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형 아이템 문제로 게임업계에 피바람 부나? (3060) 시사

[s]2.jpg


확률형 아이템 논란으로 피바람 부는 게임업계

지금 게임업계는 "확률형 아이템"의 규제 문제로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그간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각종 논란을 게임업계의 자율규제 방식으로써 절충하여 덮어왔지만 자율규제 방식의 헛점들 또한 드러나면서 결국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확률 공개를 법제화하는 수순을 맞이하게 된 것이다. 자율규제를 비판하는 측의 주장은, 자율에 맡기다보니 이를 무시하는 곳도 적지 않고 또 정보를 공개한다고 해도 믿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확률을 조작하다 걸린 사례가 존재하기도 한다. 

한편, 모 국회의원은 특정 게임들을 확률형 아이템 관련한 문제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 의뢰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시사했다. 그 게임들은 바로 웬만한 게임 유저라면 안해봤어도 다들 아는 유명 인기 게임인 리니지 시리즈, 모두의 마블, 던전앤파이터, 마비노기, 메이플스토리이다. 공교롭게도 모두 3N의 게임이다. 엔씨소프트, 넥슨, 넷마블로 대표적 메이저 게임사이다.

해당 국회의원은 이 게임들을 5대 악겜으로 규정하며 정보를 제대로 공개도 안하고 조작까지 일삼으며 유저를 상대로 확률 장사를 해왔다고 강하게 비판했는데, 이에 위협을 느꼈는지 넥슨 같은 경우 더 자세하고 광범위한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입장을 내놓은 상태이다. 아무래도 이들 메이저 게임사들은 그동안 확률형 아이템을 가지고 많은 수익을 거둬왔기에 정치권에서까지 강하게 압박을 하니 더이상 여론이 악화되는 걸 원하지 않는 듯 하다. 애초에 이렇게 다뤘어야 할 문제였을까 싶기도 하다.


[s]1.jpg


엔씨소프트의 택진이 형이 2018년 국정감사에 출석해서 확률형 아이템 문제에 관한 질의에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확률형 아이템은 이용자들에게 아이템을 공정하게 배분하기 위한 기술적 장치이다". 언뜻 이해되는 것 같기도 하고 궤변으로 들리는 것 같기도 하고 좀 애매한 부분이 있지만 어쨌든 고상하게 답변을 잘한 듯 싶긴 하다. 또 이와 더불어 일부 게임사들은 관련 정보가 기업 기밀이라고까지 주장하며 정보 공개를 강제하는 법제화에 반감을 드러내기도 한다.

사실 확률 공개 여부 그리고 어떻게 공개하냐에 따라 생각보다 큰 차이가 난다

언뜻 유저들은 그까짓거 그냥 공개하면 되지 게임사가 그거 공개한다고 손해볼 거 있어? 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나도 처음엔 그렇게 생각했고 말이다.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이 확률형 아이템은 실체를 교묘히 숨기며 동시에 유저의 심리를 자극해 자신을 영악하게 팔아제낀다.

예를 들어, 정말 얻기 어렵고 희소성이 큰 아이템을 뽑을 수 있는 뽑기가 있다고 치자. 게임사가 정해놓은 이 아이템의 뽑기 확률은 0.00001%라고 하자. 숫자만 봐도 극악의 확률이라는 걸 누구나 알 수 있다. 아무리 여유자금있는 유저라도 확률의 수치를 인지한 이상 어느 정도는 머뭇거릴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구체적인 수치를 인지한 순간 유저의 이성적인 판단이 어느 정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거 사실상 뽑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거 같은데?' '적당히 뽑아보고 안되면 포기하자'

그런데 확률을 전혀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떨까? 그 아이템을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과 근거없는 자신감이 결부되어 실제 확률보다도 훨씬 높은 확률을 자연스럽게 기대하게 된다. 뽑기를 해본 유저라면 대부분 이해할 것이라고 본다. 구체적인 수치가 없으니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이 힘들어지고 그저 기분에 따라 뽑기를 시도하게 된다. 그러다보니 결국 절제를 잃은 상태에서 연이어 뽑기를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오늘 감이 좋아 될 거 같다' '좀 더 뽑아보면 꼭 나올 거야'

그래서 게임사들이 자신들의 수익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을 확률 공개에 그렇게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예상해보건대, 확률 공개가 더 광범위해지고 구체적이며 직관적이게 될수록 극악의 확률을 갖춘 확률형 아이템을 내놓기는 점점 어려워질 것이다. 그만큼 유저들의 해당 아이템 입수를 위한 동기부여가 약화돼 결국 게임사의 수익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돌아가는 분위기상 아무래도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는 사라질 것 같다. 기업의 이익과 밀접한 부분인데 애초에 불가능한 제도였을지도 모른다. 기왕 이렇게 된 거 헛점이 없는, 지나친 사행성을 지양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새 제도가 정착됐으면 한다. 단, 게임업계의 입장도 있으니 너무 죄는 방향으로 가지는 않았으면 한다. 소비자인 유저의 권익도 중요하지만 4차 산업의 중요한 축 중 하나인 게임산업이기도 하니까.

<끝>

TAG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회원 가입후에 사용 가능합니다

[회원가입] [로그인]

같은 분류 목록

이 블로그의 월간 인기글

이 분류에 다른 글이 없습니다.

profile그냥 뭐... 

방문자수 페이지뷰
226 오늘 974
465 어제 1,782
2,125,262 전체 13,937,842

온라이프존 메뉴