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jpg

1.jpg 

언제부터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초등학교 시절, 문방구에서 게임CD를 저렴하게 판매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CD가 불법복제된 CD라는걸 아는데는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불법복제된 게임CD들은 많은수가 학생들에게 퍼져나갔고
게임회사들은 불법복제를 막기위해 여러가지 기능들을 넣었지만
해커들은 그걸 다 뚫어서 또 불법복제 CD를 만들어 나갔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이 급격히 발전해 나가며 불법복제는 CD가 아닌 인터넷으로
범위를 넓혔습니다.



2.jpg
3.jpg
4.jpg
5.jpg
6.jpg 


인터넷을 하면 쉽게 영화나 음악, 게임등을 공짜로 다운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로 인하여 현재 우리는 많은 것을 잃었습니다.
특히 가요계와 게임계에서 많은 것을 잃었습니다.


요즘 가요계를 보고 진정한 음악은 없다. 가수가 노래나 할 것이지 무슨 예능이냐.
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과연 가수들과 기획사만에 문제일까요?
음반만으로는 그들이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음반을 내는 족족 사는 사람은 얼마없고 다들 불법 다운로드를 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미래에는 현재 나오는 음반CD들도 없어질 것이다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게임계에 대해서는 다들 잘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되어지고 있는 패키지 게임이라곤 거의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불법 다운에 의하여 국내시장은 패키지게임의 무덤이라고 불리기 때문입니다.

언제부턴가 돈내고 패키지 게임을 하는 사람은 바보가 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언제부턴가 그러한 마인드가 온라인게임에도 영향을 주기 시작하였습니다.

정액제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것은 물론
부분유료화게임에 캐쉬템에 대해서 노골적으로 삿대질을 하는 사람들이 생겨났습니다.

물론 과금이 너무 비싸면 그럴수도 있겠지만
누가봐도 적정수준인 게임들조차 캐쉬 안지르면 못하는 게임이라고 욕하며
캐쉬 안지르고 공짜로 할 수 있는 게임 없냐고 묻는 사람들도 생겨났습니다.




불법복제와 불법다운이 우리에게 끼친 영향.

가볍게 보일수도 있지만 결국 언젠가는 자신에게도 피해가 돌아올 것입니다.


온라이프_유운.jpg

Comment '14'
  • ?
    소망 2010.11.01 03:53
    정말 캐공감 글.. ;ㅁ;
    우선 저는 돈없으면 해당 게임 안합니다.. 동영상 올라온거나 보고 있지...;;(나루티밋스톰2 ㅠㅠ)
    쨌든, 제가 한번은 다른 사이트에 불법다운로드 관련 글을 올렸는데 오히려 욕은 제가 먹더군요..
    '돈 많아서 좋겠네..' '그걸 돈주고 사냐?' 등등..
    불법다운로드를 정당화 시키려고 하는 무리들이 참 눈에 선하더군요..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일지도 모르겠지만 온라인게임은 정액제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한달비용만 내면 게임콘텐츠의 모든걸 자유롭게 이용가능한데.. 왜 굳이 제한을 두게 하려는건지..

    부분유료화는 언제부터인가 '어디까지가 적당한가?' 라는 개념이 사라진지 오래죠..
    대부분 돈 안내고 캐시는 선택제이기 때문에 혹은 게임머니로 구입한다던지 등의 이유로 부분유료화를 선호 하는것 같습니다만...

    부분유료화가 정액제보다 이익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결국 돈쓰는 사람은 유료템 하나 나올때마다 불만만 많아질뿐이고.. 여튼 그렇더군요..
    또 이 댓글에 '게임머니로 사면 되지 ㅉㅉ' 라는 글 나올까봐 걱정되네요.. ㅡㅡ
    게임이 발전하는걸 바란다면 그만큼 소비자인 유저가 게임에 투자를 해야하는 법이거늘.. 에혀........
    물론, 악덕기업은 좀.. -ㅁ-
  • ?
    Lemon3Ki 2010.11.01 13:53
    패키지 게임도 그때 그때 인증해서 쓸 수 있도록 하는 제도 도입은 불가능 한걸까요..?
  • 流雲 2010.11.01 14:52
    #Lemon3Ki
    스타크래프트2는 온라인처럼 로그인을 해야하잖아요.
    아마 미래의 패키지게임들도 그런식으로 될 듯합니다.
  • ?
    khs 2010.11.01 20:21
    단순한 관중 심리죠.

    A도 B도 C도 불법 다운로드하고 처벌도 안받는데 나도 해야지.
  • ?
    이멜렌 2010.11.01 22:26
    그래서 저도 패키지를 구매하려고 최대한 노력하고 있지요 ㅠ
  • ?
    아영 2010.11.01 22:39
    정품이 정품으로서의 메리트가 있어야 정품을 이용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시는분들도 많을겁니다 정품을 구입해놓고도 불법을 사용하는
  • ?
    신기한 2010.11.02 07:43
    게임시디 하나에 5만원-3만원하는데 솔직이 서민 으로선 넘비싼 거져
    공시디 해봣자 1천원도 안나가는데 시디에 거품좀 빼야 할듯
    불법복제 하는사람도 문제지만 파는사람도 문제가 있는건 마찬가지
    시디에 거품이 빠지지 안는이상 불법복제는 영원히 사라지지 안을듯
    차라리 불법이 아닌 합법적으로 다운로드 받을수있게 하는게 낮져
    지금도 몇몇 싸이트는 있지만 턱없이 부족한듯
  • 流雲 2010.11.02 15:56
    #신기한
    게임CD가격을 공CD가격과 비교해서는 안됩니다.
    그들이 게임 개발을 하는데 돈이 1원도 안들어간건 아니니깐요.
  • ?
    소망 2010.11.04 15:41
    게임 하나 만드는데 기본 몇억에서 몇십억 혹은 몇백억까지 들어가는게 요즘 게임입니다.
    시디가격이 3~5만원이면.. 그걸 만들때들인 돈과 판매로 인한 수익까지 생각했을때.. 얼마가 남는다고 생각하시는지 묻고 싶네요...
    음반쪽은 모르겠지만.. 게임쪽에서는 사실 적정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만든만큼 다팔린다는 보장도 없으니까요..
    그리고 합법적인 다운로드라고 말씀하셨는데.. 그럼 얼마선에서의 다운로드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는지 말씀해주시면 좋겠네요..

    스타크2의 경우 제가 알기로는 다운로드 비용이 6만9천원입니다.
    시디로 갈경우 10만원도 있더군요..
    스팀에서 왠만한 이벤트 혹은 오래된 게임이 아니면 다운받는데 기본 59.99$입니다.
    7만원 정도죠.. 정발일경우 6만원정도로 내려갈수도 있고요..
    결국 제작비용과 그밖에 등등에 비례해서 가격이 책정되는데 그걸 더욱 낮추고자 하니 게임사 입장에서는 답답할 뿐이겠죠..(그 시대에 맞게 가격을 책정하니)
    게임사 입장에서는 오래된 게임이나 이벤트가 아니라면 절대 안깍는게 현실이죠..

    다른 경우로는 러시아쪽은 패키지값이 싼 대신 배틀넷은 유료인 경우가 많습니다.
  • ?
    아힌 2010.11.07 18:49
    이미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패키지 게임 새로 나오는 거 거의 없죠... 수익이 안 되니까. 휴우···. 그러면서 유저들은 국내 패키지게임 할거 없다고 뭐라고 그러고, 외국게임이 좋다고 그러고···. 외국게임은 자기네들 나라에서 어느정도 팔리기는 하니까 유지가 되는거죠. 우리나라는···. 우리 손으로 다운받아 놓고, 우리 손으로 다운받아 해놓고, 결국 패키지 시장은 죽었네요. 정말 씁쓸합니다. ㅜ.ㅜ
  • ?
    신기한 2010.11.07 21:48
    불법복제 편드는것도 아니고 어느나라나 불법복제는 있져
    인터넷이 발달하니 더심해지지만 하기서야 패키지 게임이 사라지고 있는건 사실이지만
    어쩔수 없는거져 누가 게임시디 하나에 10만원을 투자하것읍니까 진자 매니아
    아니면 피씨방이 에서나 사져 어찌보면 불법복제는 필요악 이져
    자본주위에서 돈없으면 게임 하지말라 그말도 맞지만 게임하나 할려고 몇십만을 투자한다...
    또한 게임에100억을 투자했던 말던 가격은 소비자가 정하는거지 회사가 정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소비자들은 싼걸원하니까요 머 스타는 잘팔리니 블리자드는 배짱이만
    그리고 기존게 사라지는 거지 모든게 사라지진 안는다고 전봅니다
    테이프에서 레코드 -시디- 지금은 mp로 바뀐것 처럼 시대에 맞쳐 가야져
  • 아힌 2010.11.08 10:30
    #신기한
    그럼 패키지는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건가요···. 외국은 계속 나오잖아요.

    10만 원까지는 아니고, 3~5만 원 대 게임도 많았습니다.

    필요악이라···. 게임 만든 게임사가 망하게 하는 게 필요악인가요? 그걸 그렇게 말할 수 있나요? 정확하게 말하자면, 즐길 생각이나 돈이 없다면 즐기지 않고 다른 걸 하면 됩니다. 굳이 그걸 해야만 할 이유가 없으니까요.

    자꾸 몇십만 몇십만 하시는데, 몇십만 씩 하는 게임보다 3~5만 정도의 게임이 더 많습니다.

    그리고 가격을 소비자가 정하는 거지 회사가 정하는 건 아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도 궁금하네요. 가격 회사가 정하는 거 아닌가요? 회사가 정한 가격에 게임을 팔고, 유저는 그 게임에 그 정도의 가치가 없다면 그 게임을 안 하면 되는겁니다. 불법으로 다운받아 하는 게 아니라 말이죠.

    소비자가 싼 걸 원하는 건 당연한데, 그렇다고 불법으로 다운받아서 플레이해봐도 좋다는 건 아닙니다.

    시대가 변해서 테이프 사라지고 mp3로 변했다면, 왜 우리나라 패키지 시장만 망하고 외국 패키지 시장은 안 망했나요?

    정말 '시대의 흐름'일 뿐이었을까요? 그럼 왜 우리나라만 이렇게 된 것일까요?
  • ?
    신기한 2010.11.09 08:02
    외국도 불법복제는 많읍니다 그러나 불법복제를 해도 시장이 워낙 넓기 때문에 이고
    우리나란 인터넷도 발달하고 시장도 좁으니 패키지 시장은 가능성이 없는거져
    그리고 가격은 회사가 높은가격으로 판매했다 그러나 소비자가 안산다 그럼 가격을 조정합니다
    그래서 소비자가 가격을 어느정도 정하는걸 사실이져
    불법복제가 나쁜건 사실이지만 아무리 불법복재 하지말라고 양심에 외친다고
    하루 아침에 바꿔 집니까 솔직이 컴퓨터 살때부터 정품은 별로 없는걸로 아는데 하드에 깔린 윈도우부터 복제품 여기에 글 올린분들도 복제품 한번도 사용하지 안았다는 사람이 있을가요
    그래서 필요악이라는 것입니다 알게 모르게 복제품을 누구나 사용하게 되져
    불법 복제를 없앨라면 사회에 뿌리내린 불법 복제부터 없에야 할것입니다
  • ?
    대량학살가자 2010.11.09 08:33
    불법복제 반드시 근절해야하죠.. 허나 현실적으로 불법복제를 막는다는건 하늘에 별따기라고 보이네요.

    p2p사이트만 몇백 몇천개는 될텐데... 그걸 일일이 단속할수도 없는 노릇이고... 게임,음원등 불법파일

    들은 거의다 p2p에서 떠돌아다니니까요... 흠 현실적으로 단속하고 고소하고 뭐 이런 쳇바퀴같은일만

    반복해서는 백해무익할것 같고요... 아무래도 게임CD가격을 약간 낮추고, 그에 따른 각종 혜택이있어야

    될것 같습니다..허나 이것도 ㅠ... 사실 정품유저의 큰 장점이 멀플을 즐긴다는건데 요즘은 그 불법판으

    로도 멀플을 즐길수있다니... 말은 이렇게 해도 저도 영화같은거는 P2P를 애용하니 할말은 없네요;;;;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7 칼럼 야동중독 막지 못한 정부, 게임중독은? 11 하데스 12.10 16452
386 칼럼 엔씨, 포화시장을 요금제로 뚫는다. 33 하데스 12.02 12796
385 칼럼 블앤소는 MORPG 시장 공략용이다. 16 하데스 11.22 13949
384 칼럼 게임중독의 원인과 편견에서 오는 비공감 10 1 하데스 11.18 8069
383 칼럼 게임하는 사람이 사건을 일으키면 모두 게임중독??? 6 무량수 11.17 5856
382 칼럼 멀쩡한 사람도 악인 만드는곳 정화 이야기 4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1.12 5574
381 칼럼 온라인게임에서의 "정석" 에 대하여 3 9timez 11.06 7394
380 칼럼 지금 국내 MMORPG는 개혁이 필요할 때 2 견자단 11.06 7618
379 칼럼 근시안적 운영에 의한 "스펙 인플레이션" 의 폐해 10 9timez 11.03 7164
378 칼럼 게임을 억지로 하는 고렙과 즐기는 중렙 9 1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1.02 7270
377 칼럼 e스포츠에서 스타만한 국산게임이 없는 이유 18 9timez 10.31 9081
376 칼럼 고렙이 괴롭힌다고 아이템 날아갔다고 접냐 11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0.31 6374
375 칼럼 가장 어리석은짓 남과 나를 비교하는 유저들 8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0.31 6042
» 칼럼 [유운의 게임레포트] 불법복제가 우리에게 끼친 영향 14 2 流雲 10.31 6015
373 칼럼 휘청거리는 LG와 한국 온라인게임 17 9timez 10.30 8733
372 칼럼 습관: 귀신과 스킬 그리고 게임 부작용 4 1 9timez 10.28 76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4 Next
/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