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4283 추천 0 댓글 27

언젠가부터 그래픽은 실사와 분간하기 어려울정도로 좋아졌다 .
그럼에따라 여러가지형태의 그래픽이 나왔다 , 예를 들어 , 카툰랜더링이나 , 뭐 무슨무슨엔진 사용 , 많이 들어봤을것이다 .
하지만 , 대한민국게임업계에선 , 그래픽에만 너무 치중하는것이 아닌가 싶다 .
예를 들어볼까 ?
우리나라게임중 후속작 혹은 속편이 성공한 게임은 흔치않다 .  고작해야 리니지 정도 , 아니 리니지 만 일수도있다.
그런데 리니지를 집고넘어가보자 , 달라진점 , 있는가 ?
리니지1과 리니지2의 차이는 2d와 3d의 차이다 .
 결국 그래픽만 업글한셈이다 .
다른게임을 봐도 마찬가지다 . 무조건 그래픽만 치중한다 .
물론 사람의 첫인상을 외모에서 확인하듯 , 그래픽이 좋은 게임의 인상을 심기엔 안성맞춤이다 .
여기서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것은 이거다 .

왜 캐릭터 그래픽에만 그렇게 미친듯이 신경을 쓰냐 이거다 .

남자캐릭같은경우 고레벨이되면될수록 캐릭터는 건물화되어가고 , 여성캐릭터같은경우 이건 수준을 넘어서 창녀 수준이다 . 물론 저속한표현이지만 이것보다 맞는 비유가 있을까?

해외게임을 보도록할까 ?
필자가 보기에 최고의 그래픽은 와우이다 .
와우의 세계관을 표현하기에 너무 적절했고 , 출시된지 꽤 지난 이시기에도 와우는 최고의 그래픽으로 손꼽히고있다 .
캐릭은 물론 우리나라 게임처럼 꽃미남 꽃미녀가 아니다 . 인간종족만해도 , 큰머리에 짧은다리 , 못생긴 얼굴 , 거기에 트롤, 오크 언데드까지 , 하지만 그종족의 성격을 그래픽만으로도 충분히 알수있다 .
또한 배경 그래픽은 정말 장관이다 .
게임을 하는동안 이곳저곳 돌아다니면서 구경해도 눈이 즐거워질 정도이니 말이다 .

그리고 두번째로 좋은그래픽은 에버퀘스트2이다 .
정말 배경그래픽은실사인가 , 그래픽인가를 방불케한다 .

즉 말하고싶은것은 , 해외게임들은 대부분 게임의 성격을 나타내기위해 그래픽을 수단화한다 .
허나 우리나라게임들의 경우 어떠한가 , 간혹 이게임이 이게임이고 이게임이 이게임인것같은 느낌마저 들게한다.
여자캐릭터는 속옷만입고댕기고 , 남자캐릭터는 과도하게 껴입었다 .
이게 그래픽의 발전일까 ??

그래픽이 발전한걸 왜 올바르지못한곳에쓸까  싶다 .

--------------------------------------------------------------------------------------------------------------------------------------------

게임 그래픽순위(국내에서 서비스되는 mmorpg)

1 와우 ★★★★☆ (배경과 게임의 성향을 나타내는데는 성공 허나 다소 생소한 종족들의 그래픽으로 혐오감을 일으킨다 . )
2 리니지★★★☆☆(배경도 캐릭터의 그래픽도 다 상급, 허나 게임성을 나타내는데 성공한걸까? )
3데카론 ★★★☆☆(타격감 good 캐릭터의 비주얼 굿 , 허나고레벨이될수록 왜 캐릭이 건물화되는걸까?)
4뮤 ★★☆☆☆(매우긴 시간을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비까뻔쩍그래픽의 시초인 뮤 , 뮤도 마찬가지 , 캐릭이 건물이되가는건 한국형 mmorpg의 표본인가? )
5십이지천★★☆☆☆(십이지천의 빠르고 긴박한전투를 잘표현했다 . 허나 배경그래픽은 영 꽝이다 .)

-매우 주관적인 평가임-

Who's Kanzi'Ahn


내가 2년전 엄청난 사나이다 .

Comment '27'
  • ?
    Kanzi'Ahn 2008.10.11 23:10
    게임성을 올려라 , 그래픽올려서 애꿎은 컴퓨터만 바꾸게 하지말고 .. !!!!!
  • ?
    컨트롤 2008.10.11 23:27
    크라이시스 - 그래픽 최강 하지만 게임성 별로

    울티마 온라인 - 그래픽 2D 게임성 최강

    정답:게임성을 높여라
  • ?
    A.R.I.A 2008.10.11 23:27
    그래픽은 지금으로도 만족......................................비디오게임 댈라카나 ㅋㅋㅋ
  • ?
    choi8192woo 2008.10.11 23:43
    스샷보고 게임을 할지, 안할지를 결정하는 게이머들입니다.
    게다가 단순히 게임성만 가지고 성공하는 시대는 지난지 오래인거 같은대요.
    울티마의 경우엔 그것이 발매될 당시의 시대 상황에서 그래픽에 대한 반감은 그다지 ‘크게’ 있지는 않았을거고, 이제는 명성을 등에 엎어서 성공한 케이스죠.

    한마디로 게임성 하나만으론 뜨기 어렵죠. 연예인도 홍보없이 뜨기 힘듭니다.
  • ?
    오사카 2008.10.12 00:36
    점점더 그래픽만 좋아지면서 다른 RPG들과 다를바없는 양산형 게임으로돌변하고있는게 현실. 그럼에따라 사람들은 그래픽하나만으로 게임을 판단하기 시작. 2D게임은 버려 라는 인식이 틀어박힌 사람도 몇몇 생겨나고있음.
  • ?
    레도루 2008.10.12 13:15
    왜 그래픽만 빡새개 업글할생각 할까요..

    그래픽은 게임을 표현하는 수단이고 이것을 이용해서 특성을 잘살려야하는대

    그래픽 자체가 게임이 되어버리는 요즘게임 안타깝내요
  • ?
    로이악마 2008.10.12 15:24
    주변의 건들이 아무리 좋아도 그 속에 있는 것들이 나쁘고, 아무것도 없다고 한다면 누구 와서 그 곳에서 살라고 할까요? 게임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래픽 수준이 아무리 높아도 그것을 받쳐줄 내용과 게임성이 없으면 아무런 기대를 받지 못한 그저 그런 게임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게임을 하기 위해서 그래픽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 게임을 플레이 했을 때 전달 되는 재미가 아닐까요? 무작정 게임의 그래픽만을 올리기 보다는 안에 있는 내용물을 더욱 탄탄하게 만들어 놓으면 아무리 그래픽이 조금 안좋아도 하는 사람들을 있을 테니까 말이죠.

    그럼 여러분들은 어떤 것을 먼저 보고 게임을 결정하시닙니까?

    1. 그래픽
    2. 개릭터
    3. 주변 건물이나 배경
    4. 음악
    5. 게임의 스토리
    6. 기타
  • ?
    ℡№ 2008.10.12 15:51
    당신이 원하는 그래픽이 무엇이기에 게임의 그래픽을 비난하시오 ?
  • ?
    남궁수륜 2008.10.12 19:59
    와우를 으뜸으로 생각하시는 것도 하나의 선입견이 아닐까요?
    전 그렇게 생각합니다.

    보는 사람에 따라선 와우에서 보이는 기형의 종족들이 오히려 불쾌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개인적인 주관으로 국내 게임을 B급 그래픽으로 치부하는 건 별로 좋은 장면이 아니네요.
  • ?
    Eureka_seveN 2008.10.12 22:47
    이런 그래픽 경쟁이 싫어서 일단 3D게임이면 재끼고 보는 1人
  • ?
    피카츄 2008.10.12 22:57
    한국에선 팔등신 미녀, 미남이 인기가 많죠. 일본도 그렇고요.

    또한 유럽에서도 통하죠.

    그래서 캐릭터디자인도 그렇게 하는거고요.

    하지만 미국은 다르죠. 맨처음 리니지2 남자캐릭터 공개했을때 반응들이 "와, 게이잖아"..

    결국 캐릭터 디자인은 그 나라 성격에 맞게하는거죠.

    그리고 한국만 그런게 아니라 다른나라도 그래픽에만 투자를 많이합니다. 결국 한국게임업계만 그런게 아니란거죠.

    요즘은 비쥬얼만으로도 인기를 끄니깐요.

    그리고 에버퀘스트나 와우 처럼 대단히 좋은 한국게임도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한국에선 종료~ 외국에선 인기 짱!)
  • ?
    9timez 온프 대장 2008.10.12 23:17
    국내 게이머가 유독 예쁘고 이런 걸 좋아하니 개발사도 어쩔 수 없는 거 같애요.

    여성 캐릭터 예쁘다고 고집하는 분도 넘쳐나니 말 다했죠.
  • ?
    히무라켄신 2008.10.13 09:29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일단 보기 좋아야 먹을 맛이 나는 거지.
    먹어보고 나서 맛 없으면 뱉으면 그만이고.
  • ?
    워리 2008.10.13 11:09
    그래픽 수준이 너무 고사양으로 나와서 가뜩이나 무리한 게임의 상황을 더 안좋게 하는 경우가 많았죠.
    헉슬리..아바..
    아마 아이온도 그러한 문제점을 가지게 될것입니다.

    화려한 그래픽은 좋지만 사람들 컴퓨터의 평균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컴터 싸졌다 싸졌다 하지만 실제 현실과는 상관없는 이야기입니다.

    꼭 그래픽이 좋아야 할까요. wow만 해도 픽셀셰이더 지원하는 그래픽카드가 필요없었죠.
    상관없는 외모 이야기도 나왔는데, 저런 캐릭터가 주류가 되었다곤 하나 여전히 많은 여지는 남아있습니다.
    커스터마이징이 더욱 광범위하게 지원되었으면 좋겠는데 말이지요.
  • ?
    불타는아새끼 2008.10.13 17:52
    난 그래픽보단 게임성 혹은 빠져드는 요소를 먼저 보지요

    절때 우리집 컴터가 꼬라서 그러는거 아닙니다 ㅠㅠㅠㅠㅠㅠ
  • ?
    마루 2008.10.13 22:08
    그래픽보다는 게임성이라 생각합니다,

    아주좋은예가 던파조,

    던파 그래픽이 제가알기로는 2D로 알고있습니다,
    그렇지만 현재 던파가 실패했다 말하는분은 아마별로 없을것입니다,

    허접한 운영과
    툭하면 터지는 버그와
    심심하면 당하는 해킹

    그럼에도 던파는 성공했습니다,

    그건 게임성이 좋다고밖에 말할수없을듯 하군요,

    물론 저는 던파의 상술도 한몫한다고 생각하는중
  • ?
    워리 2008.10.14 00:18
    물론 게임은 게임성이 최우선입니다. 그리고 현재 수위권의 게임들은 대부분 저사양이죠.
    대중적인 게임, 특히 국민게임이 되기 위해서는 저사양이 오히려 필수입니다.
  • ?
    로이악마 2008.10.14 00:33
    저사항이라기 보다는 쉽게 만들 수 있는 저사항으로 만든 게임일 수록 많은 부분을 집어 넣을 수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닐까요?
  • ?
    프린세스칸나 2008.10.14 08:54
    그래픽 이쁜거 멋진거 좋아하는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저또한 케릭터 이쁘고 멋진거 좋아합니다.

    그리고 그래픽 발전이라기보다는 디자인 표현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그래픽으로 게임성을 표현한다기 보다는 게임 자체 표현으로 게임성을 나타내어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종족표현이 아마 가장 두드러지게 이야기 하신거 같네요. 머 게임이용자가 대부분이 남자

    인걸 가만하면 여자가 중무장 해서 나가는 것또한 좋지만 이왕이면 섹쉬하게 혹은 귀엽게

    멋드러지게 표현하면 더 끌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게임성 = 게임 그래픽 = 표현능력 이3가지가 같이 가야지 서로 따로 놀아서는 안된다는 것이지요.


    와우 는 저 1시간 플레이하고 조심스레 지웠습니다. 게임성 좋다고하는데 저한테는 안맞더군요.

    조작법도 까다롭고 fps게임은 참 좋아라 하는데 말이죠.


    머 결론적으로 각각 개인취향이니 머라고 딱히 말하기가 머하죠. 그래픽은 좋은데 게임성이

    머같다 안하면 되죠. 만든건 타인이지 우리 자신이 아니니까요.


    게임성 과 그래픽 조작법등을 서로 비교할려면 게임이 만들어진 시기 혹은 서비스 된 시기가

    비슷하게라도 맞아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뮤가 서비스 된시기랑 와우 서비스 된 시기랑 리니지2 서비스 된시기랑 좀 안맞지 않습니까;;?

    뮤서비스가 2001년도 기억으로 알고있는데; 리니지는 흠 2003년도 겠군요.

    와우는 04년도 쯤인가? 로 기억하네요 ㅎㅎ
  • ?
    앙마 2008.10.14 19:04
    게임성도 분명 좋아야 하지만 그래픽도 좋아야 댄다고 봅니다. 각 게임사에서도 많은 생각끝에 만들어 내는 것일텐데..
    어짜피 변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나는 우리나라 케릭터 선호...-_-....
  • ?
    사이드이펙트 2008.10.14 20:53
    여캐가 벗는것은 진리요 생명이니 벗지아니 하고서는 수많은 오덕 군자들에게 있어 게임이라 칭할수 없더라.
  • ?
    피스 2008.10.15 00:33
    사람마다 틀리지...

    나 같은 경우에도 게임성보다는 그래픽이나 디자인을 우선시 하는데...

    하지만 게임성이 막장이라면 오래 지나지않아 그만두게되고...


    그래도 난 아무리 게임성이 좋더라도 퀄리티가 후지면 안함..

    결론은 게임성이나 그래픽 둘다 중요하다는것...


    그런데 그런걸 만드는게 쉽진않겠지?
  • ?
    토끼와호랑이 2008.10.17 11:57
    일부러 게임성 낮추는게 아닐텐데;;..능력이 안되는걸..
  • ?
    울타리 2008.10.17 21:18
    쉐이더 백만번 떡칠하는 것 보다 좋은 게임성이 백만배 낫다.
  • ?
    ★헬파이어★ 2008.10.18 23:39
    필자께선 그래픽을 비판하는것보단 게임성을 비판하는 편이 맞는 듯 싶습니다.
    자칫 제목만 보면 그래픽만을 비판하는 것같네요.
    예를 들어 그래픽에 비해 떨어지는 게임성 이런 표제 어떤 가요? ㅎㅎ
  • ?
    JM처리 2008.10.21 22:31
    와 공감공감. 우리나라 요즘 게임 그래픽 거의 거기서 거기..
  • ?
    에크미 2008.11.06 01:24
    사양은 날로 높아만 가지만,

    게임성은 날로 내려만 가네요.

    저만 그리 생각하는 건지는 몰라도,

    최적화 라는걸 생각하기 보다는,

    선 하나라도 더 그려서 그래픽만 높이려고 하는거 같네요.

    조잡한 3d보단 완벽한 2d가 낫듯이,

    조잡한 그래픽보단 완벽한 게임성이 훨신 좋은거 같네요.

    저는 게임의 재미의 반이상이 게임성에서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게임성이 좋아야 그만큼 게임을 오래할것이고,

    집중을 오래 할 것이기 때문이지요,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90 나도한마디 어찌보면 게임사도 피해자 7 불량회원돌려막기 04.01 4289
1389 칼럼 게임을 빌미로 남과 자신을 해치지 마라 ! 21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05.25 4289
1388 나도한마디 [유운의 게임레포트] 이벤트, 그후엔? 10 1 流雲 01.28 4288
1387 나도한마디 쉽게 놔주지 않는 회원탈퇴... 6 키세츠 11.14 4286
1386 나도한마디 [유운의 게임레포트] 악마의 유혹, '육성' 5 流雲 02.28 4285
1385 나도한마디 가상현실게임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죠 ? 19 4 푸크킹 12.11 4284
» 나도한마디 좋은 그래픽이 이딴건가 ?? 27 Kanzi'Ahn 10.11 4283
1383 나도한마디 무차별적인 캐쉬가격보다 더 기분나쁜 것 5 천재2 03.14 4281
1382 칼럼 게임은 어느 정도의 책임을 져야 한다. 16 10 최누 01.19 4276
1381 기획&분석 캐릭터에겐 특성이 있고 몹에겐 왜 없냐? 6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2.15 4274
1380 나도한마디 그 게임 재밋어? 2 알아야될때 06.09 4271
1379 나도한마디 크로니클스. 앞서나갔던. 고객만족시스템. 11 사이드이펙트 08.03 4271
1378 나도한마디 공군ACE 이게 최선입니까? 5 아영 02.01 4270
1377 나도한마디 이것 하나만 바꿔도 새로운 게임이 가능 하다. 23 1 피빛물든천사 11.24 4270
1376 나도한마디 전쟁게임, 밸런스 논란의 중심에 서다. 3 우유맛푸딩 02.29 4268
1375 나도한마디 현재 게임은 산업혁명 수준? 7 3 마루Lore 12.14 42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239 Next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