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조회 4501 추천 0 댓글 5



e스포츠 시장은 제가 생각하기에는 세계적으로 보나 국내에서 보다 다른 실제로 활동하는 스포츠 보다 시장이 매우 작다고 생각됩니다. e스포츠도 엄연한 스포츠인데 말이죠.



이1.jpg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있는 월드컵]

월드컵같은 세계 축구 대회는 정말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있죠. 아이나 어른이나 남자나 여자나 가릴것 없이 사랑받고 있는것이 바로 월드컵 입니다.

하지만 e스포츠는 어떤가요?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 에게는 분명 사랑받고 있긴 하지만 아직도 게임에 대한 인식이 안좋은 사람들이 많아서 일부 사람들만 즐기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



이2.jpg
[e스포츠의 종합 세계대회 WCG]

e스포츠에도 거의 올림픽과 흡사한 개념의 WCG라는 대회가 있기는 하지만 WCG의 방송을 공중파에서 보신분들은 없을겁니다. 큰 세계대회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케이블의 게임전문 방송국에서만 방송하는것이 현실이죠.



제일 큰것은 인식의 차이인것 같습니다.
구세대 사람들의 인식 때문에 게임이라는 거대하고 대단한 문화를 받아들이지 못하는것이지요.
수많은 제도로 게임을 억압하고 현 대통령까지 게임을 공해로 취급하고 있는 세상이기 때문에 e스포츠는 크게 성공하기 힘든것 이지요.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할것은 제 생각에는 e스포츠 대회의 공중파 진출 입니다. 공중파로 진출해서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 e스포츠라는 가상공간의 스포츠도 현실공간의 스포츠만큼 재미있다는것을 알려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실행되어야 하는것은 인식을 바꾸는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의 인식을 바꾼다는것은 매우 힘든일이죠. 이것은 저도 해결방법을 알지 못합니다. 지금 권력의 세대가 언젠가 게임을 즐기던 세대로 교체가 되는 시기가 온다면 인식이 바뀌지 않을까요? 하지만 그것을 기다리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립니다. 인식을 바꿔야 한다는것은 알지만 바꾸기가 힘들기 때문에  e스포츠는 꾀나 힘든 길을 걸어야 할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아주 희망이 없는것은 아닙니다. 현재 42번째로 e스포츠 종목이 된 리그 오브 레전드가 여러가지 대회를 활발하게 열고 있기 때문에 이 열기가 식지 않고 좀 더 끓어오른다면 e스포츠 시장이 커질 가능성이 좀 더 높아지는것이겠죠. 저는 이 열기가 식지 않길 바랄 뿐입니다.




Who's 고성능

profile

힘세고 강한 아침. 만일 내게 물어보면 나는 고성능

Comment '5'
  • ?
    으잉우잉뿌잉 2012.02.21 01:10
    화이팅!
  • ?
    독청독성 2012.02.21 02:54
    스포츠 [sports]

    몸을 단련하거나 건강을 위해 몸을 움직이는 일

    e스포츠는 스포츠가 아닙니다

    제가보기엔 e스포츠가 가진 약점은 아무래도 종목자체가 소모성이 있는거같네요

    wcg의 경우 pc종목은 8개 그중에 fps가 3종류 전략이 4종목(와우포함) 그리고 피파

    문제는 이게임이 몇십년이 지나도 계속 사람들이 즐기느냐가 문제겠네요

    속편이 계속 나와서 지금의 유져가 계속 유지가 된다면 모를까 너무많은 게임이 있는데

    몇십년이 지나도 유져가 계속 있을지 의문이구요

    스포츠라고 해달라고 해놓구선 얼마안가서 종목자체가 새로 생기가나 유져가 없다고 종목이 빠져버리면 참 문제인거같습니다

    올림픽에서 야구가 빠지긴했지만 올림픽 자체가 종목이 빠지는것보단 생기는게 더 많네요



    그리고 사실 하고 싶은말은 스포츠라고 인정해달라고 하는것보다
    말씀하신대로 인식이라는게 빨리 바뀌는게 중요한거같네요

    다른 스포츠는 누구나 하고자하면 직접하든 관람을 하든 즐길수가 있는데

    e스포츠는 다양한 연령대의 입장에서보면 어렵울수가 있겠네요

    그럼 당연히 공중파에 나오기가 조금 어렵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나이 많으신분이 스타2를 해본적이 없는데 누가 이기고 지고 유닛이 어쩌구 하면 당연히 외면 받습니다

    접근성이 좋아야하는데 젊은 사람들은 새로운것을 받아들이는데 나이 많은 사람보다 쉽습니다

    그런데 아버지 세대에선 어렵지요...

    그리고 중계를 하게 된다해도 아버지 세대 이상에서는 사람이 집적하는걸 보고 승패가 갈리는걸 보고싶은 원하지

    키보드와 마우스 클릭으로 게임하고 유닛이 움직여서 승패가 갈리는걸보고 젊은사람처럼 희열을 느끼고

    손에 땀을 쥐게 하는게 어렵지 않을까요???




    e스포츠를 츠포츠로 인정해달라는건 솔직히 아닌거 같고

    더 부응하려면 사람들 인식이 변해야하는데 동감합니다

    아마도 20년쯤 지나면 지금 우리들이 아버지 세대가 될테니 아무래도 그때는 지금보다 더 부흥하지 않을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공중파에서 철권경기하는걸 보고 싶네요..ㅎ
  • 겜광 2012.02.21 21:11
    #독청독성
    e스포츠를 스포츠로 인정해달라고 한적은 없습니다.e스포츠 자체로 그냥 인식하면 되거든요...
  • ?
    HugsAND 2012.02.23 12:22
    이제 저런 e스포츠도 한국에선 볼수없을것 같네요 ㅎ ㅎㅎㅎㅎㅎㅎ ㅎ ㅎ ㅎㅎㅎㅎㅎ ㅎ ㅎ ㅎ
  • ?
    천재2 2012.02.29 12:48
    e스포츠 채널은 이제 온게임넷 뿐이죠 .

    바둑 tv도 2개채널이있는걸로아는데

    사실상 바둑이나 e스포츠의 차이는 가장 없다고 봅니다.

    지금 온게임넷이 위태위태한데 지금 lol 게임으로 밀어부치면서 제2의 도약을 할려고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공중파는 한국에서 가장인기있는 프로야구도 플레이오프만 겨우해줍니다.

    차라리 공중파 말고 우리나라에서 메이저리그를 만드는 겁니다.

    중국에선 워크3를 하고있는 것처럼(잘은 모르지만 스타플레이어들 다중국 리그에서 활동하는걸로 압니다)으로 lol을 한국에서 세계적인 리그를 만들면 저절로 방송권등을 외국에

    판매를 할수도있고 스타 방송보면 외국인들도 구경을 많이 오더라구요

    lol도리그가 개최했죠.이 lol의 세계적인 리그를 만들어버리게 가장 좋을것같네요

    물론 전 카오스온라인함

포인트 안내 - 글 작성: 30 / 댓글 작성: 3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95 나도한마디 AOS장르라고 불리는 게임에서의 공성영웅이 있다면 벨붕이다 아니다 9 1 날 비난하지마라 04.13 6404
2594 나도한마디 C&C(커맨드 앤 컨커)의 명맥은 이대로 끊기는 것인가? 2 WATAROO 11.08 8304
2593 나도한마디 C9 는 성난 바다를 순항할 자신이 있는가? 32 1 title: 크로우2 (파워블로거만 구입가능)강물처럼 10.14 12516
2592 나도한마디 C9 당신을응원합니다. 6 다이크로스 10.23 4449
2591 나도한마디 C9, 유저들의 스트레스를 테스트 했는가? 39 하데스 08.04 9200
2590 나도한마디 CBT는 말그대로 TEST! 정식 오픈이 아닙니다. 11 流雲 08.15 4081
2589 나도한마디 CBT를 앞둔 검은사막 모바일, 원작의 위엄을 다시 한번? goodboy777 01.05 3358
2588 나도한마디 CCR의 횡포. 16 6 방실이 01.31 6325
2587 나도한마디 cd 패키지 게임은 저 멀리.... 14 가류 09.21 3129
2586 나도한마디 CD게임 만드는 한국기업은 없다. 42 19 건빵제품 11.30 7516
2585 나도한마디 DBO… 이 정도면 성공적? 20 루나사랑 01.14 4071
2584 나도한마디 dk2 논란 56 23 sucker 02.29 7027
2583 나도한마디 E3 Game show 게임들...!! 1 쟈누 06.23 4327
2582 나도한마디 EA가 <피파>라는 브랜드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까닭 1 완소마키 05.12 2685
2581 나도한마디 EA의 온라인게임 사업과 우리나라의 온라인게임 12 이건뭐 09.24 4935
» 나도한마디 e스포츠 시장이 성공하려면 5 고성능 02.21 45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72 Next
/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