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많은 게이머들은 다들 한 결 같이 말한다.

우리나라는 창의성이 부족하다. 게임을 만들면 거기서 거기다. 외국 게임을 본받아라. 콘솔 게임을 본받아라 등등. 상당히 많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 부정적인 마인드의 생각을 자기고 있다. 나는 이러한 질문에 이러한 답변을 말하고 싶다.

글쎄? 당신은 우리나라 게임들에 대해 잘 아는가?

난 우리나라 게임의 완성도에 대해서 만족감을 느끼는 편이다. 아직 부족한 점은 많으나 과거에 비하면 많은 발전을 이루어 내었고, 현재도 우리나라 게임은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 유저들은 그렇지 생각하지 않는 모양이다. 흔히 댓글에서 많이들 볼 수 있다. 리니지에 너무 물들었다고. 너무나 노가다 위주의 게임이 많이 나온다고. 그리고 똑같은 게임들이 너무 판을 친다고.

근데 웃긴 건 현재 노가다 식으로 나오는 게임들은 우리나라 게임이 아니라 모두 중국산 게임이라는 것이다. 알고 보면 우리나라 게임 대부분은 이런 노가다 방식에서 탈피한지 오래다.

2.jpg

(우리나라 게임은 오래전부터 참신하고 완성도 높은 게임들이 많이 나왔다)

물론 어떠한 게임이 히트를 치면 그와 비슷한 게임이 나오는 것이 우리나라 특징이기도 하다. 이것은 중국 게임도 마찬가지인데 우리나라는 충분히 창의성이 돋보이는 게임들이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처음 메이플이나 던전 앤 파이터가 등장했던 것과 이어서 마비노기, 마비노기 영웅전, 테라, 블러드 앤 소울 등등. 알고 보면 콘솔 게임에서 등장할 만한 시스템이 적용된 게임이며 더 나아가 이러한 시스템이 온라인 게임에 적용 됐다는 것은 알고 보면 상당히 대단한 것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산 게임들은 우리나라와 다르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중국산 게임은 완미세계를 제외하면 모두 비슷비슷한 게임으로 극도의 노가다를 가진 게임이라고 보면 된다고 생각한다.

그 예를 들 수 있는 게임들로 황제 온라인, 군웅 온라인, 징기스칸 온라인 등등. 상당히 많은 게임들이 국내로 퍼블리싱 되고 있으나 정작 서로 다른 특징을 못 찾는다.

더 나아가 웹 게임을 보면 이것은 가관이다. 정말로 이미지 자체만 다른, 게임 안을 보면 다른 것이 하나도 없는 게임들 투성이다. 그리고 이 게임들이 수많이 국내로 유입되고 있다. , 여러분이 똑같다라고 즐기는 게임은 대부분 중국산 게임이다.

3.jpg

K3 온라인

4.jpg

삼분천하. K3 온라인과 다른점은?

하지만 인식은 바뀌지 않고, 오히려 아직까지도 우리나라 게임은 그 한계에서 못 벗어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왜일까? 그것은 간단하다. 우리나라 게임은 창의성이 돋보이는 게임들이 참 많으나 운영 면에서 이 게임성을 모두 망친다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앞서 이 게임을 살려달라고 글을 올렸던 서바이벌 프로젝트. 이 게임은 과거 대회도 열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던 게임이고 대전 게임으로 갖춘 컨텐츠는 다 갖춘 게임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큰 인기를 가졌던 탓에 오만해진 것인지 밸런스를 파괴하는 캐쉬를 도입하였고, 현재는 거의 망해가는 추세라고 보면 된다.

또한 서프만 아니더라도 마비노기와 마비노기 영웅전을 예로 들 수 있는데 마비노기와 마비노기 영웅전은 게임을 즐겨본 유저들은 국내 게임들 중에서 참신하다고 꼽는 게임들 중 하나이며, 해외에서 쉽게 보지 못한 게임이라고 흔히 칭찬한다.

하지만? 지금은 두 게임 모두 잘못된 운영으로 하향세를 지속적으로 타는 중이다. 정말 게임성만 따지면 최고의 게임들 중 하나인데 말이다.

5.jpg

(과거 TV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도 하고, 대회도 열었을 정도였는데

현재는 잘못된 운영으로 지속적인 하향세를 타고 있다)

또한 과거에 이슬로 사라진 택티컬 커맨더스, 샤이닝 로어, 헉슬리, 타뷸라라사도 마찬가지다. 모두 대작 게임이 가능했던 게임들인데 잘못된 운영과 판단으로 국내에서는 즐기지 못하는 게임이 되어버렸다.

그렇다고 이 게임들이 흔히 말하는 양산형 게임이냐? 아니다. 참신하다고 했으면 참신했지, 절대 양산형 게임이라고 볼 수 없는 게임들이었다.

이러한 게임들이 결국 게임사로 인에서 문을 닫는 것이다. 흔히 말하는 돈 때문에.

분명히 게임을 만든 이상 수익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어떠한 게임도 마찬가지이며 모든 회사가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운영이 좋은 게임은 그 어떠한 게임보다 수익이 좋다는 것이다.

그 예로 메이플 스토리를 들어보겠다. 이 게임은 깔끔하지만 아기자기한 캐릭터 때문에 성인들은 초딩 게임이라면서 무시한다. 하지만 메이플 스토리는 동시 접속자 수나 수익 면에서나 모든 게임 중에서 순위권에 들어간다.

또한 내가 넥슨 게임에서 그나마 운영이 잘 돌아가는 게임으로 이 메이플 스토리를 꼽는다. 왜냐? 돈을 밝히는 게임이나 이벤트도 적절히 하면서 꾸준히 발전을 해오기 때문이다. 때문에 유저들은 이 게임에 돈을 투자하는 것이다.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게임이니까.

6.jpg

(메이플도 알고 보면 상당히 참신한 게임이다)

그만큼 운영이 중요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서비스 좋게 해달라고 하는 말은 빈말이 아니다. 자신을 위하는 것도 있지만 결국 그 게임을 위한 충고이기도 하다.

그럼 게임 회사에서는 제대로 된 운영을 하기 싫어서 하지 않는 것일까? 아니다. 이것은 지나가던 중학생에게 물어봐도 아니라고 말할 질문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제대로 된 운영을 하지 못 한다

왜일까? 그들의 말로는 인력이 부족하다고 한다. 게임은 나 혼자서 즐기는 것이 아니라 여럿이서 즐기는 것인데 그 인원이 질문을 하면 그 질문에 답변을 해줄 인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말은 맞는 말이기도 하다. 직원들 모두가 고객 센터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도 하는 일이 있고, 전담 분야가 있기 때문에 일손이 모자를 수도 있다. 하지만 일손이 모자른다 하여도 결코 잘못된 운영으로 진행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

7.jpg

(이제 참신한 게임들을 그만 날려버릴 때가 되지 않았나?)

사람이 부족하면 부족한 만큼 힘을 내면 된다. 하지만 왜 그 부족한 인원에서 수익을 얻기 위해 캐쉬에 열연할까? 고객에 대한 서비스만 제대로 보여줘도 유저들은 그 게임에 투자를 할 텐데 말이다.

또한 이렇게 잘못된 길로 가는 게임들은 한 두가지가 아니나 현재는 이 부분에서 던전 앤 파이터를 들 수 있다. 현재 던파는 정말로 하향세를 타는 중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횡스크롤 게임의 절대자는 던전 앤 파이터일 것 같았고, 이것은 변함이 없으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많던 인원이 빠져나갔고, 지속적으로 빠져나가는 중이다.

말 그대로 잘못된 운영과 판단으로 그 많던 유저들을 잃은 것이다. 더군다나 서버 경제조차 망가트려 게임 아이템의 시세도 엉망이 된 오래디. 말 그대로 지금 현재 던파는 지옥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온라인 시장의 문제는 게임이 아니라 바로 게임사라는 것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게임을 서비스하는 사람들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개발자는 분명히 참신하고 게임 자체를 완성도 있게 만드니까.

어쨌든 간에 현재 아무리 게임을 완성도 있게 만들어도 그 게임을 뒷받침은 물론이고 퍼블리싱 하는 회사에서 운영을 할 줄 모르니 그것이 심각한 문제라는 것이다.

8.jpg

Comment '28'
  • ?
    모뗀아이 2011.11.06 03:12

    근데 웃긴 건 현재 노가다 식으로 나오는 게임들은 우리나라 게임이 아니라 모두 중국산 게임이라는 것이다.

    => 여기서 태클... 중국게임들 중에서도 노가다 게임이 아닌게 많고(국내 수입이 안된게임들중)

    울 나라 게임들중 랩업노가다, 장비노가다 게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근데 노가다의 기준이 사람마다 제각각 틀ㄹㅕ서 말이죠... 온라인 게임 게시판을 보면 노가다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보입니다;;; 

  • 굶주린세월 2011.11.06 21:24
    #모뗀아이

    중국 게임들에서도 게임성 좋은 게임도 있겠죠.

    근데 문제는 우리가 즐기는 게임들은 온통 그게임에서 그게임이란 것이지요.

    수익을 창출해야 하기 때문에 적은 돈으로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게임들만 유입하니 문제라고 생각하빈다.

  • ?
    금강야차 2011.11.06 03:46

    노가다의 기준이 사람들 마다 다른데 어차피 레벨을 올린다는 것부터  어떻게든 노가다라는 말이 나오는데 사실상 노가다 아닌게임이 없고 중국겜은 특성이 퀘스트 노가다라 불릴정도로 방대한양의 퀘스트 우리나라는 초기에는 닥사 지금은 하이브리드 어차피 만랩 근처가면 컨텐츠 소모 줄일라고 하드하게 만들어두고 머 그런거져 다 아는데 머

  • 굶주린세월 2011.11.06 21:25
    #금강야차

    노가다도 노가다지만 그 게임이 그 게임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중국에도 분명히 게임성 좋은 게임들이 있는데 이러한 게임들은 안들어오고

    양산형 게임들만 들어오니까요. 그리고 이 게임들 특성이 엄청난 캐쉬를 요구하는 것이구요

    뭐 국내 게임이라고 다를건 없긴 하지만 현재 발전된 우리나라 게임과 비교하면 아직까지

    부족한점이 많다고 생각되네요

  • 금강야차 2011.11.07 13:58
    #굶주린세월

    노가다의 기준에 따른 관점 차이 라고 생각합니다 시스템 적으로 차있는건 저는 중국겜에 더 점수를 주고 싶네요 다만 비슷한 겜을 만들면 중국겜들은 다 그게그거 같은데 그나마 우리나 게임은 뭐라도 하나 다른 느낌이 드는게 차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래도 아직 아키에이지등 우리나라 게임산업은 아직도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남들이 어떻게 평가하던 괜찮은 게임들이 매년 하나 씩은 나와주는것 같아요

  • ?
    라드 2011.11.06 08:33

    극히 주관적인 글을 아주 객관적인양써재낀글,

  • 라드의부모 2011.11.06 18:01
    #라드

    방구끼네 똥개시끼가

  • 굶주린세월 2011.11.06 21:26
    #라드

    극히 주관적인 글 맞습니다.

    제 의견을 적은 글이니까요. 수고하세요

  • ?
    로또감자 2011.11.06 11:20

    게임은 재밌는게 많은대 역시 운영이 존망.

    특히 경제, 밸런스, 버그 이 세가지 처리못하는 게임이 수두룩함.

     

  • 굶주린세월 2011.11.06 21:26
    #로또감자

    문제지요 ㅎㅎ 경제나 밸런스는 캐쉬로 해결하려고하고 버그는...

    언젠가해주겟죠머 ㅎㅎ

  • ?
    카록 2011.11.06 18:06

    저는 우리나라 게임이 당연 참신하다고 생각 합니다만

    그래도 창의성은 부족하지 않나 생각이 됩니다

     

  • 굶주린세월 2011.11.06 21:28
    #카록

    창의성은 날로만 발전해간다고 생각하네요.

    보통 요즘 온라인 게임들이 나오면 무언가 특별난 것들을 가지고 나오니까요.

    물론 모든 게임이 그런것은 아니나 과거에 비하면 상당히 발전을 이루었지요

    예를 들면 테라 같은 게임들이요. 하지만 아직까지 부족한 것은 사실.

  • 카록 2011.11.06 22:40
    #굶주린세월

    그거야 뭐 날이 갈수록 발전이 되야지 그렇지 않으면 안되겠죠

    지금의 온라인게임의 시스템들이 창의성이 있다기 보다는 오히려

    기존의 컨텐츠를 좀더 변화 시킨것이 대부분 이죠 이런건 창의성이라고 볼수 없습니다

     

  • ?
    초우 2011.11.06 20:11

    한국게임은 글쓴분이 말씀하신대로 확실히 참신한 것들이 많습니다. 그것은 인정해야될 점이지요.

    그러나 유저들이 흔히 '우리나라게임은 독창성이 없다'라고 지적하는 이유는
    흥행한 게임 이후엔 같은 포멧을 수없이 양산하는 우리 국산 게임문화를 말하고 싶은것 같습니다.

    제2의 메이플, 제2의 서든, 제2의 와우

    ............ 끙

  • 굶주린세월 2011.11.06 21:30
    #초우

    뭐 이건 어쩔 수 없지요 ㅎㅎ 흥행하는 게임을 따라가면 덩달아 흥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하지만 독창성이 없다고 보지는 않아요 저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독창성만 보자면 외국게임에 부족한것은

    사실이나 꾸준히 발전을 이루고 있으니까요. 그리고 요즘 게임들보면 비슷한 형태의 게임인 것 뿐이지

    각자 차별화를 두려고 새로운 시스템 하나씩 들고나오는 것 같다는 생각이드네요.

    예를 들면 테라요. 이후에는...흠흠;;^^

  • ?
    카록 2011.11.06 22:53

    창의성에 관해서 역시 일본을 빼먹을수가 없겠네요

    일본이 한국보다 창의성이 무조건 낫다라고 단정 지을순 없지만

    그래도 굳이 따진다면 일본이 한국보다는 창의력에서는 한수위가 아닐까 생각 됩니다

    온라인게임과 상관없이 일본은 콘솔게임 그리고 게임은 아니지만 에니메이션이

    한국보다 더 발전되어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에니메이션으로 예를 들어본다면 아마 80년대 중후반 에서 90년대 초중반 사이에

    태어나신분들은 어릴적 누구나 즐겨봤던 로봇트만화 용자물 시리즈 다간 선가드 가오가이거

    이런 만화를 보면 아시겠지만 자동차 혹은 전투기 이런것들이 로봇으로 변신하고 서로 합체를 해서

    적을 물리칩니다...

    근데..어릴적에는 그저 단순히 재미로 본 만화였지만 그런 만화 만든 작가분들 엄청 대단한겁니다

    뿐만 아니라 일본 에니메이션을 보게 되면 정말 작가들이 아이디어가 정말 대단하다 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더군요 ..

    추가로 데스노트 같은경우 노트의 이름을 적어서 범죄자를 심장마비로 죽인다...

    이건 정말이지 그 어느 누가 이런 아이디어를 생각해 보기라도 했을까요?

    일본의 대표적인 격투게임중 하나인 철권 킹오브파이터 시리즈도 마찬가지 입니다

    전 흔히 킹오브를 즐겨해서 킹오브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킹오브의 등장하는 각 캐릭터들의 멋진 기술같은경우도 정말이지 이런 기술을 하나하나

    다 생각해가면서 만들었다는것 자체부터가 대단하다 라는 찬사가 나오지 않을레야 안나올수가 없죠

    라이징오라는 만화가 있는데..적이 나타나면 학교가 어떤 본부로 변하면서 메카물들이 나와서

    적을 물리치는 그런 만화가 있습니다.

    정말이지 이런것이 진정한 창의력이라고 볼수 있는것이지

    한국은 일본에 비하면 창의력도 아니죠 ;;

    패션 이라는것도 개인의 창의성이 필요하다는것처럼 괜히 니뽄스타일 이라는것이 나온게 아닙니다

     

     

     

     

     

  • 청색여공 2011.11.23 20:32
    #카록
    흠 하지만 창의성이라는 것에대해 누가누가 잘하나? 이건 좀 어려울것 같습니다.
  • 지나가던사람 2011.11.24 00:14
    #카록

    일본에비해 한국이 아니다..

     

    그건 우리나라에서 그런부분을 죽이기 때문이죠..

     

    아니라고 할순없는거같아요..

     

    우리나라 만화사업도 정부에서 망치고 게임업계도 망치려고드니까..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학생들에겐 그냥 공부만시키죠..

     

    뭐 도움이야되겠지만 그렇게까지 필요할까..

  • 오킬레스 2011.11.24 19:31
    #지나가던사람

    만화산업은 IMF 때문에 망한겁니다만.

     

    IMF전에는 우리나라 만화산업도 활발했습니다

  • ?
    독청독성 2011.11.23 19:03

    테라는 진짜 그래픽이 너무 아까울정도로 운영이 형편없음....

    아이온이 저 그래픽이면 진짜..ㅋㅋ

  • ?
    청색여공 2011.11.23 20:28
    전 롤하다가 에덴이터널 어떤분이 리뷰해주신거 보고 했다가 급실망 아기자기한 와우랑 다를바가없었기 때문 몹 지정하고 경직 무시하며 숫자만 머리위로 뜨는게 와우였고 그것이 정말 싫었다는 마비노기나 라그 메이플 특이한 전투 시스템 가진것 많죠
  • ?
    2011.11.23 21:30

    게임은 참신하다! 유저들이 참신하지 못할 뿐..

  • ?
    유학생1호 2011.11.24 00:04

    분명 한국 게임은 참신합니다. 근데 문제는 현재에는 참신한 게임보다 이전의 것을 조금만 손대고

    혹은 다른 잘 된 게임을 따온 양산형이 더 많거나 단기간의 캐시 수익만을 위한 조립식 게임이 많습니다.

    그리고 그런 게임들을 질타 할때 어떤 게임 어던 게임 조목 조목 따지는게 아니라 게임계 자체를 비판하는건

    한국인과 중국인을 놔두고 서로가 나라를 비판하는 거랑 비슷하다고 봅니다.

    게다가 게임의 참신함이 초기 개발에서만 나오고 운영에 반영되지 않는다면 그것 또한 게임이 참신하지 않은

    것입니다. 위에 글에 한국 게임계는 현재 진행형이라도 하셨는데, 맞는 말이면서 틀린 말이라 여깁니다.

    디2 나올대 디2의 아류작들 우수수, 던파후 던파 아류작 우수수, 메플후 메플 아류작 우수수 나왔죠?

    결국 참신함보다 안정적인 아류작을 택하고 그것이 비참신한 운영과 비참신한 업데이트와 맞물려

    한국 게임들이 참신하지 못하다가 욕을 먹는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한국게임사중에서 무한도전처럼 실패를 하지만 도전하는 게임사가 있다면, 그리고 그 회사가

    게임의 컨텐츠 소비속도랑 업데이트에만 목을 매는 것이 아닌 자신의 게임에 다른 게임에 없는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유저에게 물어보고 시험하고 많은 수익이 아닌 적절한 수익을 챙기며

    유저를 위해 참신함을 유지하려 했다면 지금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인기 게임이 되었겠지요.

    참신하게 개발되어 나오는 초기의 프로토타입도 중요하지만 그 참신함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 또한

    중요하기에 전자뿐만 아니라 후자도 관리 되지 않는 다면 그 게임을 결국 참신한 게임이 아니라 여깁니다.

    태어날때 영재라도 그 재능을 묵히고 노력하지 않는 다면 그 결과는 평범한 사람인 것 처럼 말이죠.

  • ?
    sss 2011.11.24 02:03

    그렇다 지금은 사라진 택티컬, 샤이닝 로어, 다크세이버등 굉장히 참신한 게임있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유저를 끌었다고 생각되는 순간

    게임회사들이 운영을 개판 오분전처럼 하고 무리하게 캐쉬템을 쏟아내고

    유저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게임은 떠나기 마련......

    마비노기 같은 경우는 서버점검을 며칠 씩이나 하고 피씨방 접속 안되기 시작하면 하루는 기본이고,

    던파 같은 경우는 믿음약속으로 무리하게 캐쉬템을 걷어드리고 지금은 대충 묻어가는식

    등 굉장히 많다. 잡다한 렉이나 버그, 오류는 잡을 생각을 하지 않고

    지금 이 시간에도 그들은 어떤 유료템을 내놓아서 유저들의 돈만 뺏을 생각만 하고 있을것이다.

    물은 그들도 이익집단이기 때문에 이익을 추구하는 것 맞지만 도를 지나친거 같다.

  • ?
    2011.11.24 14:45

    아오 덕분에 글 쓰러감

  • ?
    천재2 2011.11.24 17:58

    가장중요하건 참신한게임만들어도 우리나란안함

    리니지식노가다강화겜이 최고여

  • ?
    호옹이 2011.11.25 11:58

     다른건 모르겠고 샤이닝로어는 잘 나가다가  NC에서 인수한 후에 서비스를 종료해버리는 경쟁자 제거 전략으로 사라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타뷸라 라사는  NC에서 3년간 1000억을 들여 개발했는데 리차드게리엇 이라는 네임밸류에 맞지 않는 실망스런 결과를 낳고 말았죠. 글은 잘 봤습니다. 하지만 참신성 하나로 게임을 평가하는 것보다는 좀 더 다양한 시각에서 자세하게 글을 쓰셨으면 좀더 설득력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 ?
    히응이응 2011.12.12 15:41

    잘보고 동감하고갑니다,

    대한민국 게임은 아무래도 참신한면은 참 많아요 컨텐츠도 RPG에대한 최대효과를 끌여올리는

    시도안된것들도 많이나오고 그랬죠.

     

    단지 유저들의 입맛이 까다로워지고, 여러회사들이 밴치마킹을하여 여러게임들이 동시진행되다보니

    참신함을 잊어버린것 뿐입니다.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x / 댓글 작성: 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07 [나도 한마디] 나는 고객이다. 굶주린세월 11.04 8491
» [나도 한마디] 우리나라 게임들은 충분히 참신하다! 28 굶주린세월 11.04 10170
705 [일본 온라인게임 여행기 13탄]불멸과 유그드라실과 비슷한 시스템의 매직월드 비긴즈 온라인 6 雪風 11.04 8611
704 [일본 온라인게임 여행기 14탄]페키지 게임의 추억을 느끼게 해준 엔젤릭 크레스트 온라인 12 雪風 11.04 9967
703 [나도 한마디] 기업 이미지는 게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굶주린세월 11.04 3994
702 [나도 한마디] 국내에 유입되고 있는 중국산 게임들. 무엇이 문제인가? 4 굶주린세월 11.04 4044
701 [AIKA] 오직 전쟁에 집중 투자한 게임이 나타났다. 8 굶주린세월 11.05 11764
700 [화이트 데이] 학교라는 이름의 미궁……. 6 굶주린세월 11.05 14862
699 [나도 한마디] 게임에서 레벨 제한은 필요 없다? 글쎄? 3 굶주린세월 11.05 5033
698 [C9] 사람을 매료시키는 액션의 미학! 19 굶주린세월 11.07 12169
697 원더걸스 Wonder World 마르시아 11.07 2681
696 기발한 3D 광고 마르시아 11.07 2758
695 라면 마르시아 11.07 3018
694 [메이플 스토리] 메이플 스토리 유저의 평가! 그 점수는? 4 굶주린세월 11.07 12083
693 [테일즈 위버] 테일즈 위버 유저의 평가! 그 점수는? 18 굶주린세월 11.09 12685
692 [마비노기 영웅전] 물리 엔진의 모범적인 답안지 게임 마영전! 그 평가는? 25 굶주린세월 11.10 16023
691 식품 기업들과 게임 기업들과의 공통점 및 문제점 굶주린세월 11.10 4180
690 [불멸 온라인] 전설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그리고 지금 이곳에서 시작한다! 6 굶주린세월 11.12 10197
689 [나도 한마디] 과대광고, 그것은 게임에도 존재한다. 굶주린세월 11.13 8129
688 엘더스크롤4 예전 스크린샷 고성능 11.15 54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42 Next
/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