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베족을 유료게임을 하지않고 무료게임만 하는 사람으로 가정합니다.
*유료화한다고 욕설하거나 불매운동을 피는 사람들을 오베족이라고 칭하지 않았습니다.






자꾸 오베족 욕하는데 게임 잘 만들면 다 해결된다.

오베족이 유료게임을 안하는 이유?


 돈내고 하기 아까워서다.

왜 아깝나

 그 게임이 돈을 낼만한 효용을 못준다고 생각하는거다.


독자분이 식당에 갔는데 라면이 1500원이고 치즈라면이 2500원일때

치즈에 천원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면  치즈라면 사먹는거고

아니면 그냥라면 먹는거다.

만약 당신이 배가부르다면 ? 혹은 도시락이 있어서 구지 라면을 사먹지 않아도 된다면?

안사먹는거다


학교수업 제대로 들어보신분이라면 이쯤에서 내가 뭘 말하고 싶은지 알거다.



한마디로 유료화가 되는게임, 즉 과금제도를 채택하고 게임이용에 비용을 요구하는 게임은

그 비용만큼의 효용성을 구매자에게 제공해야한다.

게임이라는 재화의 한계효용은 사용자 마다 다르므로

이 게임이 내가 지불하는 돈보다 큰 효용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구매(정액제구입)을 하는거고

아니면 안하는거다.

유저들이 각 게임에 느끼는 효용치는 모두다르다.

아무리 게임을 잘만들어도 오베족은 있을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결론은?

게임 잘만들면된다. 돈내고 해도 아깝지않은 게임만들면된다

아니면 정액제 요금제를 낮춰서 효용은 그대로지만 상대효용이 커지게 해서 구매하게 하던가



개발자들이 고생해서 만든 거 안다 그 사람들 라면먹고 밤새면서 서버돌리고 코딩하고 디자인하는거 안다

근데 이런문제에 사적인 사정같은거 고려하는순간 공정치 못한거다.

개발자들이 고생했으니까 돈내고 게임해야 한다 이런 논리는 억지다.




얘기가 좀 중구난방하게 됬는데 차분히 읽어주시면 무슨말씀인지 다 아실 것 같다.

우리끼리 여기서 얘기해봤자 나아지는거 하나없으니까 서로 욕하지말자.




*말투가 반말조인데 원래 문체가 이러니 기분 상하시더라도 아가가 재롱떤다 생각하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ment '25'
  • ?
    광기의레이센 2008.10.09 20:52
    확실히 몇몇게임은 돈내고 하기엔 아깝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건 개인의 취향이지요.

    그 누구도 머라고 할 수 없습니다.

    당사자가 재미없어서 돈내기 아깝다는데 누가 무슨 권리로 뭐라하겠습니까?



    과거의 대부분 게임은 정액제였습니다. [지금도 몇몇게임은 정액제료 돌리죠.]

    30일의 경우 대부분 1만~2만입니다.

    학생들의 플레이 시간을 따져보면 평일엔 거희 못하는 수준이죠.

    근데 그런 막대한 비용을 쓰기엔..


    그래서 최근에는 프리미엄이 대세죠.
  • smc0403 2008.10.10 15:59
    #광기의레이센
    맞는말이다. 예전에 정액제게임만이 존재하던 온라인게임시장에서

    캐쉬제나 프리미엄 요금제는 일종의 블루오션이었다.

    메이플스토리가 엄청난 수익을 달성한 이유는 온라이프 내공좀 쌓이신분이라면 다 알 것같다.

    메이플스토리는 저연령층을 대상으로 만들어졌다. 귀여운 케릭터, 단순한 전투, 그리고 무료.


    게임에도 경제학의 원리는 적용된다. 온라이프 유저분들이 제발 게임만 보면서 이상론을 펴지말고

    좀더 현실을 봤으면 좋겠다. 게임도 하나의 재화요 상품이다.
  • ?
    마스터 2008.10.09 20:57
    제가 보기엔 최근의 오베족들의 대부분은 게임을 잘만들던 못만들던간에 정액제같은 정식서비스를 시행하면
    거의 대부분이 빠져나간다고 봅니다..
  • smc0403 2008.10.10 16:02
    #마스터
    그래서 요즘 정액제 시도하는 게임이 몇개나 있나? 마스터 님도 여러 게임을 보시면 알겠지만

    요즘들어 용감하게 정액제를 시도한 게임은 내기억엔 몬스터헌터 하나다.

    이미 업계의 트렌드를 넘어서 fundamental로 자리잡은 요금제를

    구지 과거의 요금제로 바꾸겠다는건 트렌드를 바꾼다거나 게임성에 대한 자신감이아니라

    내생각에 개발자들의 안이함과 시장조사의 미흡함이다. 몬스터헌터 온라인 이대로가다간

    망한다. 요즘 게임에게 무료화나 캐쉬제는 수익성을 올려주는 방법이아니라

    다른 게임들과의 경쟁에서 꿀리지 않기위한 최소한의 선택이다. 개발자들도 그걸아니까 다 캐쉬제 무료화 하는거다.
  • ?
    Eureka_seveN 2008.10.09 22:29
    아직 우리나라에 아직 "게임을 돈내고 한다는 것은 옳지 못하다."라는 생각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로 그런 분들은 학부모님들-ㅂ-....

    오베족들의 대부분이 학생들 아닐까 생각합니다.

    저도 사실 그랬거든요.

    지금도 과연 하던 게임이 정액제를 실시한다면 계속 해나갈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지금 맘잡고 하는 게임이 없긴 하지만llOTL)

    그리고, 커피타시는 분들이나 의사님 쓰시는 분들이 돈내고 게임하기 아깝다는 생각을 하시는 제일 단적인

    예 아닌가 싶습니다.

    (DS 게임은 솔직히 싸다고 생각을 하진 않습니다만, 그래도 전 DS와 PSP 둘 다 정품 사다 썼습니다.)


    ↑생각해보니 뻘글인 것이, 여긴 'On'Life인데llOTL
  • smc0403 2008.10.10 16:03
    #Eureka_seveN
    세븐님 말씀도 맞는말이다. 옛날 온라이프 어르신분들도 말씀하셨던 사항이지만

    온라인게임은 재화라는 인식이 적다. 이게 다 오픈베타 때문이다.

    이사항에 대해서는 할말이 조금있으니 글을 새로 적겠다. 제 하찮은 글에대한 관심 감사하다.
  • ?
    New팬더 2008.10.09 22:52
    '돈을 낼만한 효용을 못준다'

    직접 만들어보면 그런 이야기 못합니다.
    솔직히 이런 이야기 하는 사람들 중에서 게임제작의 베이스라도 아는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게임을 잘 만들면 된다'

    '잘 만든다' 라는게 도대체 뭐죠? 게임이 어때야 그 잘 만들었다는것을 충족한다는 이야기이신지?

    리베드 온라인이 재미있다고 하는사람들도 많고

    리니지2가 재미없다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개인차죠. 수준이라니 개발자들 입장도 생각해보셔야죠.

    게임을 잘만들라니 그것참 판단의 기준이 뭔지 궁금하군요.
  • Eureka_seveN 2008.10.09 23:02
    #New팬더
    님의 말씀에 절대적으로 공감하고, 그 사실에 화도 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을 놓치셨습니다.

    한국은 자본주의 국가이고, 게임은 상품이며, 게이머는 소비자입니다.

    이 경우 선택권은 절대적으로 소비자의 몫입니다.

    개발자들은 진짜 열심히 뛰면서 게이머의 선택만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만들어놓은 게임이 정말로 잘 만들어지고, "많은 게이머의 입맛에 맞기를" 바랄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저도 개발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정말 안타깝고 화가 납니다만, 이것이 현실입니다.
  • 남궁수륜 2008.10.10 13:30
    #Eureka_seveN
    나름대로 변론 해주셨습니다만
    성공 했기 때문에 좋은 게임이란 말은 이해하기 좀 힘드네요.


    게이머들의 입맛에 맞는 게임은 흥행성 여부에 있어선 좋은 성적을 기록하겠지만
    그렇다고 그 게임이 좋은 게임이란건 아닙니다.

    다수의 일반인들과 소수의 전문가가 어떤 게임을 평가했을 때
    일반인들이 혹평을 하고 전문가는 극찬을 했다고 칩시다. (여기서 흥행성 여부는 제외. 게임성 기준으로)

    반대의 경우도 생각해 봤을 때 어느쪽이 과연 좋은 게임일까요?

    게임성이 뒤떨어져 실패한 게임은 어쩔수 없지만
    흥행성이 떨어져 실패한 게임이 성공한 게임 보다 뒤 떨어진다는 식의 말은 오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결국은 상대적인 문제입니다.
    애초의 오베족을 너무 쉽게 정의 내리시는 것 같아 좀 답답한 생각도 드네요.
  • Eureka_seveN 2008.10.11 22:08
    #남궁수륜
    제 글에 댓글 다신게 맞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성공 했기 때문에 좋은 게임이란 말은 쓴 적이 없습니다;

    성공한 게임은 단지 성공한 게임일 뿐이죠;;

    (물론 좋은 게임이기에 성공도 했을거고 말입니다.)

    단적인 예로 제가 즐기던 게임은 전부 흥행에 실패했습니다.

    ('전부'라고 한, 할 수 있었던 이유는 흥행한 게임은 즐기던 게임이 아니라 즐기고 있기에...

    CBT부터 OB를 거친 후 흥행한 게임이 하나도 없답니다 ㅠㅠ 그나마 좀 이어가는 게임이

    ACE온라인... ATUM이라 불리던 시절(대략 10년전!?)부터 했었는데 현재도 게임이 존재

    하고있죠-ㅂ-b 하지만 흥행이라고 할 수는 없죠llOTL)

    그럼 제가 느끼기에 그 게임들은 좋은 게임일까요, 아닐까요~?

    제가 쓴 것은, '게임이 잘 만들어진 후'에 흥행을 기다리는 것. 즉 진인사 대천명(이 경우는

    대인명)이라는 겁니다.
  • smc0403 2008.10.10 16:08
    #New팬더
    일단 팬더님 기분이 좀 상하신것 같아 죄송하다. 절대 그런 의도는 없었다. 이해해주시길 바란다.

    내가 위에서 언급했듯이 잘 만들라는 말은 소비자를 만족 시키라는 말이다.

    배부른사람에게 밥준다그러면 그사람이 만족할까? 아니다 당연한 얘기다.

    그런사람들에겐 후식을 주면 그럭저럭 만족한다.

    개발자가 식당이라고 보고 유저를 고객이라고 보자.

    개발자가 한번에 여러가지 음식을 파는 식당을 만들 수 있을까

    물론 만들 수 있다. 근데 그거 잡탕이다. 엄청난 노력을 이루지 않으면 사람들 거기서 안먹고 전문점 찾아간다.

    이런 잡탕이 성공한 케이스가 wow라고 본다. 개인적인 견해다. wow솔직히 좀 짱이다. 해본사람은 안다.

    그래도 wow 싫어하는 사람 있다. 팬더님이 이쯤되면 제 의견도 이해하실수 있을 거라본다.



    * 팬더님 말씀은 나는 중국집밖에 못만드는데 사람들이 내 중국집에 만족 못하는데 어쩌라는거냐 ? 이거다.
    팬더님의 중국집음식은 물론 잘만든 중국집 음식일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이 싫어한다면?
    팬더님이 만든 김치가 잘만든 김치일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인이 싫어한다면 ?

    잘 생각해주시길 바란다. 게이머는 게임에게 모든걸 바라지 않는다. 자기가 원하는 특성을 찾는거다.

    옛날 타격감을 원하던 자는 ryl을 즐겼고 PvP를 즐기는 자는 리니지를 , 단순함을 좋아하던 사람은 테트리스를 즐겼다. 게임을 잘 만들 필요는 있지만 다 만들 필요는 없다. 소비자를 겨냥한 게임이 좋은 게임이라고 말하고 싶다.
  • New팬더 2008.10.10 22:13
    #smc0403
    화 안낫슴

    제 말투가 원래 저래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에잉
  • ?
    로이악마 2008.10.09 23:23
    게임을 잘 만들어도 그것을 할 플레이어가 없다면 아무런 효과를 볼 수 없다고 볼 수 있죠. '게임을 잘 만들어 봐자 하지 않는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게임을 만들기 시작하면 그것은 진정으로 잘 만들어진 게임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이죠.

    허나 돈을 많이 투자 했다고 해서 잘 만들어다고 할 수 없습니다. 어떤 것이든 완벽이라는 말이 없기 때문이다. 완벽에 가깝게 만들 뿐이죠. 그럼 왜 만들어지고 있는 게임들을 오베만 하고 떠나는 것일까요?

    요베를 한 유저가 자신에게 맞지 않는 다고 생각해서 다른 게임을 찾아 떠나다고 할 수 있죠. 요베를 뭐아 할 수 없고, 게임 화사들이 어떤 게임을 만들던지 그것은 게임 화사들의 몫이라고 밖에 생각되지 않는 군요.
  • smc0403 2008.10.10 16:12
    #로이악마
    동감한다. 내생각에 게임업계에도 경영마인드를 가진 전문적 CEO가 있어야한다.

    개발자들 꽉막혔다. 게임 열씸히 잘 만들면 되는 줄 안다. 아닌데.

    사람들의 needs를 찾고 niche를 찾아야한다. '내게임 잘만들었는데 왜 사람들이 안하지 ㅜㅜ'

    징징대지마라. 제발 . 시장조사좀 하고만드는지 궁금하다.
  • ?
    켄신 2008.10.10 01:12
    인간이.. 불완전 하니까.. 이런 문제가 생기는건가낭 'ㅁ'~?
  • ?
    프린세스칸나 2008.10.10 02:53
    게임을 만들기 전에 철저한 시장조사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해도 잘만든 게임이 나올까라고 생각한다면

    정답은 no 아마 근접한게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게임을 잘 만든다? 라는 기준이 멀까요. 아이러니하게도 그건 유저도 모른다는 겁니다.

    개발자라도 다른 게임을 하게되면 그게임에서 만큼은 유저가 된다는 거겠죠.

    혹 게임 개발에 대한 건의나 버그좀 올려주세요. 라고하면 여러 글들이 막올라오죠.

    좋은게 있고 나쁜것도 있고 말도 안되는 것도 있고 'ㅡ'


    좋은게임은 이미 만들어져 있다고 생각하질 않습니다. 처음부터 게임회사 와 유저가 같이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회사 고 유저고 다 막장인 세상...
  • ?
    아수라천무 2008.10.10 11:45
    경쟁이 있어야 발전이 있지 않겠습니까. 공감합니다.
  • ?
    케타로 2008.10.10 18:46
    근데 외국에서는 온라인게임을 패키지로 판다던데 사실임?... 좀 오래된 듯하지만... 우리도 패키지로 하면 안될라나;;;
  • smc0403 2008.10.11 21:22
    #케타로
    북미쪽의 온라인게임은 맨 처음 구매시 패키지로 구입한 뒤 정액제 요금을 일정치 내야한다고 알고있다.

    대신 정액제 요금이 국내 보다 저렴하다. 요금제는 각자의 장단이 있는 것 같다.

    요금제 만드는게 힘이 많이드는것도 아니고 다른게임의 과금제도를 채택해도 상관없는 점이므로

    게임마다 과금제는 다양한 것이 소비자를 생각한 하나의 방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뭐 물론 거기에도 한계가 있겠지만
  • ?
    두꺼비선인 2008.10.11 01:04
    베타족이 넘쳐나는 게임으로인해 생긴건아닌가 싶네요

    [현재고등학생]

    초등학교때 뮤를 했었습니다.

    3일계정으로 빡시게 키운다음에 피시방가서 1~2시간씩 즐기고

    집에선 한달에 1~2번정도 3시간 계정을 넣었죠 [3천원주고]

    그때만해도 얼마없는 온라인게임에서 뮤온라인은 그야말로 저에겐 보물덩어리..

    그래픽도 뮤가 최고인줄알았고 운영자들또한 뮤가 최고인줄 알았떤 시기에

    돈없던 초등학생 시절에 뮤온라인에 투자하는게 아깝지 않더군요.


    하지만 지금은 그야말로 게임의 홍수시대

    높아질대로 높아진 유저들의 눈..


    초등학생때 순수하게 게임을 즐기던 그런 생각을 가지고 게임하고싶지만

    늘어나는 게임 높아진 눈에 그저 베타족으로 살수밖에없는...
  • 로이악마 2008.10.11 19:20
    #두꺼비선인
    그런 아마도 기술에 발전 때문에 게임이 너무 많이 들어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네요. 게임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게임을 만들 수 있는 기술입니다. 뮤나 그 전에 게임인 리니지, 바람의 나라, 어둠의 전설, 아스가르드, 일랜시아 등등 그 당시 나온 게임들은 그 만한 기술을 가지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게임을 만들어지만, 지금은 조금 많은 투자를 하면 3D를 만들 수 있을 만큼의 게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게임을 보는 눈이 높아진 것이 아닐까요?
  • ?
    앙마 2008.10.11 20:27
    무슨 게임이든지 유료되도 할 사람은 합니다!! 회사측에서 유료화를 안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캐쉬판매가 돈이 더 되기 때문이죠..저도 5년정도 계정 끊어서 해보았고..(천년,로한,린2등) 진짜로 재미있으면 합니다. 게임이 아무리 많이 나와도 즐기는 게임은 제한될 수 밖에 없죠...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 보면 운영 개막장입니다. 유저들말은 듣질 않아요.캐쉬 질러주기도 아깝습니다. 옛날에는 질답판에 유저가 아닌 영자가 답변을 해주었는데..으그...요즘 게임들 비슷하지만 하나같이 잘 만들어져서 나옵니다. 근데 운영은 개막장이라는거...글고 유료 좀 하지...그럼 오토 좀 줄겠지?-_-
  • ?
    워리 2008.10.13 10:59
    무형의 컨텐츠에 돈을 지불하는 유저들은 점점 많아지고 있고, 그런 인식 자체는 많이 바뀌었습니다.
    글쓴이분 말대로, 가치가 있으면 사람들은 돈을 냅니다. 없으면 내지 않습니다.

    여전히 오베족을 욕하는 사람들은 꽤 있으나, 그사람들에게 묻고 싶네요.
    '최근 3년간 나온 게임들중에, 이 게임은 정액비를 내고라도 할만하다. 라는 게임이 있었습니까?'
    라고 말이지요.
  • ?
    에제키엘 2008.10.15 11:55
    '앞으로 3년간 온라인게임이 안나와봐야 정신차리지.'

    편식하는애들도 몇일 굶겨놓으면
    쓰레기라도뒤지는게 인간이니까
  • ?
    이에스티 2008.10.16 18:53
    그래요 머니머니 해도 -0- 그만큼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지만은...

    유저들의 간택을 받기에는 부족한것이 있다면은 매몰차게 돌아서는...

    하긴 요즘 만들어지는 게임들을 보고있자면은...유저된 입장으로써 ..

    참 이런게임성을 어케 만들엇을까..??하는 의구심이 마구마구 들때가 한두해 있어요..

    그래서 그런지 철새 유저들이 많죠...클베부터 해보고 아니다 싶으면 바로 떠나버리는...

    매몰찬 유저들...ㅋ 어쩌겠어요 자기자신들의 취향과 게임성이 입맛에 안맞는거야...

    다 가지각색이니...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5 나도한마디 [설문] "블레이드앤소울2"는 성공할 수 있을까? 9timez 07.10 2189
114 나도한마디 플레이시간 얼마 안된다! 하지만 평가좀 할란다! 19 나그네v 08.12 2188
113 나도한마디 게임의 이성케릭터 문제.... 12 x타락천사x 08.11 2182
112 나도한마디 게임을 내놓기에는 너무 이르지 않은가? 8 에리안느 08.15 2181
111 나도한마디 [설문] NFT와 게임의 연계, 어떻게 보십니까? 9timez 11.29 2180
110 나도한마디 게임에 정석이 있다,,? 15 마루 07.02 2179
» 나도한마디 자꾸 오베족 욕하는데 게임 잘만들면 다 해결된다. 25 smc0403 10.09 2179
108 나도한마디 성공의 열쇠, 속전속결 5 마루 01.22 2177
107 나도한마디 렉걸렷으면 좀 나가지? 8 마루 08.07 2177
106 나도한마디 소박한 제 의견 6 №아샤스™ 10.16 2176
105 나도한마디 밸런스는 여러분이 만든겁니다 . 11 1 Kanzi'Ahn 01.21 2173
104 나도한마디 내가 자유롭다고 느낄때... 2 공식 08.23 2172
103 나도한마디 [잡담]오베족이라... 3 AegisRain 12.13 2170
102 나도한마디 당신의 로망은 .. ? 16 Kanzi'Ahn 09.23 2170
101 나도한마디 셧다운제..말이많네요.. 6 오소리a 08.30 2169
100 나도한마디 오토 편의성은 저도 인정하는데 2 남궁수륜 02.27 21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 172 Next
/ 172
많이 본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