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패키지 게임 시장을 살려야 하느냐 마느냐에 대해 열띤 이야기가 오갔죠. 패키지 시장이 살아났으면 좋겠다부터 살아나야 업계에 도움이 된다, 원래 패키지 시장같은 건 없었다까지 다양한 의견이 오갔습니다.

여러가지 의견이 나왔지만 그 의견들을 관통하는 공통점은 현재 한국의 PC 패키지 시장은 돌이킬수 없을 정도로 어렵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한국에 있는 게임회사의 대부분은 온라인 게임을 만들고 있습니다. 송재경 님이 밑의 글에도 언급했지만 이유는 간단합니다. 겉보기엔 그 쪽의 수익이 PC나 콘솔 패키지에 비해 안정적이기 때문이죠.


물론 게임은 다른 문화 미디어에 비해 산업적인 측면이 강합니다. 게임 하나에는 꽤 많은 인력이 들어가고, 그 인력을 운용하는 데는 당연히 돈이 필요하고, 필요한 돈이 하늘에서 떨어지진 않으니까요.


하지만 지금의 한국 게임업계는 지나치게 수익을 바라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재미를 이야기하면 재미가 있으면 뭐해, 돈이 벌려야지~로 흐르는 거죠. 이러이러한 게 있으면 재미가 있을것 같지 않냐 라고 말하면 일단 주판알을 튕겨보고 아니다 싶으면 사람을 바보 취급하거나, 아직 현실을 모르는 풋사과 취급을 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사람들이 보수적이 된거죠. 이렇게 된 이유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습니다.

첫 번째는 한국 게임산업이 성공모델인 온라인 게임이 나올 때까지 굉장히 배고프게 지냈다는 겁니다. 그 배고픔을 겪었던 개발자들은 당연히 일단 '먹고 살자= 돈'으로 우선 순위를 돈에 두는 것이 당연하다고 봅니다.

두 번째는 현재 한국 게임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성공한 모델은 온라인 게임이 유일합니다. 루트가 여러 개면 보수적으로 하나만 고집할 필요가 없겠죠.

세 번째는 이것은 게임업계뿐만 아니라 한국 안에서 넓게 보면 세계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경향 같은데요, 지금 한국 사회 전체가 보수적으로 변하고 있는 겁니다. 쉬운 예를 들면 지금 젊은이들의 가장 우선에 놓는 가치는 모두 좋은 직장에서 많은 월급을 받으면서 가정을 꾸리는겁니다.

 

대학생들의 절대 다수가 독서실에서 공사 준비와 대기업 취업 준비를 하고 있고 사회적으로도 그것이 가장 우선 순위되는 가치인 거죠. 당연히 게임업계도 그런 사회의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그리고 현재 특성상 보수적인 움직임을 포기하면 굶어죽을 리스크가 높습니다. 한국은 특히 더 그렇죠. 난 다른 게임을 만들겠어! 하고 파격적인 것을 만들었다가 실패라도 하면 지금의 경쟁이 미덕인 사회에서는 돌이킬 수 없이 도태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이런 세 가지 이유로 게임 개발자들은 자금회수를 중심으로 보수적으로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런 이유뿐만은 아니겠죠. 더 복잡하고 어려운 요인들도 많을 겁니다.

하지만 사회가 너무 보수적으로 흐르면 발전이 없습니다. 게다가 사건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도 부족해지죠. 한번의 위기에 와르르 무너질 수도 있고, 발전이 없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고요.

 

그래서 저는 지금의 개발자들에게 도전과, 진보적인 의식이나, 낭만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을 모르는 낭만이야말로 가장 안 좋고, 게임 개발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잘못되면 민폐로 변할만큼 위험하겠지만, 지금의 개발자들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현실적이거든요.

외국에서는 도전적인 움직임이 점점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해외 인디게임 개발자들이 성공하는 경우도 많고요. Xbox360의 라이브 아케이드에서는 인디게임 개발자들의 게임을 다운로드 받아 서비스를 하고 있고, TIG에서 소개되었지만 올해 가장 혁신적인 PC게임으로 뽑힌 오디오서프도 스팀의 다운로드서비스와 함께 만나 빛을 본 도전적인 결과물이죠. 밸브의 <PORTAL>이 대학 졸업작품을 보고 밸브에서 통째로 팀을 산 결과물이라는 것도 유명한 일화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이야기해도 저는 개발자들의 등을 떠밀 수는 없습니다. 제가 봐도 지금 돌아가는 형국이 암울하긴 하니까요. 아마 10년 정도는 더 암울할 것 같습니다. 제가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요,

첫 번째 다음 대선에 대통령이 될 확률이 가장 높은 사람이 박근혜이기 때문입니다. 최근의 국민일보에서 한 여론조사를 보신분들이라면 알겠지만 박근혜가 제일 높았죠. 여전히 사회는 보수적으로 흐를 확률이 높습니다. 경쟁에서 도태되면 돌이킬수 없는 환경이 계속되리라 봅니다.

두 번째 현재 PC 패키지 시장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아까도 언급했듯이 패키지 게임 주의자던지, 온라인 게임 주의자던지 공유하고 있는 것은 현재 패키지 시장은 어렵다죠.

 

지금 패키지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최소한 블리자드급의 브랜드나, EA급의 자금력으로 밀어붙여야 하는데, 도전하는 사람들에게는 브랜드나 자금 둘 다 없을 확률이 높습니다. 거기다가 불법복제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방법이 나오고 있지만 그 방법을 사용하는 데도 돈이 필요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서버에 접속해야만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식의 간단한 방법이라도 서버 유지비가 들어가죠.

세 번째 온라인 게임은 PC 패키지 게임에 비해서 개발자원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송재경 님의 글에서는 같은 자원이면 온라인 게임을 만드는 게 낫다고 하셨지만 온라인 게임에 필요한 자원은 PC 패키지(혹은 stand-alone) 게임보다 월등히 많습니다. 당연히 같은 비교를 할 수가 없죠. 유지비도 그렇고, 서버 개발비도 그렇고 보안에 투자해야 하는 것도 그렇습니다. 민폐를 줄이기 위해 수를 줄여서 도전하고 싶어도 온라인 게임의 개발장벽은 높습니다.

네 번째 콘솔 시장은 플랫폼 홀더가 많이 가져갑니다. SDK 구매 등의 초기 개발비용도 필요하고요. 모바일 게임에서 통신사가 가져가는 것만큼은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쪽도 불법복제도 좀 심하고, 게다가 차세대 게임기로 만들려고 들면 엄청난 자원이 필요하죠.

뭐 말은 이렇게 했지만 그래도 대안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세상이 보수적으로 변하고 있고 게임의 개발 역시 그렇게 흐르고 있지만, 그래도 가장 개방적이고 발전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게임개발자라고 생각합니다. 흐름만 있으면 거기에 참여할 거라고 봅니다.

국내는 이렇지만 세계적으로는 점점 인디게임이나, 아니면 휴대용 콘솔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휴대용 콘솔은 차세대 기기에 비해서는 개발비가 적습니다. 적은 인원으로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죠.

 

닌텐도DS같은 것은 플랫폼홀더가 가지고 있는 힘이 너무 크지만 아이폰이나 구글 안드로이드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이 적습니다. 아이폰 어플리케이션은 누구나 만들 수 있고 비용만 지불하면 애플을 통해 배포할 수도 있죠.

사회가 좀 더 안정되면 청년들이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이야 젊었을 때 실패하면 골로 가는 거지만, 그런 모험을 해도 될 정도로 안정이 되면 게임업계에서도 도전을 더 많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인디게임이 발전하면서 가내수공업으로 게임을 만드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진 않았지만, 인지도만 놓고 보면 성공을 거둔 한국의 어이쿠왕자님 같은 인디게임도 있고, 외국에서는 기존의 판매망을 벗어나 직접 자기가 게임을 만들어 pay-pal등으로 대금을 받고 유통을 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게임은 아니지만 붕가붕가 레코드의 장기하와 얼굴들 같은 경우도 직접 손으로 시디를 만들어서 팔고 있더군요. 저번에 싱글시디 샀더니 시디에 스티커 붙인 흔적이… 비록 상업적인 성공으로 가긴 힘들어도 다음 음반을 낼 돈을 얻을 수 있다면 성공한 것이라고 봅니다. 게임도 마찬가지로 다음 게임을 만들 비용만 회수할 수 있다면 괜찮지 않을까요. 지속가능한 개발이 될 수 있는 거죠.

뭐 어쨌든 현실도 중요하고, 게임은 산업적인 측면이 강하지만, 문화예술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너무 보수적으로 현실적으로만 접근하면서 이런 재미나 문화예술 측면에 대한 도전이 줄어드는 게 아쉽습니다. 너무 낭만적으로 생각하는 걸까요.

 


※ 덧. 보면 자극이 되는 사이트들.
* http://www.indiegames.com/ 외국의 인디게임 블로그입니다. 무료로 공개되는 인디게임 소개도 자주 올라옵니다.
* http://www.experimentalgameplay.com/ 지금은 공사 중입니다만, 말 그대로 실험적인 게임들이 올라오는 곳입니다. 다듬어지지 않아서 재미는 없을 지도 모르지만 그야말로 실험적인 게임들이 가득합니다. world of goo도 여기서 출발했죠.






--------------------------------

디스이즈게임 이라는 게임정보사이트에서 본 글입니다.
얘기가 너무 좋은 얘기라서 글쓴이 분에게 직접 물어보고 퍼왔습니다.
펌글을 여기다 올려도 될지안될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올려봅니다.

-------------------------------------


출저 : 디스이즈게임 - 커뮤니티 - 게이머발언대 - 이후님이 쓰신 글에서 퍼왔습니다.

주소: 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id=202827&category=203


Comment '15'
  • ?
    2008.12.12 13:27
    이 글은 보수적이라는 단어를 중점으로 쓴 글이군요.
    이런글이 재밌긴 재밌음 'ㅅ'
  • ?
    알아야될때 2008.12.12 14:10
    재밋으면서도 현실을 정곡으로 찔러버리죠~
    맞는말이니..
  • ?
    2008.12.12 15:26
    현실을 찌르건 후비건 그건 나는 낫인폴턴트
    이러한 글은 글쓴이의 정신세계를 탐방해주는 글이죠 'ㅅ'b
  • 알아야될때 2008.12.13 09:48
    #덴
    글쓴이의 정신세계를 말하는게 아닙니다

    그저 게임만 즐기는 유저들에게는 공감이 되지 않겠지만

    조금만 현실에 눈을 뜬다면 쉽게 공감할 수 있겠죠
  • ?
    나크 2008.12.12 16:40
    좋은 글이군요.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는게 좋을리는 없죠.
    근데 중간의 정치얘기는 옥의 티군요.
  • 알아야될때 2008.12.13 09:49
    #나크
    글쎄요~ ㅎㅎ

    게임이 게임계라는 독립적인 곳일까요
  • ?
    L군 2008.12.12 17:51
    낭만과 문화는 삶이 풍족해야 성장합니다.
    소수 기득권자들의 낭만과 문화는 서민들이 보기에
    아무리 날고 기는 낭만과 문화라도 돈 ㅈㄹ로 밖에 안보이죠...

    게임이 문화라면 이것도 마찬가지 입니다.
    배고파 죽겠는데 낭만이 어디있고 문화가 어디있겠습니까..

    이 점에서 글쓴이가 정치이야기부터 사회전반적인 문제점을 토로한 것 같은데

    앞서 말한 '대한민국은 보수적이다'라는 주장을 뒷받침할려면
    정치와 사회가 빠질 수는 없기에 적절한 예시라고 봅니다.

    다만, 이 것에 대해 좀 더 전문적인 지식과 고급스런 단어가 쓰였다면
    겉보기를 중요시해서 읽는 사람에게 좋게 보였을지도 모르겠군요.

    모든 걸 떠나서 적절한 주장이었고 적절한 설명이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 나크 2008.12.12 19:12
    #L군
    개인적으로 게임은 게임일뿐 정치색이나 다른게 낄 자리는 없다고 봅니다.
    게임으로 대동단결 -0-

    하지만 왜 제가 옥의티라고 했냐면
    게임업계가 보수적으로 변화한건 정치적으로 따지자면 지난 10년인데
    왜 앞으로의 10년이 쭈욱 보수적이냐는 말입니다.
    지난 10년의 정권이 진보적이였다면
    이번 정권은 보수적인데
    그럼 지난 10년동안 게임업계가 보수적으로 흘렀다면
    앞으로 10년은 진보쪽으로 흘러야 말이 맞는거 아니겠습니까?

    정치가 보수적성향이라고 게임업계가 보수적이되고
    정치가 진보적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게임업계가 진보적이 된다는건 말이 안된다는거죠.

    그리고 정치적인 보수와 진보는 당파를 나누는 한 방법의 하나지
    극과 극의 모습을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흔히 보수적이라는 한나라당이 지난 10년 빼고 거의 우리나라의 정권을 쥐고 있었는데
    위의 글쓴이가 말하는 보수적성향이라면 우리나라가 이렇게 발전했을리가 없죠.

    오히려 글쓴이가 요즘 경제가 어려워서 게임업계의 분위기가 보수적으로 흘러간다라고 말을 했다면
    맞는 말이겠지만
    보수성향의 정당이 기득권을 가지고 있어서 게임업계도 같이 보수적으로 된다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는거죠.
    사회라는 부분은 맞지만 정치라는 부분은 틀렸다고 생각합니다.
  • 알아야될때 2008.12.13 09:56
    #나크
    명박께서 전두환 시절의 3S 정책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 하고있는지도 모르죠?

    음 그때는 인터넷이 없었는데 지금은 인터넷이 있으니 그 중에서 게임을 이용할 수도있겠네요

    이런것과 관련해서 올림픽 이후 계속 명박정부가 의심을 받아왔던건 사실입니다.
  • 나크 2008.12.13 12:28
    #알아야될때
    카퍼레이드 때문에 그러신가 보군요.
    그런식으로 비교를 하신다면 김대중, 노무현이 변화된 3S정책을 이미 쓴거죠.
    영화계가 발전하고 게임중독 되는 사람이 많고 부동산이나 주식으로 돈맛들이게하고
    별의별 희안한 성을 파는 가계들이 생기고
    이런 것들로 사람들이 정치에 눈멀게하고
    겉으로는 서민을 위한 정치라면
    속으로는 부자를 위한 정치를 한 사람들 아니겠어요?

    알아야할떄님하곤 저랑 생각이라던지 보는 관점이 많이 다른것 같아서
    둘이 술한잔하면서 얘기하면 재미있을꺼 같군요 ㅎㅎ

    그런데 위에 쓰신글이 제글의 의도랑은 조금 다른 뜻으로 쓰신것 같아요.
  • 알아야될때 2008.12.13 14:09
    #나크
    그런 것 같아서 댓글을 달 때 망설여졌어요 ^^ ㅎㅎ

    뭐 항상 그렇지만
  • ?
    컨트롤 2008.12.12 18:45
    예술은 배고픔.....

    솔직히 정치이야기는 잘모르겠고

    몇년 지나면 다시 패키지 게임이 시작 될걸요..

    아무리 불법으로 망했다고 하지만 다시 돌아오는 법

    패키지 게임 과 비디오 게임을 온라인으로 만드는것도 한계가 있는법

    그리고 개발자가 도전을 해도 따라주지 않는것

    바로 유저.

    패키지 게임의 망한원인도 유저고 새로운 도전을 좋아하지 않는것도 유저

    게임이 보수적으로 흐르는 이유도 유저
  • ?
    마루 2008.12.12 20:35
    역사를 돌이켜봐도

    도전한 사람은 많지만,
    성공한 사람은 극히 드믈조,

    빌게이츠만 윈도우를 만들려고했을까요?
    라이트 형제만 비행기를 만들려고 했을까요?
    에디슨만 전구를 만들려고 했을까요?
    노벨만 다이너마이트를 만들려고 했을까요?

    아닐겁니다,
    도전해서 성공한사람은 모든걸 얻지만
    실패한 낙오자는 이름조차 남기지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사람들은 성공을 꿈꾸지 실패를 꿈꾸지않습니다
    게임회사도 마찬가지입니다,

    단지 필요한건 실패를 해서라도 성공을 할만한 "용기"겠조
    단지 실패하면 "만용"이 될뿐,

    많은걸 갖고있는 사람은 잃는걸 더 두려워 하기마련이조
    빌게이츠도,에디슨도, 기타 다른 대부분의 사람들도
    실패해도 잃을게 그닥 없는 초라하게 시작했조
    그렇기때문에 도전할수있었던 것입니다

    그렇지만 게임은 초라하게 시작조차 못하는,,
    즉, 많이 가지고 있지않으면 도전조차 못하는 영역이조,

    위에 말했다 시피, 많이 가진자는 잃는것을 두려워하조


    글쓴분이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과연 게임회사의 관계자라면,

    이 현실에서 낭만을 말하며 도전을 할수있을지 참으로 궁금하네요
  • ?
    아살리아 2008.12.12 21:13
    도전하고 실패하는 자가 멋진데...

    도전하고 성공하는 자는 더 멋있는거고...

    단지 현실은...


    도전하고 실패하면 = 쓰레기

    도전하고 성공하면 = 승리자..


    다른나라도 당연하지만 울나라 자체가 보수적임...

    모험은 하지 않음...

    응..?
  • ?
    프린세스칸나 2008.12.13 02:43
    안타까운 패키지 시장... 정품 구입해서 쓰던 시절이...그립군...

    지금은...에휴...어디갔누...

    컴퓨터만 바꾸면 바로 콜옵5 구입 ㄱㄱ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86 나도한마디 불법복제 이야기 2 홈키파 01.24 2423
285 나도한마디 유저와 영자사이 3 08.06 2421
» 나도한마디 게임 개발이 너무 보수적으로 흐르고 있다 15 알아야될때 12.12 2420
283 나도한마디 솔직히 이미 답은 나온상황 아닌가요? 4 키싱구라이123 05.02 2419
282 나도한마디 몇년을 구설수에 오르는 오베족들 17 와인빛환상곡 01.07 2417
281 나도한마디 오픈베타 유료게임 그리고 시식코너?? 7 소년 12.09 2416
280 나도한마디 오리지날의 그림자의 가려 독한넘 10.10 2415
279 나도한마디 가상현실게임? 10 4 미노타우르스 03.11 2415
278 나도한마디 PC방 알바를 하면서 문득 느끼는 점. 16 쾌남 08.26 2413
277 나도한마디 게임하면 폐인이냐 ?? 12 Kanzi'Ahn 10.01 2409
276 나도한마디 선과악을 애써 구분하려 하지말아라 5 로허 02.08 2407
275 나도한마디 정통 MMORPG는 무엇입니까 ? 7 Kanzi'Ahn 01.31 2406
274 나도한마디 내가 생각하는 최고의 요금제 7 컨트롤 01.30 2403
273 나도한마디 게임과 연예인의 관계도, 18 1 마루 12.18 2403
272 나도한마디 이럴때 마음이 아프다, 9 마루 10.01 2402
271 나도한마디 여러분들은 게임에서 패배자에게 어떤 말 혹은 어떤 기분을 느끼십니까? 18 5 로지온 01.07 24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 239 Next
/ 239
많이 본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