...
  • ?
    어둠아이 2008.12.30 19:17
    온라인게임에서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수 없는 이유가 몇가지 있죠. 하나는 인챈트 혹은 강화시스템의 성공률에 의한 게임단위의 화폐가 소실된다는 점. 그리고 또 하나는 상점에서 구입한 아이템이 다시 되 팔때 많게는 1/10의 가격이 된다는 점. 그렇게 게임 내의 화폐는 유저간에 돌고 돌지 않는 한 줄어들기 마련인거죠. 때문에 실제로 줄어들지 않고 사용되어지는 돈은 유저간의 거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것은 즉 게임내에 인플레이션은 일어나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 ?
    히비큐스 2008.12.31 16:50
    결국에 아이템을 새로운 시장가격이 설정되기전 십만원에 대량 물량이 풀려버려서 공급이 떨어지게 되고 아이템의 시세는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는 것이지요// 이 문장이 뭔 말인지 당최 이해가 불가하네요.
    아이템을 물량이 풀려버려서;; 이게 뭔말인지
    그리고 시장가격이 설정되기전에 물량이 풀려버리면 당연히 가격은 내려가지요.
    물량이 대량 풀려버린다고 공급이 떨어지는건 어느 게임 경제인가요??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70 나도한마디 정통 MMORPG는 무엇입니까 ? 7 Kanzi'Ahn 01.31 2400
» 나도한마디 게임 속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내 생각 11 소년 12.27 2400
268 나도한마디 끝 없이 이어지는 퀘스트 어떻게 생각하세요? 4 3 정훈 02.22 2400
267 나도한마디 오토사용을 막는 모든 이들은 들어라. 오토사용은 정당하다. 38 피빛물든천사 08.31 2398
266 나도한마디 자기합리화라공!!? 너무햇다..흐허허허허헝 ㅠ ㅠ 11 choinu 08.07 2398
265 나도한마디 온라인게임의 육성법 18 ℡№ 09.09 2396
264 나도한마디 한계 또한 게임의 일부 입니다. 1 Kanzi'Ahn 01.09 2395
263 나도한마디 경험치 의 정의 . 9 1 Kanzi'Ahn 09.17 2393
262 나도한마디 갈수록 좋아지는 사양 3 컨트롤 01.30 2391
261 나도한마디 그만 하죠 이제 질렸습니다. 23 7 연아 02.14 2391
260 나도한마디 색 다른 시스템은 없는것인가? 9 4 건빵제품 03.09 2389
259 나도한마디 게임에서까지 널학대하려하지마라 7 로허 02.15 2388
258 나도한마디 가끔씩은 뒤도 돌아봐야 하는법! 4 에리안느 08.30 2385
257 나도한마디 욕...!? 9 6 Kudo 02.02 2385
256 나도한마디 소수의 매니아들을 위해서라도 게임을 운영한다면... 5 3 유라시아 01.27 2384
255 나도한마디 게임에서 리얼리티를 추구한다면, 18 1 마루 08.07 23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 239 Next
/ 239
많이 본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